서울 버스 760 (r3판)

편집일시 :

과거 제일여객이 운행했던 구 707번,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간선버스
과거 서울운수가 운행했던 노선, 서울 버스 760(폐선)



파일:DSC_0424.jpg
파일:동해운수 760번버스.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3.1. 9708번
3.2. 707번
3.3. 760번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6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대화동종점)종점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4가(영등포소방서.타임스퀘어)
종점
첫차04:30기점
첫차06:00
막차23:00막차00:40
평일배차12~20분주말배차토요일 13~20분 / 공휴일 14~20분
운수사명동해운수인가대수22대(예비 3대)[1]
노선대화동종점 - 대화역 - 주엽역 - 일산동구청 - 마두역 - 금계초등학교.이마트 - 일산병원 - 섬말다리 - 삼성당 - 능곡초교 - 능곡역 - 행신동삼거리 - 서정마을 - 화전역앞 - 항공대학교 - 덕은교.은평차고지앞 - DMC첨단산업센터 - 월드컵파크5단지 - 상암DMC홍보관.YTN - 상암휴먼시아아파트 - 월드컵경기장서측.문화비축기지 - 월드컵대교 - 양평동한솔아파트 - 당산역.삼성래미안아파트 - 신화병원 - 영등포시장 - 경방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


2. 개요[편집]


동해운수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 거리는 61.3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3.1. 9708번[편집]


  • 구 903번 심야좌석버스(일산신도시 - 신촌로터리)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노선변경 없이 광역버스 9708번으로 바뀌었다.

  • 2005년 6월 20일에 신촌로터리에서 서울역(구 YTN타워, 숭례문)으로 연장되었다.

  • 2010년 3월 말부터, 정류장 개수를 줄여서 급행버스[2]로 운행하기 시작했다.


3.2. 707번[편집]


파일:서울 707 노선도.png
707번 시절 지도 노선도

  • 2010년 11월 4일에 간선버스로 형간전환하면서 번호 또한 707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4년 11월 1일에 아현동 - 충정로 중앙버스전용차로가 개통되면서 충정로역에도 정차하게 되었다.

  • 2019년 2월 15일부터 1대가 감차되어 771번에 증차되었으며, 이로 인해 평일 운행 횟수가 2회 감회되고 평일 최소 배차간격도 9분으로 조정됐다.관련 게시물

  • 2019년 7월 5일을 기해 평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2회 감회되었다. 이와 동시에 최소 배차간격은 늘고 최대 배차간격은 줄어드는 형태로의 상세배차 조정이 실행되었다.관련 공문 1관련 공문2

  • 2020년 5월 18일을 기해 평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2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2021년 5월 1일을 기해 기점 막차시각이 00:20에서 00:00로 20분 앞당겨지고, 이와 동시에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어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의 경우 1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3회씩 감회되었다.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15분이던 평일 최대 배차간격이 16분으로 늘었다.관련 공문

  • 2021년 10월 18일을 기해 평일/토요일 각각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215분/210분에서 225분/215분으로 늘어났으며,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었고 이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1일 총 운행횟수도 86회/82회/77회에서 82회/78회/74회로 4회/4회/3회씩 감회되었다. 이번 운행계통 변경과 함께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6분/17분/18분이던 최대 배차간격 역시 전 요일 20분으로 늘어났다.관련 공문


3.3. 760번[편집]


  • 2022년 6월 27일부터 기존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연대앞 ~ 광화문 ~ 숭례문 구간이 단축되었으며, 디지털미디어시티, 월드컵경기장, 월드컵대교[3], 당산역을 경유하여 영등포역으로 운행을 시작했다. 동시에 노선번호가 760번으로 변경되었으며, 막차시간이 현행 00:00에서 22:30으로 앞당겨졌다. 인가대수는 1대 증차되지만[4] 배차간격의 큰 변화는 없었다.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707번 시절에는 행신, 능곡 주민들에게는 없어서는 안 될 핵심 노선으로 심야 시간에도 도심과 신촌에서 이어줬던 노선이었다. 그러나 760번으로 변경된 지금은 행신,능곡지역에 막차가 23시 10분 전후에 통과하면서 옛말이 되었다. 행신동의 경우 700번으로 대체가 가능하지만(단 일부지역의경우 가라뫼 등에서 도보를 이용해야한다) 능곡의 경우는 영등포역에서 9707번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방법밖에 없다. [5]

  • 고양시 구간은 700번과 다르게 대화동차고지를 출발한 후 대화역부터 정차한다. 이후 고양 시내 이곳 저곳 많이 거쳐 서울로 간다. 대화동차고지에서 출발하여 고양 BRT를 달리다가 강선마을과 마두역을 지난 후 금계초교 쪽으로 좌회전, 금계초교와 일산병원을 지난 뒤 남쪽으로 내려가서 시골길을 달리다가 능곡동과 행신동 안쪽을 가로지른다. 그 후 서정마을에서 다시 중앙차로에 합류하나, 얼마 못가 다시 빠져나와 화전동 구길로 진입, 한국항공대학교화전역을 들른다. 이후 덕은동에서 다시 중앙차로에 합류하나, 얼마 못가 빠져 나와 상암동 DMC로 간다. 이로써 중앙차로는 중앙로 구간(백병원~마두역, 서정마을~덕은동(항공대입구, 화도교 미정차, 대화동 방향 한정 덕은교, 소만마을 정차)) 이외에는 없다.

  • 사실 섬말다리 - 삼성당 - 능곡 - 가라뫼 구간은 1000번의 개통 전에 중앙로를 이용하던 노선버스들의 전유물이었다. 명성운수가 1000번을 신설하기 전까지 중앙로는 그저 시골길에 불과했고, 지금처럼 서울로 쭉 이어진 도로가 아니었다. 소만마을 부근에서 도로가 끊겼기에 수색동으로 가려면 지금의 제2화전교를 통해서 화전동 구도심으로 다녀야 했었다. 40여 년 전부터 구일산에서 신촌까지 시외버스로 다니던 77번 등 대부분의 버스들은 섬말다리 - 삼성당을 지나 능곡동을 거쳐 신촌으로 갔다. 후에 개통된 영등포행 버스인 87번, 914번도 같은 구간을 다녔고, 지금까지도 그 구간을 경유하고 있다. 참고로 이 구간이 고양시의 이질감이 잘 드러나는 구간인데, 화훼단지와 백석동 요진 와이시티 사이를 달리는 버스로, 도시와 촌락의 극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 고양시에서 영등포로 나가는 유일한 시내버스 노선이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60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7,835명-
2014년7,768명▽ 67
2015년7,449명▽ 319
2016년7,023명▽ 426
2017년6,859명▽ 164
2018년6,717명▽ 142
2019년7,025명△ 308
2020년5,535명▽ 1,490
2021년5,371명▽ 164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1] 토요일 17대 / 공휴일 16대 운행[2] 기존 정류소에서 80개로 줄었다. 3호선과 겹치는 중앙로 구간과 서울 구간에서의 수요가 미미한 정류소들을 축소시켰다.[3] 본래는 성산대교를 경유하거나 아니면 수색로 구간 그대로 경유하고 761번처럼 양화대교를 경유할 예정이였으나, 월드컵대교를 경유하는 첫 노선버스가 되었다.[4] 700번의 예비차를 감차했다.[5] 단 능곡 일부지역은 700번을 이용하여 고양경찰서에서 내려 약간의 도보로 이동 가능하며, 경의중앙선 능곡행 막차가 홍대입구역, 서강대역에서 0시 이후까지 있음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A] A B 경방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 하차 후 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