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식 (r1판)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대식(동명이인) 문서
김대식(동명이인)번 문단을
김대식(동명이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부산 사상구)
제20-21대
장제원
제22대
김대식
현직

김대식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 펼치기 · 접기 ]
* 사무처장 겸임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부패방지)
초대
이영근
제2대
백운현
제3대
최현복
제4대
곽진영
제5대
박경호
제6대*
이건리
제7대*
안성욱
제8대*
정승윤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고충처리)
초대*
박인제
제2대*
김대식
제3대*
박재영
제4대*
김인수
제5대*
권태성
제6대
이정희
제7대
김태규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겸 중앙행정심판위원장
초대
김필규
제2대
오준근
제3대
홍성칠
제4대
이상민
제5대
김기표
제6대
박종민



>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부산광역시 당협위원장
[ 펼치기 · 접기 ]

||<-4><tablewidth=100%><tablecolor=#181818,#ddd><tablebgcolor=#fff,#1f2023><#00b5e2> 시당위원장 ||
||<-4><bgcolor=#ffffa0,#2d2f34> 전봉민 ||
||<rowbgcolor=#00b5e2><width=25%> 중·영도 ||<width=25%> 서·동 ||<width=25%> 부산진 갑 ||<width=25%> 부산진 을 ||
|| 공석 ||<bgcolor=#ffffa0,#2d2f34> 안병길 ||<bgcolor=#ffffa0,#2d2f34> 서병수 ||<bgcolor=#ffffa0,#2d2f34> 이헌승 ||
||<rowbgcolor=#00b5e2> 동래 || 남 갑 || 남 을 || 북·강서 갑 ||
||<bgcolor=#ffffa0,#2d2f34> 김희곤 ||<bgcolor=#ffffa0,#2d2f34> 박수영 || 이언주 || 공석 ||
||<rowbgcolor=#00b5e2> 북·강서 을 || 해운대 갑 || 해운대 을 || 사하 갑 ||
||<bgcolor=#ffffa0,#2d2f34> 김도읍 ||<bgcolor=#ffffa0,#2d2f34> 하태경 ||<bgcolor=#ffffa0,#2d2f34> 김미애 || 김척수 ||
||<rowbgcolor=#00b5e2> 사하 을 || 금정 || 연제 || 수영 ||
||<rowbgcolor=#ffffa0,#2d2f34> 조경태 || 백종헌 || 이주환 || 전봉민 ||
||<rowbgcolor=#00b5e2> 사상 || 기장 || || ||
||<bgcolor=#ffffa0,#2d2f34> 장제원 ||<bgcolor=#ffffa0,#2d2f34> 정동만 || || ||
||<-4> ||



파일: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심벌.svg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
[ 펼치기 · 접기 ]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사무총장 (1981~1987)
초대
이범석
제2대
손재식
제3대
서정화
제4대
김창식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총장 (1987~1998)
제4대
김창식
제5대
현경대
제6대
송한호
제7대
유경현
제8대
박상범
제9대
정호근
통일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국장 (1998~1999)
제10대
김명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 (1999~현재)
제11대
손진영
제12대
강동현
제13대
김희택
제14대
오세정
제15대
김대식
제16대
김병일
제17대
이상직
제18대
남성욱
제19대
박찬봉
제20대
배정호
제21대
권태오
제22대
황인성
제23대
이승환
제24대
배기찬
제25대
김창수
제26대
석동현












제15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당선인
김대식
金大植 | Kim Dae-sik
출생1962년 8월 11일 (61세)
전라남도 영광군 염산면 옥실리
현직제22대 국회의원 당선인
국민의힘 부산 사상구 당협위원장
재임기간제15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
2008년 6월 2일 ~ 2010년 3월 8일
제2대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겸 사무처장
2011년 1월 3일 ~ 2011년 11월 9일
링크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가족배우자, 슬하 2녀 1남
학력경남고등학교 부설 방송통신고등학교 (졸업)
동의대학교 인문대학 (일어일문학 / 학사)
한남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학 / 석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학 / 박사)
오타니대학 대학원 (문학 / 박사)
병역보충역 (생계곤란)
소속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지역구부산 사상구
의원 선수1
의원 대수22
경력경남정보대학 일본어학과 교수
동서대학교 일본어학과 교수
제17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인수위원
한나라당 전라남도지사 후보[1]
여의도연구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겸 사무처장 (제2대 / 이명박 정부)
자유한국당 해운대구 을 당협위원장
동서대학교 부총장
경남정보대학교 총장
제22대 국회의원 (부산 사상구 / 국민의힘)
[1] 2위

1. 개요
2. 생애
3. 정치 활동
4. 여담
5. 선거 이력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일문학자 출신 정치인. 현재 제22대 국회의원이며 자유한국당 시절 여의도연구원장과 11대 경남정보대학교 총장을 지냈다.

2. 생애[편집]


1962년 전라남도 영광군 염산면 옥실리의 빈농 가정에서 태어났다.# 무안 해운초등학교, 함평중학교를 졸업하고 함평농업고등학교에 입학했으나 중퇴하고 부산으로 이주했다. 경남고등학교 부설 방송통신고등학교, 동의대학교 일어일문학과, 한남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학 석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학 박사 과정을 졸업하고 경남정보대학 일본어학과 교수를 지내다가 동일 재단 산하의 동서대학교 일본어학과 교수로 옮겼다. 일본 유학길에 올라 오타니대학 대학원 문학 박사 과정을 졸업하고 동서대학교로 복직해 동서대학교 학생취업복지처 처장, 대한일어일문학회 회장, 한국일본학연합회 회장, 전국대학교 학생처장협의회 회장, 바른대학교육실천협의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3. 정치 활동[편집]


2007년 제17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회교육문화분과위원회 인수위원으로 정치에 입문하였다. 2009년 2월 경향신문 기사에 의하면 이명박 대통령의 후보 시절 외곽조직이었던 선진국민연대의 멤버로서 친이계였다. 2008년 6월부터 2010년 3월까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을 지냈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전라남도지사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현직 도지사인 민주당 박준영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호남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출마한다는 강력한 역메리트에도 불구하고 13.39%의 득표율로 2위를 차지하여 모두를 놀라케 했다. 이는 현 한나라당 계보 정당의 전남지사 득표율 중 3위다.[1][2] 고향인 영광과 무안, 함평에서는 20% 이상을 득표하여 전북지사 선거에서 18%대 득표로 낙선한 정운천과 함께 한나라당의 호남 진출을 이뤄낼 기대주로 평가받았다.

이후 2011년 1월부터 같은 해 11월까지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냈다.

2012년 부산 사상구에 공천신청을 하였으나 중앙당에서 손수조를 전략공천했다.

2017년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 체제가 출범하자 여의도연구원장으로 임명되는 등 대표적 친홍계로 꼽혔다. 여의도연구원장으로 있었던 2018년 4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을 국회의원 보궐 선거에 자유한국당 후보로 출마하였다. 그러나 당시 서병수 시장의 시정 평가가 굉장히 나쁜 편이었고, 더욱이 해운대 을의 전임자였던 배덕광 의원이 엘시티 게이트에 연루되어 의원직 사직과 함께 구속 수감되는 바람에 부산 내 자유한국당에 대한 여론도 매우 좋지 못했다. 이 때문에 더불어민주당 윤준호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2년 전 출마했던 해운대구 을에 재도전을 선언하며 미래통합당 후보로 공천 신청을 했으나 김미애 후보가 단수추천되며 공천을 받지 못했다.

21대 총선 이후 사상구에 위치하고 있는 동서학원[3] 소속이자 본인이 정계 입문 전 교수직을 역임하였던 경남정보대학교의 총장직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2023년 12월, 장제원 의원이 윤핵관 일선 후퇴에 따른 차기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후임 국회의원 선거 출마 후보자로 거론되고 있다.

그리고 2024년 1월 3일, 사상구 예비후보로 등록하였고, 1월 9일 22대 총선 출마를 선언하였고, 2월 19일 단수공천을 받았다. #

이후 본선에서 52.63%를 득표하며 더불어민주당 배재정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4. 여담[편집]


  • 일문학자답게 국민의힘 당내의 대표적인 일본통이다.

  • 2019년 홍준표 유튜브 채널인 TV홍카콜라 제작사인 BH Commz와 함께 유튜브 채널 김대식TV를 시작하게 되었다고 한다.


5.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10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전라남도지사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123,548 (13.39%)낙선 (2위)
2018재보궐선거 (국회의원)부산 해운대 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30,900 (35.01%)[4]
2024제22대 국회의원 선거부산 사상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62,975 (52.63%)당선 (1위)초선



6. 둘러보기[편집]








[1] 1위는 1회 지선 당시 민주자유당 전석홍 후보가 기록한 26.49%. 그런데 1회 지선은 민자당과 민주당의 양당 체제였던데다, 이때 민주당은 김대중이 아직 전면에 나서기 직전이어서 호남 몰표가 상대적으로 덜하던 시기였다. 그래서 김대식 후보가 2회 지선 이래 처음으로 반액보전은 성공했고, 8회 지선에서 이정현 후보가 2위를 경신하고 처음으로 전액보전에 성공했다.[2] 이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전남지사에 출마했던 이중효 후보는 아예 통합진보당 내란선동 사건으로 고전을 겪던 통합진보당 이성수 후보에게도 밀리며 3위인 9.5%를 기록했고,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자유한국당이 지원자가 없어서 전남지사 후보 자체를 공천하지 못했다. 그나마 다음 지선인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새누리 소속으로 호남에서 재선(나머지 하나는 비례)을 했던 이정현을 공천했고, 이정현 후보는 김대식 후보의 2위 기록을 경신하고 18.81%를 득표했다.[3] 장제원 의원의 부친인 장성만 前 국회부의장이 설립자이며 산하에 동서대학교, 경남정보대학교, 부산디지털대학교를 소유하고 있다.[4] 전임자 배덕광 의원직 사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