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계

덤프버전 :



정세균계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민주당계 진영 관련 문서 파일:노란 깃발 이미지.png
[ 펼치기 · 접기 ]

집권정부장면 내각 (보수) · 국민의 정부 · 참여정부 · 문재인 정부
사상자유주의 · 사회자유주의 · 참여민주주의 · 실용주의 · 중도개혁주의 · 중도실용주의 · 보수자유주의 · 질서자유주의 · 제3의 길 · 신자유주의 · 사회보수주의 · 민족주의 · 리버럴 페미니즘
정치인대통령윤보선 (보수) · 김대중 · 노무현 · 문재인
부통령이시영 · 김성수 · 장면 (보수)
국무총리장면 (보수) · 김덕수 · 고건 · 이해찬 · 한명숙 · 한덕수 · 이낙연 · 정세균 · 김부겸
국무위원장면 내각 · 국민의 정부 · 참여정부 · 문재인 정부
소속 정치인국회의원 · 광역자치단체장 · 당대표
지식인진보파일:1px 투명.png시민사회김상조 · 조희연 · 최장집 · 조국 · 김동춘
자유주의유시민 (진보) · 황석영 (보수) · 조순 (보수) · 장하성 · 이근식
단체 · 정파친노/친문친문 · 친노 · 정세균계 · 이낙연계 · 박주민계 · 양승조계
동교동계비문 · 동교동계 · 호남계 · 박지원계
제3지대친안 · 손학규계
진보파민평련 · 이재명계 · 정동영계
노동조합 · 시민단체참여연대 (진보) · 민달팽이 유니온 (진보) ·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진보) · 한국노동조합총연맹 (보수) ·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보수) 한국여성단체연합 (진보) · 호남향우회 · 민주언론시민연합 · 개혁 국민운동본부 ·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 정의기억연대 · 노사모 · 희망제작소 ·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진보)
언론 제도권한겨레 (진보) · JTBC (진보) · CBS(노컷뉴스) (진보)
비제도권오마이뉴스 (진보) · 민중의소리 (진보) · 아주경제신문 · 부산일보 · TBS · 딴지일보 · 진짜가 나타났다 · 시사타파 TV · 미디어몽구 · 서울의소리 · 굿모닝충청 · 새가 날아든다 · 팩트TV · 다스뵈이다 · 김어준의 파파 이스 · 친민주당계 유튜버
정당연대더불어시민당 · 중도민주 인터내셔널 (탈퇴) · 진보동맹 (탈퇴) · DJP연합 (해체) ·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 (해체)
역사제1공-제4공 · 제5공-문민 · 국민-참여 · 이명박 · 박근혜 · 문재인 · 계파 역사
싱크탱크민주연구원 · 열린정책연구원 · 국민미래연구원 · 혁신과미래연구원 · 민주평화연구원 · 희망제작소 · 한겨례경제사회연구원 (진보)
창작물e-민주양
관련 문서민주당계 정당 · 제3지대 정당 · 민주당계 틀 · 제3지대 정당 틀 · 더불어민주당의 계파 분류 · 민생당의 계파 분류
인터넷 커뮤니티루리웹 · 오늘의유머 · 클리앙 · 82쿡 · 레몬테라스 · 쭉빵카페 · 보배드림 · 디미토리 · 더쿠 · 더불어민주당 마이너 갤러리 · 이재명 마이너 갤러리 · 유튜브 갤러리
관련 정당
(중도, 원외 등)
시대전환 · 직능자영업당 · 국가부패척결당
다른 진영 관련 문서 (진보 · 민주당계 · 보수)




[ 펼치기 · 접기 ]
민주당 창당 ~ 장면 제2기 내각
신파 (민주당)구파 (구파동지회)
장면 제2기 내각 ~ 장면 제3기 내각
소장파노장파합작파신민당통일당
장면 제3기 내각 ~ 장면 제4기 내각
신풍회노장파정안회신민당통일당
장면 제4기 내각 ~ 5.16 군사정변
신풍회중도파노장파정안회신민당통일당
5.16 군사정변 ~ 민정당 창당
정치 활동 금지
민정당 창당 ~ 1차 진산 파동
민주당민정당자민당국민의당
1차 진산 파동 ~ 신민당 창당
민주계 유진산계 신한당
신민당 창당 ~ 2차 진산 파동
신파계구파계유진산계국민당민중당
2차 진산 파동 ~ 10.26 사건
신파계구파계이철승계민주통일당
10.26 사건 ~ 5.17 내란
동교동계상도동계 이철승계민주통일당
5.17 내란 ~ 11대 총선
정치 활동 금지
11대 총선 ~ 12대 총선
민한당
12대 총선 ~ 이민우 구상
동교동계상도동계 이철승계 민한당
이민우 구상 ~ 13대 대선
동교동계상도동계 신민당 민한당
13대 대선 ~ 3당 합당
동교동계상도동계
3당 합당 ~ 14대 총선
한겨레신민당 꼬마민주계박찬종계
14대 총선 ~ 새정치국민회의 창당
동교동계 잔류파새한국
새정치국민회의 창당 ~ 15대 대선
동교동계 민주계
15대 대선 ~ 16대 대선
동교동계 민주계이인제계
16대 대선 ~ 열린우리당 창당
친노동교동 신파동교동 구파후단협이인제계
열린우리당 창당 ~ 17대 총선
친노민주
17대 총선 ~ 4회 지선
민평련친노비노민주
4회 지선 ~ 17대 대선
민평련친노정동영계민주김한길계
17대 대선 ~ 18대 총선
민평련친노정동영계민주손학규계김한길계창조
18대 총선 ~ 국민참여당 창당
민평련정동영계정세균계구민주계손학규계창조
국민참여당 창당 ~ 민주통합당 창당
정동영계참여계민평련친노정세균계구민주계손학규계창조
민주통합당 창당 ~ 19대 총선
정동영계혁통계민평련정세균계구민주계손학규계김한길계창조
19대 총선 ~ 18대 대선
정동영계민평련친문정세균계박지원계구민주계손학규계김한길계
18대 대선 ~ 14년 재보선
민평련친문정세균계구민주계손학규계김한길계친안
14년 재보선 ~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김민석계민평련친문정세균계천정배계구민주계친안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 20대 총선
김민석계친문정세균계구민주계친안
20대 총선 ~ 국민의당 분당
박원순계친문안희정계평화 친안
국민의당 분당 ~ 민생당 창당
친명친문비문평화대안손학규계
민생당 창당 ~ 21대 총선
민주민생
21대 총선 ~ 20대 대선
열린친명친문이낙연계민생
20대 대선 ~ 현재
친명친문비명
정당별 계파 (기타 진보정당 · 진보 · 정의 · 민주 · 민생 · 국민의힘 · 극우정당)
계파 역사 (진보정당 · 민주당계 · 보수정당)







1. 개요
2. 상세
3. 주요 인물



1. 개요[편집]


더불어민주당 소속 6선 의원으로 20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과 문재인 정부 2번째 국무총리를 역임한 정세균 전 국회의장을 따르는 정치인들을 일컫는다.


2. 상세[편집]


범친노 최대계파. MB정부 시절에는 친노 최대계파였다. 참여정부말기 친노의 퇴조속에서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많은 수의 친노 인사들이 불출마하거나 공천에서 배제됐다. 하지만 그럼에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열린우리당의 압승의 영향으로 다수의 친노 인사(한명숙, 이광재 등)들이 정계에서 활동하고 있었고, 이 시기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2008년)에 모두 잔류하며 원내에 남은 친노 인사들과 중도세력의 수장이 된 것이 정세균이며, 이것이 정세균계의 유래.

또한 정세균은 친노 중진들 중 호남에 지역기반을 둔 드문 사례이기도 했다. 정세균은 제18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호남의 지역구(무주, 진안, 장수)에서 출마했으며, 이에 따라 호남의 친노 인사들을 정세균계로 분류하기도 했다.[1] 하지만, 정세균 본인이 서울 종로구로 지역구를 옮김에 따라 호남에서의 영향력은 감소한 대신에 수도권에서의 영향력이 커졌다.

그리고 계파수장 정세균 본인이 친노직계로 분류되어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의 인물인지라 친노직계에 가장 우호적이고 협조적인 동맹자로 분류되는 일이 잦다. 그러면서도, 정세균은 넓은 인망을 갖고 있어서 비노계에서도 인물 평가가 꽤 좋은 계파에 속한다. 결국, 정세균은 여야를 막론하고 넓은 인망을 인정받고 20대 국회에서 국회의장으로 재직했었다.

그러나,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호남 전역이 국민의당에게 넘어감에 따라 심각한 타격을 입었고, 수도권에서의 영향력도 역시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공천과정의 컷오프 등에 의해 타격을 입기도 했다. 다만, 이것은 당연히 친노계의 탓이 아니다.

이후 친문계의 성장과 함께 당내의 최대계파 자리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친문을 빼면 범친노 최대계파의 자리는 유지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이 호남 탈환을 위해서 노력하는 상황에서 호남 지역을 대표할 만한 실질적인 수장급 인물이 이끄는 계파라는 점 탓에 더욱 큰 역할을 맡을 여지가 있다.

다만, 수장격인 정세균 의원은 6선에 성공하고 나서 20대 전반기 국회의장으로 선출되면서 더불어민주당에서 자리를 비웠던 상태라서 당 내에서 큰 영향력을 얻지 못했던 상황이다. 기존부터 우호적이었던 친문계이나, 486그룹, 민평련계와 연대할 가능성이 더욱 높아보이지만 정세균은 친문계와도 우호적인 관계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비노계와 범친노계를 통합할 수 있는 매우 위상이 높은 인물로 봐도 부족하지 않다. 이후 김영주 의원이 고용노동부장관으로 입각하기도 했다. 2018년 들어서 정세균 의원이 복당했고, 강기정 의원이 정무수석으로 입각하고 노영민 전 의원이 비서실장이 되면서 간만에 존재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2020년에 정세균이 국무총리가 되면서 정세균계의 영향력은 더욱 커졌다.

정세균계는 정세균 본인을 제외하면 친노색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띄는 계파라는 특성도 가지고 있는 데다 전반적으로 일부 사안에서는 친노계와 다른 입장을 띄는 경우도 있었고[2], 다른 친노계 인사들과는 이질적인 부분이 있다. 다만 친노, 친문계열과는 분쟁을 빚지도 않고 여러 사안에서 협력한다. 그렇다보니 '범친노'로 구분된다. 정세균계는 친문계와는 든든한 동맹관계로 보는 쪽이 옳다. 정세균이 국무총리에 임명된 단계에서 사실상 친문과 정세균계는 이제 한 식구라고 봐야한다. 단, 정세균 개인의 경우 정치 행보 및 노무현과의 관계 특성상, 그의 측근들이 상대적으로 친노 색이 약해도 범 친노에는 속한다고 볼 수 있다.

2022년 6월 3일, 정세균계 모임인 광화문포럼이 해체를 선언했다. 당내계파의 해체를 해야 한다는 가치를 발표했다.


3. 주요 인물[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08:35:18에 나무위키 정세균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4회 지선에서 광주전남은 새천년민주당(동교동계 정당)이 당선되었으나, 전북은 당시 여당인 열린우리당(친노계 정당)이 유일하게 당선되는 등 친노의 세가 있었다.[2] 친문계열이 중도~중도좌파 성향에 가깝다면 정세균계는 중도~중도보수 성향을 보인다.[3] 회장 재직시 e스포츠 활성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었으나, 퇴임 후 회장 재임당시 금품수수 등 각종 어두운 면이 드러나면서 지금은 긍정적 평가보다 부정적 평가가 더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