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수학능력시험/시험장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1. 개요
2. 배정
3. 알아두면 좋은 점
4. 목록
4.1. 제11시험지구(동부)
4.2. 제12시험지구(서부)
4.3. 제13시험지구(남부)
4.4. 제14시험지구(북부)
4.5. 제15시험지구(중부)
4.6. 제16시험지구(강동송파)
4.7. 제17시험지구(강서양천)
4.8. 제18시험지구(강남서초)
4.9. 제19시험지구(동작관악)
4.10. 제20시험지구(성동광진)
4.11. 제21시험지구(성북강북)
4.12. 제22시험지구(동부)
4.13. 제23시험지구(서부)
4.14. 제24시험지구(대구)
4.15. 제25시험지구(인천)
4.16. 제26시험지구(광주)
4.17. 제27시험지구(대전)
4.18. 제28시험지구(울산)
4.19. 제29시험지구(세종)
4.20. 제30시험지구(수원)
4.21. 제31시험지구(성남)
4.22. 제32시험지구(의정부)
4.23. 제33시험지구(부천)
4.24. 제34시험지구(평택)
4.25. 제35시험지구(안양과천)
4.26. 제36시험지구(고양)
4.27. 제37시험지구(구리남양주)
4.28. 제38시험지구(안산)
4.29. 제39시험지구(광명)
4.30. 제40시험지구(이천)
4.31. 제41시험지구(용인)
4.32. 제42시험지구(군포의왕)
4.33. 제43시험지구(광주하남)
4.34. 제44시험지구(화성오산)
4.35. 제45시험지구(시흥)
4.36. 제46시험지구(동두천양주)
4.37. 제47시험지구(김포)
4.38. 제48시험지구(파주)
4.39. 제49시험지구(춘천)
4.40. 제50시험지구(원주)
4.41. 제51시험지구(강릉)
4.42. 제52시험지구(속초양양)
4.43. 제55시험지구(동해)
4.44. 제56시험지구(청주)
4.45. 제57시험지구(충주)
4.46. 제58시험지구(제천)
4.47. 제59시험지구(옥천)
4.48. 제60시험지구(천안)
4.49. 제61시험지구(공주)
4.50. 제62시험지구(보령)
4.51. 제63시험지구(서산)
4.52. 제64시험지구(논산계룡)
4.53. 제65시험지구(홍성)
4.54. 제66시험지구(아산)
4.55. 제67시험지구(전주)
4.56. 제68시험지구(군산)
4.57. 제69시험지구(익산)
4.58. 제70시험지구(정읍)
4.59. 제71시험지구(남원)
4.60. 제72시험지구(김제)
4.61. 제73시험지구(목포)
4.62. 제74시험지구(여수)
4.63. 제75시험지구(순천)
4.64. 제76시험지구(나주)
4.65. 제77시험지구(광양)
4.66. 제78시험지구(담양)
4.67. 제79시험지구(해남)
4.68. 제80시험지구(포항)
4.69. 제81시험지구(경주)
4.70. 제82시험지구(안동)
4.71. 제83시험지구(구미)
4.72. 제84시험지구(영주)
4.73. 제85시험지구(상주)
4.74. 제86시험지구(김천)
4.75. 제87시험지구(경산)
4.76. 제88시험지구(창원)
4.77. 제89시험지구(진주)
4.78. 제90시험지구(통영)
4.79. 제91시험지구(거창)
4.80. 제92시험지구(밀양)
4.81. 제93시험지구(김해)
4.82. 제94시험지구(양산)
4.83. 제95시험지구(제주)
4.84. 제96시험지구(서귀포)


1. 개요[편집]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시험장에 관하여 설명하는 문서이다.


2. 배정[편집]


기본적으로 자신의 학교 근처의 고등학교로 배정되는데, 중학교의 경우 학생 신장의 차이로 인한 책걸상 크기 따위의 문제가 있기 때문. 물론 중학교가 시험장으로 배정되는 경우도 없지 않다.[1] 또한 남고에는 남자 수험생만이, 여고에는 여자 수험생만이 배정받는다. 남녀공학에는 화장실 문제로 인해 남/녀 어느 한 쪽만이 배정된다.[2] 이외에도 응시자의 계열(사회/과학탐구)이나 제2외국어 영역 응시 여부 등에 따라 추가적인 분류를 거치는 경우도 있다.

지역적인 측면에서는 본인이 응시원서를 접수한 학교나 교육지원청이 속한 시험지구에 있는 학교로 배정된다. 다만 관할구역이 넓은 시험지구에서는 거주지에 따라 내부적으로 시험지구를 분할하여 수험생을 배정하는 경우도 있다.[3] 하지만 그럼에도 간혹 시험장이 집에서 먼 거리에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시험장으로 배정받는 전국 대부분의 고등학교는 1주일 정도 전부터 철저한 준비를 해야 하는데, 책상 서랍과 사물함을 하나도 남김없이 모두 비우고, 대청소를 한다. 수험생들이 시험을 볼 교실이 아니더라도 마찬가지이며, 심지어 수능날엔 아무도 안 들어갈 과학실이나 전산실 같은 곳까지 턴다. 알람시계를 넣어 울리게 하는 등의 부정행위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수능시험장 선정과정에서 반드시 제외되는 학교들이 있는데, 예를 들어 마룻바닥의 재질 때문에 소음(방송소리 울림, 발소리 등)이 심하거나, 방송장비 자체에 결함(고장, 음질 불량 등)이 있거나[4], 시설이 미비한 경우[5] 수능시험장 선정과정에서 제외된다. 하지만 소규모 지역의 경우 고등학교의 개수가 부족하므로 해당지역의 모든 고등학교가 수능시험장으로 차출되는 경우가 많아 이런 기준이 잘 지켜지지 않는 경우도 허다하다. 실제로 2014 수능 영어듣기 중에 스피커에서 치직 소리 등 잡음이 나는 사건이 있었으며,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시간에 수명고등학교에서 방송 수신 오류로 스피커에서 큰 음량으로 뉴스와 광고가 1분가량 송출되고 제2외국어 시간에 교사들의 대화가 3분간 송출되는 사건이 있었다. 광역시 지역에서도 수험장 부족으로 부적격 시험장이 차출되는 경우가 있는데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시험장으로 선정된 대구 시지고등학교 등이 있다. [6]

일부 지역의 경우 고등학교만으로는 수험생 수용이 어려운 지역이 있는데 이런 시험지구들은 중학교에 수능시험장을 여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2010년대 중후반 들어서 급격히 드물어졌다.


3. 알아두면 좋은 점[편집]


수능 전날 수험표를 받으면, 시험 보는 학교를 미리 가볼 수 있다.[7] 고사장에 따라 학교 건물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시험장도 있고, 그렇지 않은 시험장도 있는데 만약 시험장 복도까지 진입이 가능하다면 반드시 현관에서부터 본인 시험실까지의 동선, 화장실 위치, 시험실 내 냉난방기 설치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하자. 시험날 시험장 못찾아서 길 헤매면 답도 없다.[8]

시험 당일에 추울 걱정은 전혀 안해도 무방하다. 하루 전부터 풀난방에 들어가서 오히려 덥고 답답하다. 만약 시험을 치는 데 지장이 있을 정도로 춥거나 더울 경우 망설이지 말고 담당 교사에게 이야기를 할 수 있도록 하자. 수능장 관계자들은 수험생을 최대한으로 배려해 주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적어도 온도 부적응으로 인해 12년치 공부가 수포로 돌아가는 불상사를 겪는 것보단 훨 낫다.


4. 목록[편집]


시험지구 단위의 설치 계획은 매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 세부계획에서 발표된다. 선거 때마다 조정되는 국회의원 선거구처럼 매 수능마다 약간의 조정이 이루어지며, 특정 지역의 소속 시험지구가 변경되거나, 시험지구가 신설 또는 폐지되기도 한다.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시행 공고를 참고하면 시험지구의 번호와 관할 지역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 해당 문서를 확인해보면 지구마다 5자리의 지구번호가 부여되는데, xx0yy 형식으로 xx는 지역[9], yy는 시험지구 번호가 들어간다. 가령 서울 동부의 경우 11011이다.

이하 문단명에서 괄호 안은 시험지구 명칭이다.


4.1. 제11시험지구(동부)[편집]


동대문구, 중랑구를 포함한다.


4.2. 제12시험지구(서부)[편집]


서대문구, 마포구, 은평구를 포함한다.


4.3. 제13시험지구(남부)[편집]


영등포구, 구로구, 금천구를 포함한다.


4.4. 제14시험지구(북부)[편집]


도봉구, 노원구를 포함한다.


4.5. 제15시험지구(중부)[편집]


종로구, 중구, 용산구를 포함한다.


4.6. 제16시험지구(강동송파)[편집]


강동구, 송파구를 포함한다.


4.7. 제17시험지구(강서양천)[편집]


강서구, 양천구를 포함한다.


4.8. 제18시험지구(강남서초)[편집]


강남구, 서초구를 포함한다.


4.9. 제19시험지구(동작관악)[편집]


동작구, 관악구를 포함한다.

4.10. 제20시험지구(성동광진)[편집]


성동구, 광진구를 포함한다.


4.11. 제21시험지구(성북강북)[편집]


성북구, 강북구를 포함한다.


4.12. 제22시험지구(동부)[편집]


북구, 사상구, 강서구[10], 부산진구, 연제구, 동래구, 금정구, 해운대구[11], 기장군[12]을 포함한다.


4.13. 제23시험지구(서부)[편집]


동구, 중구, 서구, 사하구, 영도구, 강서구[13], 남구, 수영구, 해운대구[14], 기장군[15]을 포함한다.


4.14. 제24시험지구(대구)[편집]




4.15. 제25시험지구(인천)[편집]




4.16. 제26시험지구(광주)[편집]




4.17. 제27시험지구(대전)[편집]




4.18. 제28시험지구(울산)[편집]




4.19. 제29시험지구(세종)[편집]




4.20. 제30시험지구(수원)[편집]




4.21. 제31시험지구(성남)[편집]




4.22. 제32시험지구(의정부)[편집]


의정부시, 포천시를 포함한다.

4.23. 제33시험지구(부천)[편집]




4.24. 제34시험지구(평택)[편집]


평택시, 안성시를 포함한다.


4.25. 제35시험지구(안양과천)[편집]




4.26. 제36시험지구(고양)[편집]




4.27. 제37시험지구(구리남양주)[편집]


구리시, 남양주시, 가평군을 포함한다.


4.28. 제38시험지구(안산)[편집]




4.29. 제39시험지구(광명)[편집]




4.30. 제40시험지구(이천)[편집]


이천시, 여주시를 포함한다.

4.31. 제41시험지구(용인)[편집]




4.32. 제42시험지구(군포의왕)[편집]




4.33. 제43시험지구(광주하남)[편집]


광주시, 하남시, 양평군을 포함한다.


4.34. 제44시험지구(화성오산)[편집]



4.35. 제45시험지구(시흥)[편집]



4.36. 제46시험지구(동두천양주)[편집]


동두천시, 양주시, 연천군을 포함한다.

4.37. 제47시험지구(김포)[편집]



4.38. 제48시험지구(파주)[편집]



4.39. 제49시험지구(춘천)[편집]


춘천시, 홍천군, 양구군, 철원군, 화천군을 포함한다.

4.40. 제50시험지구(원주)[편집]


원주시, 횡성군, 영월군 일부, 평창군 일부, 정선군 일부를 포함한다.


4.41. 제51시험지구(강릉)[편집]


강릉시평창군 일부를 포함한다.

4.42. 제52시험지구(속초양양)[편집]


속초시, 고성군, 양양군, 인제군을 포함한다.

4.43. 제55시험지구(동해)[편집]


동해시, 삼척시, 태백시, 영월군 일부, 정선군 일부를 포함한다.

4.44. 제56시험지구(청주)[편집]


청주시, 진천군, 괴산군, 증평군을 관할한다.

4.45. 제57시험지구(충주)[편집]


충주시음성군을 관할한다.

4.46. 제58시험지구(제천)[편집]


제천시, 단양군을 관할한다.

4.47. 제59시험지구(옥천)[편집]


옥천군, 보은군, 영동군을 관할한다.

4.48. 제60시험지구(천안)[편집]



4.49. 제61시험지구(공주)[편집]


공주시, 부여군을 관할한다.

4.50. 제62시험지구(보령)[편집]


보령시, 서천군, 청양군을 관할한다.

4.51. 제63시험지구(서산)[편집]


서산시, 태안군, 당진시를 관할한다.

4.52. 제64시험지구(논산계룡)[편집]


논산시, 계룡시, 금산군을 관할한다.

4.53. 제65시험지구(홍성)[편집]


홍성군, 예산군을 관할한다.

4.54. 제66시험지구(아산)[편집]



4.55. 제67시험지구(전주)[편집]


전주시, 무주군, 완주군, 진안군을 관할한다.

4.56. 제68시험지구(군산)[편집]



4.57. 제69시험지구(익산)[편집]



4.58. 제70시험지구(정읍)[편집]


정읍시, 고창군을 관할한다.

4.59. 제71시험지구(남원)[편집]


남원시, 순창군, 임실군, 장수군을 관할한다.

4.60. 제72시험지구(김제)[편집]


김제시부안군을 관할한다.

4.61. 제73시험지구(목포)[편집]


목포시, 무안군, 신안군, 영암군, 진도군을 관할한다.

4.62. 제74시험지구(여수)[편집]



4.63. 제75시험지구(순천)[편집]


순천시, 보성군, 고흥군을 관할한다.

4.64. 제76시험지구(나주)[편집]


나주시, 영광군, 함평군, 화순군을 관할한다.

4.65. 제77시험지구(광양)[편집]


광양시, 구례군을 관할한다.

4.66. 제78시험지구(담양)[편집]


담양군, 장성군, 곡성군을 관할한다.

4.67. 제79시험지구(해남)[편집]


해남군, 강진군, 완도군, 장흥군을 관할한다.

4.68. 제80시험지구(포항)[편집]


포항시, 영덕군, 울진군, 울릉군을 관할한다.

4.69. 제81시험지구(경주)[편집]


경주시, 영천시를 관할한다.

4.70. 제82시험지구(안동)[편집]


안동시, 의성군, 청송군, 영양군, 대구광역시 군위군을 관할한다.

4.71. 제83시험지구(구미)[편집]


구미시, 고령군, 칠곡군을 관할한다.

4.72. 제84시험지구(영주)[편집]


영주시, 예천군, 봉화군을 관할한다.

4.73. 제85시험지구(상주)[편집]


상주시, 문경시를 관할한다.

4.74. 제86시험지구(김천)[편집]


김천시, 성주군을 관할한다.

4.75. 제87시험지구(경산)[편집]


경산시, 청도군을 관할한다.

4.76. 제88시험지구(창원)[편집]


창원시, 함안군을 관할한다.

4.77. 제89시험지구(진주)[편집]


진주시, 사천시, 남해군, 하동군, 산청군, 의령군을 관할한다.

4.78. 제90시험지구(통영)[편집]


통영시, 거제시, 고성군을 관할한다.

4.79. 제91시험지구(거창)[편집]


거창군, 함양군, 합천군을 관할한다.

4.80. 제92시험지구(밀양)[편집]


밀양시, 창녕군을 관할한다.

4.81. 제93시험지구(김해)[편집]



4.82. 제94시험지구(양산)[편집]



4.83. 제95시험지구(제주)[편집]



4.84. 제96시험지구(서귀포)[편집]



[1] 코로나19로 인해 한 시험실에 28명(4열 7석)씩 배정하던 것을 24명(4열 6석)으로 줄이면서 교실 수가 부족해지자 중학교를 시험장으로 쓰는 일이 많아졌다[2] 하지만, 토익이나 공무원 시험은 주말에 중학교에서 주로 친다. 고등학교 중 자습을 하는 학교가 있기 때문이다. 토익과 공무원은 성인들 위주고 딱히 크기 가지고 불만은 안나온다. 가장 큰 이유는 중학생들의 수업 문제가 크다.[3] 구리남양주(구리,남양주,가평)의 경우 구리(+다산), 평내+호평 등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교육지원청으로 원서를 접수하러 가 보면 원서 우상단에 도장을 찍는다. 이렇게 나누지 않으면 구리시 거주자가 가평군의 학교로 배정을 받는 사태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4] 방송장비가 고장나거나 음질이 좋지 않아 발음이 정확하게 들리지 않을 경우 영어듣기평가에 큰 지장을 받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험생 또는 감독관의 요청을 통해 시험장 음향장비 결함이 인정된다면 시험장 재량으로 들리지 않았던 문항을 다시 들려주는 것이 가능하며, 듣기평가 재시험으로 지연되는 탐구영역, 제2외국어영역 시험은 지연된 만큼 시험시간을 조정하여 연장 운영할 수 있다. 이것이 가능하다고 해도 이미 깨어진 흐름이나 멘탈을 생각하면 수험생 입장에서는 득보다는 여러모로 실이 많은 상황이라 할 수 있다.[5] 대표적인 예로 1,2,3학년 전 교실 동시송출이 안되는 학교. 정말 드물지만 있다. 그래서 교육청 모의고사 응시요강을 살펴보면 동시송출이 안되는 학교를 위해 각 학년 방송 시간을 지정해두었다. 하지만 수능을 이런 학교에서 본다고 했을 때, 형평성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6] 교실 바닥이 마루이다.[7] 단, 아무때나 갈 수 있는건 아니고 방문할 수 있는 시간이 정해져있다.[8] 다만 2021학년도 수능의 경우는 코로나 때문에 건물 외관만 구경할 수 있었다.[9] 서울 11, 부산 12, 대구 13, 인천 14, 광주 15, 대전 16, 울산 26, 세종 27, 경기 17, 강원 18, 충북 19, 충남 20, 전북 21, 전남 22, 경북 23, 경남 24, 제주 25[10] 대저동, 강동동, 가락동[11] 반여동, 석대동, 반송동[12] 정관읍, 철마면, 장안읍[13] 명지동, 녹산동, 가덕도동[14] 우동, 중동, 좌동, 송정동, 재송동[15] 기장읍, 일광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9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9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0 19:19:53에 나무위키 대학수학능력시험/시험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