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640 (r3판)

편집일시 :



파일:서울640번개선저상.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64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신월7동차고지)종점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강남역.강남역사거리)
종점
첫차04:20기점
첫차05:25
막차22:50막차23:55
평일배차8~13분주말배차토요일 10~15분 / 공휴일 10~15분
운수사명중부운수인가대수21대(예비 1대)[1]
노선신월7동차고지 - 신월동우성상가 - 강서초등학교 - 신정역.신정4동주민센터 - 목동역.목동오거리 - 오목교역.동신한방병원 - 당산동진로아파트 - 영등포시장 - 신길역 - 대방역 - 노량진역 - 노들역 - 흑석역.명수대현대아파트 - 동작역.국립현충원 - 구반포역 - 신반포역 - 고속터미널 → 반포역 → 논현사거리.논현역신논현역강남역 → 진흥아파트 → 서초푸르지오써밋.롯데캐슬클래식 → 사평역 → 고속터미널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중부운수에서 운행 중인 간선버스 노선으로, 총 운행거리는 39.8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212번 도시형버스(신월동 - 둔촌동)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삼성역으로 단축과 640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3년 9월 26일에 서울특별시의 장거리노선 단축의 일환으로 논현역 ~ 삼성역 구간이 단축되어 논현역→강남대로신논현역사평역→고속터미널로 회차운행한다. 관련 공지사항 기존에 왕복 운행했던 반포역과 논현역 구간은 강남 방향 정류소에서만 승차할 수 있게 되었다.

  • 2018년 3월 16일에 462번이 흑석동으로 단축되면서, 이를 대체하기 위해 '논현역 → 신논현역 → 사평역' 구간이 '논현역 → 강남역 → 진흥아파트 → 사평역'으로 연장되었고, 603번에서 1대가 차출되어 증차되었다. 관련 게시물 그리고 이와 동시에 신월7동 막차가 23:00에서 22:50으로 10분 앞당겨졌다. 다만 1대가 증차되었지만 강남대로가 상습 정체구간이다보니 배차간격이 오히려 벌어질 가능성이 크며 또한 강남 방향은 크게 문제가 안 되지만, 노량진 방향은 단축 이전의 462번360번신논현역, 강남역에서의 승차 정류소 위치가 다르다.


4. 특징[편집]


  • 개편 당시에는 인가대수가 41대에 이르렀으나, 2004~2008년에 거쳐서 16대가 감편되어 노선 단축 전까지 25대를 유지했었고, 지속적으로 감차되었다.

  • 기존 학동로 승객들은 401번이나 3414번를 타고 와서 환승시 3414번과 서로 아귀가 안 맞는 현상이 발생한다. 고속터미널 사거리에서 사평대로-잠원로에서 올라와 좌회전을 하고 3414번은 학동로를 타다 잠원로-사평대로로 좌회전을 하기 때문 즉 한 끝차로 같은 정류장에서 만나지 않는다. 다행인건 강남구로 갈땐 반포역 중앙차로에서 편하게 환승이 가능하고 서쪽으로 갈 땐 401-640 환승이 있다.

  • 고속터미널 - 강남구청까지는 401번이나 3414번이 있긴 하나 문제는 강남구청 - 상아아파트 - 봉은사 - 서울의료원 - 코엑스 구간이다. 이쪽에는 대체 노선이 전혀 없는데도 불구하고 무작정 단축시킨 것을 보면 개편 때나 지금이나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노선 조정안이 얼마나 탁상행정인지를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다행히 2015년 3월 28일 서울 지하철 9호선 2단계 구간(신논현역-종합운동장역)이 개통 덕분에 이 문제는 해결되었다.

  • 제일약품사옥 앞 정거장에서 기사들이 화장실을 이용한다는 명목으로 정차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643번도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일부 기사들의 생리현상을 이해하는 분위기였으나, 정거장만 도착하면 의례 안전벨트 풀고 하차하는 기사들이 늘면서 불만도 커지고 있는 상황. 주로 지하철, 타 버스노선과의 연결 수단으로서 탑승하는 승객이 많아 3~5분의 차이도 크게 느껴진다고 원성이 자자하다. 특히나 제일약품사옥 정류장은 640번 손님들이 줄서서 타는 정류장이다. 특히 퇴근시간대에 타면 수요가 정말 많다.

  • 2007년 2월 4일에 640번 첫차와 관련하여 시사매거진 2580에 출연하였다. 주로 첫차 이용하는 승객들의 이야기가 나와있다.관련 링크

  • 오목로[2], 영등포로[3], 노량진로[4], 현충로[5]를 완주한다.[6] 이러한 특징은 이 노선이 거의 직선으로 다니기 때문이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640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14,292명-
2014년11,940명▽ 2,352
2015년11,825명▽ 115
2016년11,591명▽ 234
2017년11,421명▽ 170
2018년11,777명△ 356
2019년12,033명△ 256
2020년9,313명▽ 2,720
2021년8,994명▽ 319
※ 하차 인원 미포함


4.2. 노선[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640번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강남역.강남역사거리
22167
진흥아파트
22166
강남역
22173
서초푸르지오써밋.롯데캐슬클래식
22164
논현역
22013
제일약품사옥
22194
논현사거리.논현역4번출구
22190
사평역
22195
반포역
22018
이상 회차 구간
고속터미널
22019
고속터미널
22020
신반포역.세화여중고
22022
신반포역.세화여중고
22021
구반포역.세화고등학교
22023
구반포역.세화고등학교
22024
동작역.국립현충원
20134
동작역.국립현충원
20133
흑석동한강현대아파트
20131
흑석동한강현대아파트
20132
비계
20130
비계
20129
흑석역.명수대현대아파트
20127
흑석역.명수대현대아파트
20126
흑석동효사정앞
20124
흑석동효사정앞
20123
-동작실버센터입구
20251
노들역
20014
노들역
20013
노량진역
20012
노량진역
20011
노량진수산시장.CTS기독교TV
20010
노량진수산시장.CTS기독교TV
20009
현대아파트.유한양행
20008
현대아파트
20007
대방역
19254
대방역
19296
신길새마을금고
19227
신길새마을금고
19226
신길역
19225
신길역1호선
19300
-신길역
19279
영등포시장입구
19105
영등포시장
19109
김안과병원
19119
김안과병원
19118
당산동진로아파트
19162
당산동진로아파트
19163
양남동로타리
19165
교보앞
19166
영등포기계상가
19202
영등포기계상가
19203
관악고등학교
19205
관악고등학교
19204
오목교역.동신한방병원
15168
오목교역.동신한방병원
15173
목동대학학원
15167
목동대학학원
15264
목동7단지.종로학원
15166
목동7단지
15265
목동역.목동오거리
15285
목동역.목동오거리
15272
신서고교.영상고교입구
15286
신서고등학교.영상고등학교입구
15273
신정역(은행정).신정4동주민센터
15287
신정역(은행정).신정4동주민센터
15274
양강중학교
15311
양강중학교
15219
신월2동주민센터입구.경창전통시장
15312
신월2동주민센터입구
15220
강서초등학교
15313
강서초등학교
15221
한빛종합사회복지관
15314
한빛종합사회복지관
15222
신월문화체육센터
15295
신월문화체육센터
15292
신월동우성상가
15296 · 15293


5. 연계 철도역[편집]




[1] 토요일 16대 / 공휴일 14대 운행[2] 6211번과 완전히 겹친다.[3] 여기는 650번과 완전히 겹친다.[4] 150번,360번, 507번, 605번, 5531번, 6211번, 6411번, 9408번 노선들과 완전히 겹친다.[5] 350번, 362번, 752번, 6411번과 겹친다[6] 6211번도 오목로~노량진로 구간이 640번과 완전히 같았으나 2011년초 당산로(문래역), 도림로, 도신로 경유로 노선이 조정되면서, 영등포로를 나갔다가 다시 들어오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