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 클럽 플레이어/야구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원 클럽 플레이어



2.1. 해외 리그를 경험한 선수
3.1. 해외리그를 경험한 선수
4. 원 클럽 플레이어에 준하는 선수



※ 기준은 10년(11시즌) 이상 한 구단에 소속되었다가 은퇴한 경우이며 현역 선수는 등재하지 않는다.


1.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편집]


메이저 리그의 경우 트레이드가 KBO 리그나 NPB보다 활성화되어 있어 원 클럽 플레이어로 남기는 매우 힘든 편이다.[1]


이름클럽포지션입단은퇴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
월터 존슨워싱턴 세네터스투수19071927O
빌 테리뉴욕 자이언츠1루수19231936O
루 게릭뉴욕 양키스1루수19231939O
테드 라이언스시카고 화이트삭스투수19231946O
찰리 게링거디트로이트 타이거즈2루수19241942O
멜 오트뉴욕 자이언츠우익수19261947O
칼 허벨뉴욕 자이언츠투수19281943O
빌 디키뉴욕 양키스포수19281946O
루크 애플링시카고 화이트삭스유격수19301950O
조 디마지오뉴욕 양키스중견수19361951O
밥 펠러클리블랜드 인디언스투수19361956O
바비 도어보스턴 레드삭스2루수19371951O
테드 윌리엄스보스턴 레드삭스좌익수19391960O
밥 레몬클리블랜드 인디언스투수19411958O
스탠 뮤지얼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좌익수[2], 1루수[3]19411963O
필 리주토뉴욕 양키스유격수19411953O
화이티 포드뉴욕 양키스투수19501967O
미키 맨틀뉴욕 양키스중견수19511968O
어니 뱅크스시카고 컵스유격수[4], 1루수[5]19531971O
알 칼라인디트로이트 타이거즈우익수19531974O
샌디 코팩스로스앤젤레스 다저스투수19551966O
브룩스 로빈슨볼티모어 오리올스3루수19551977O
로베르토 클레멘테피츠버그 파이리츠우익수19551972O
밥 깁슨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투수19591975O
칼 야스트렘스키보스턴 레드삭스좌익수19611983O
윌리 스타젤피츠버그 파이러츠좌익수19621982O
토니 올리바미네소타 트윈스우익수19621976O[A]
짐 파머볼티모어 오리올스투수19651984O
로이 화이트뉴욕 양키스좌익수19651979X
자니 벤치신시내티 레즈포수19671983O
서먼 먼슨뉴욕 양키스포수19691979X
데이브 콘셉시온신시내티 레즈유격수19701988X
마이크 슈미트필라델피아 필리스3루수19721989O
스티브 로저스몬트리올 엑스포스투수19731985X
프랭크 화이트캔자스시티 로열스2루수19731990X
조지 브렛캔자스시티 로열스3루수19731993O
짐 라이스보스턴 레드삭스좌익수19741989O
로빈 욘트밀워키 브루어스유격수[6], 중견수[7]19741993O
론 기드리뉴욕 양키스투수19751988X
존 워던캔자스시티 로열스포수19761985X
스캇 맥그레거볼티모어 오리올스투수19761988X
앨런 트래멀디트로이트 타이거즈유격수19771996O[A]
루 휘태커디트로이트 타이거즈2루수19771995X
마이크 소시아로스앤젤레스 다저스포수19801992X
칼 립켄 주니어볼티모어 오리올스유격수19812001O
켄트 허벡미네소타 트윈스1루수19811994X
토니 그윈샌디에이고 파드리스우익수19822001O
돈 매팅리뉴욕 양키스1루수19821995X
커비 퍼켓미네소타 트윈스중견수19841995O
빌 웨그먼밀워키 브루어스투수19851995X
배리 라킨신시내티 레즈유격수19862004O
에드가 마르티네즈시애틀 매리너스지명타자19872004O
크레이그 비지오휴스턴 애스트로스2루수19882007O
제프 배그웰휴스턴 애스트로스1루수19912005O
팀 샐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우익수19912006X
버니 윌리엄스뉴욕 양키스중견수19912006X
치퍼 존스애틀랜타 브레이브스3루수19932012O
브래드 래드키미네소타 트윈스투수19952006X
호르헤 포사다뉴욕 양키스포수19952011X
마리아노 리베라뉴욕 양키스투수19952013O
데릭 지터뉴욕 양키스유격수19952014O
제이슨 배리텍보스턴 레드삭스포수19972011X
토드 헬튼콜로라도 로키스1루수19972013X
스캇 실즈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투수20012010X
브랜든 웹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투수20032009X
라이언 하워드필라델피아 필리스1루수20042016X
데이비드 라이트뉴욕 메츠3루수20042018X
조 마우어미네소타 트윈스포수20042018X
야디에르 몰리나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포수20042022X
맷 케인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투수20052017X
라이언 짐머맨워싱턴 내셔널스3루수20052021X
안드레 이디어로스앤젤레스 다저스우익수20062017[8]X
글렌 퍼킨스미네소타 트윈스투수20062017X
더스틴 페드로이아보스턴 레드삭스2루수20072020X
존 댕크스시카고 화이트삭스투수20072016X
알렉스 고든캔자스시티 로열스좌익수20072020X
라이언 브론밀워키 브루어스좌익수20072020[9]X
브렛 가드너뉴욕 양키스좌익수20082021X
버스터 포지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포수20092021X
카일 시거시애틀 매리너스3루수20112021X
애덤 웨인라이트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투수20052023X



2. KBO 리그[편집]


  • 프로 이전 실업리그에서 뛰었거나, 군복무를 위해 상무/경찰청에서 뛴 경우, 또는 현역이나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한 경우도 포함시킨다.
  • 볼드체로 적힌 선수는 해당 팀 영구결번 선수.


이름클럽입단은퇴비고
김성한해태 타이거즈19821995로컬 보이
문희수해태 타이거즈19841995로컬 보이
이호성해태 타이거즈-KIA 타이거즈19902001로컬 보이[10]
김상훈해태 타이거즈-KIA 타이거즈19962014로컬 보이
김종국해태 타이거즈-KIA 타이거즈19962010로컬 보이
유동훈해태 타이거즈-KIA 타이거즈19992014
홍세완해태 타이거즈-KIA 타이거즈20002010
김주형KIA 타이거즈20042019로컬 보이
곽정철KIA 타이거즈20052018로컬 보이
박경태KIA 타이거즈20062019
손영민KIA 타이거즈20062018
나지완KIA 타이거즈20082022

이름클럽입단은퇴비고
이만수삼성 라이온즈19821997로컬 보이
류중일삼성 라이온즈19871999로컬 보이
김한수삼성 라이온즈19942007
김재걸삼성 라이온즈19952009
전병호삼성 라이온즈19962008
김진웅삼성 라이온즈19982010로컬 보이
권오준삼성 라이온즈19992020
박한이삼성 라이온즈20012019
안지만삼성 라이온즈20022016로컬 보이[11]
조동찬삼성 라이온즈20022018
강명구삼성 라이온즈20032014
윤성환삼성 라이온즈20042020[12]
김기태삼성 라이온즈20062018
임현준삼성 라이온즈20112021로컬 보이
박승호삼성 라이온즈19831993로컬 보이
김일융삼성 라이온즈19831985
강기웅삼성 라이온즈19891996로컬 보이
김성표삼성 라이온즈20132023
채형직삼성 라이온즈20042010
박영진삼성 라이온즈19821984로컬 보이
황규봉삼성 라이온즈19821986
권영호삼성 라이온즈19821989
박정환삼성 라이온즈19821992로컬 보이
함학수삼성 라이온즈19821987로컬 보이
배대웅삼성 라이온즈19821986로컬 보이
천보성삼성 라이온즈19821984
장태수삼성 라이온즈19821992로컬 보이
송진호삼성 라이온즈19821986
양일환삼성 라이온즈19831989로컬 보이
홍승규삼성 라이온즈19831990로컬 보이
김훈기삼성 라이온즈19861990로컬 보이
임학수삼성 라이온즈19962001
이태일삼성 라이온즈19901997
정형식삼성 라이온즈20092014
이현동삼성 라이온즈20122021
최선호삼성 라이온즈20142021
백승민삼성 라이온즈20142021로컬 보이

이름클럽입단은퇴비고
유두열롯데 자이언츠19831992로컬 보이
윤학길롯데 자이언츠19861997로컬 보이
김응국롯데 자이언츠19882003
공필성롯데 자이언츠19902000
박정태롯데 자이언츠19912004로컬 보이
염종석롯데 자이언츠19922008로컬 보이
주형광롯데 자이언츠19942007로컬 보이
박현승롯데 자이언츠19952008로컬 보이
조성환롯데 자이언츠19992014
박종윤롯데 자이언츠20012017
이우민[13]롯데 자이언츠20012018로컬 보이
문규현[14]롯데 자이언츠20022019
이명우롯데 자이언츠20022018로컬 보이
이정민롯데 자이언츠20022018로컬 보이
이인구롯데 자이언츠20032013
정보명롯데 자이언츠20032013
조정훈롯데 자이언츠20052018
나승현롯데 자이언츠20062015
배장호롯데 자이언츠20062020
손용석롯데 자이언츠20062017로컬 보이
진명호롯데 자이언츠20092022[15]

이름클럽입단은퇴비고
김용수MBC 청룡-LG 트윈스19852000한일은행 (1983~1984, 실업)
로컬 보이
김건우MBC 청룡-LG 트윈스198619971993년 은퇴 후 1997년 복귀, 재은퇴
김태원MBC 청룡-LG 트윈스19861998로컬 보이
이종열LG 트윈스19912009
차명석LG 트윈스19922001로컬 보이
김정민LG 트윈스199320102006년 은퇴 후 2008년 복귀, 2010년 재은퇴
류지현LG 트윈스19942004로컬 보이[16]
서용빈LG 트윈스19942006
김민기LG 트윈스19972010로컬 보이
김광삼LG 트윈스19992016
경헌호LG 트윈스20002012로컬 보이
이동현LG 트윈스20012019
박용택LG 트윈스20022020[17]로컬 보이
서승화LG 트윈스20022011
윤진호LG 트윈스20092019
정주현LG 트윈스20092023

이름클럽입단은퇴비고
전대영빙그레 이글스-한화 이글스19851994로컬 보이
강정길빙그레 이글스-한화 이글스19861995
이강돈빙그레 이글스-한화 이글스19861997
이상군빙그레 이글스-한화 이글스19862001로컬 보이
장종훈빙그레 이글스-한화 이글스19862005로컬 보이
한용덕빙그레 이글스-한화 이글스19872004
강석천빙그레 이글스-한화 이글스19892003로컬 보이
송진우빙그레 이글스-한화 이글스19892009세일통상 (1988, 실업)
로컬 보이[18]
이영우한화 이글스19962010
김해님한화 이글스19972007
백재호한화 이글스19972007
신경현한화 이글스19982013
박정진한화 이글스19992018로컬 보이
윤규진한화 이글스20032020로컬 보이
이양기한화 이글스20032017
한상훈한화 이글스20032015
고동진한화 이글스20042016로컬 보이
박노민한화 이글스20042016로컬 보이
송창식한화 이글스20042020로컬 보이
최진행한화 이글스20042020
송광민한화 이글스20062020로컬 보이
김혁민한화 이글스20072018
김회성한화 이글스20082020로컬 보이


이름클럽입단은퇴비고
엄정욱SK 와이번스20002015[B]
조동화SK 와이번스20002018
채병용SK 와이번스20012019
박재상SK 와이번스20012017
제춘모SK 와이번스20022014
박정권SK 와이번스20042019[B]
윤희상SK 와이번스20042020
김재현SK 와이번스20062020
박희수SK 와이번스20062020
김태훈SK 와이번스-SSG 랜더스20092023
위대한SK 와이번스20072007

이름클럽입단은퇴비고
김지수서울-넥센-키움 히어로즈20092019로컬 보이

이름클럽입단은퇴비고
손정욱NC 다이노스20132022[19]

이름클럽입단은퇴비고
김병희kt wiz20142023[20]

2.1. 해외 리그를 경험한 선수[편집]


이름클럽입단은퇴비고
박철순OB 베어스-두산 베어스19821997MiLB 1980~1981
선동열해태 타이거즈-KIA 타이거즈19851995로컬 보이, NPB 1996~1999
정민철빙그레 이글스-한화 이글스19922009로컬 보이, NPB 2000~2001
구대성빙그레 이글스-한화 이글스19932010로컬 보이, NPB 2001~2004, MLB 2005, ABL 2010~2015, 2019
이종범해태 타이거즈-KIA 타이거즈19932012로컬 보이, NPB 1998~2001
이승엽삼성 라이온즈19952017로컬 보이, NPB 2004~2011
이병규LG 트윈스19972016NPB 2007~2009
김태균한화 이글스20012020[21]로컬 보이, NPB 2010~2011
이대호롯데 자이언츠20012022로컬 보이, NPB 2012~2015, MLB 2016
윤석민KIA 타이거즈20052019MiLB 2014
봉중근LG 트윈스20072018로컬 보이, MLB 2002~2004
송승준롯데 자이언츠20072021로컬 보이, MiLB 1999~2006

3. 일본프로야구[편집]


  • 볼드체는 영구결번
이름클럽포지션입단은퇴비고
사와무라 에이지대일본도쿄야구클럽-도쿄 교진군투수1934년1944년일본야구전당 헌액
후지무라 후미오오사카 타이거스투수, 2루수, 3루수1936년1958년한신 타이거스 감독 역임[22]
1956년 은퇴 후 1958년 재복귀, 은퇴
일본야구전당 헌액
카와카미 테츠하루도쿄교진군-요미우리 자이언츠1루수1938년1958년[23]요미우리 자이언츠 감독 역임
일본야구전당 헌액
핫토리 츠구히로나고야군-주부닛폰 드래곤즈-주니치 드래곤즈-나고야 드래곤즈-주니치 드래곤즈투수, 포수1939년1958년[24]1942년 은퇴 후 1946년 복귀, 1955년 재은퇴, 1957년 재복귀 후 1958년 재은퇴
가네다 마사야스오사카 타이거스-한신군-오사카 타이거스좌익수1942년1957년[25]한신 타이거스 감독 역임
나카니시 후토시니시테츠 라이온즈3루수1952년1969년니시테츠 라이온즈 감독 역임[26]
일본야구전당 헌액
요시다 요시오오사카-한신 타이거스유격수1953년1969년[27]한신 타이거스 감독 역임
일본야구전당 헌액
히로오카 다츠로요미우리 자이언츠유격수1954년1966년[28]일본야구전당 헌액
미나가와 무쓰오난카이 호크스투수1954년1971년일본야구전당 헌액
가지모토 타카오한큐 브레이브스투수1954년1973년한큐 브레이브스 감독 역임
일본야구전당 헌액
모리 마사아키요미우리 자이언츠포수1955년1974년일본야구전당 헌액
히로세 요시노리난카이 호크스중견수, 유격수1955년1977년난카이 호크스 감독 역임
일본야구전당 헌액
이나오 가즈히사니시테츠 라이온즈투수1956년1969년[29]니시테츠-타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즈 감독 역임
일본야구전당 헌액
스기우라 타다시난카이 호크스투수1958년1970년난카이-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감독 역임
일본야구전당 헌액
나가시마 시게오요미우리 자이언츠3루수1958년1974년[30]요미우리 자이언츠 감독 역임
일본야구전당 헌액
무라야마 미노루오사카-한신 타이거스투수1959년1972년[31]한신 전기철도
(1958, 실업)
한신 타이거스 감독 역임[32]
일본야구전당 헌액
아다치 미츠히로한큐 브레이브스투수1959년1980년[33]
오 사다하루요미우리 자이언츠1루수1959년1980년[34]요미우리 자이언츠 감독 역임
일본야구전당 헌액
대만 국적
타카기 모리미치주니치 드래곤즈2루수1960년1980년주니치 드래곤즈 감독 역임
일본야구전당 헌액
타카이 야스히로한큐 브레이브스내야수, 지명타자1964년1982년
나카자와 신지한큐 브레이브스포수1965년1985년
기누가사 사치오히로시마 도요 카프1루수, 3루수1965년1987년[35]일본야구전당 헌액
호리우치 츠네오요미우리 자이언츠투수1966년1983년요미우리 자이언츠 감독 역임
일본야구전당 헌액
스즈키 케이시킨테츠 버팔로즈투수1966년1985년킨테츠 버팔로즈 감독 역임
일본야구전당 헌액
미무라 토시유키히로시마 도요 카프유격수1967년1983년히로시마 도요 카프 감독 역임
호시노 센이치주니치 드래곤즈투수1969년1982년주니치 드래곤즈 감독 역임
일본야구전당 헌액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영구결번[36]
아리토 미치요롯데 오리온즈3루수, 외야수1969년1986년롯데 오리온즈 감독 역임
야마모토 코지히로시마 도요 카프외야수1969년1986년[37]히로시마 도요 카프 감독 역임
일본야구전당 헌액
야마다 히사시한큐 브레이브스투수1969년1988년일본야구전당 헌액
후쿠모토 유타카한큐 브레이브스외야수1969년1988년일본야구전당 헌액
히가시오 오사무니시테츠-타이헤이요클럽-크라운라이터-세이부 라이온즈투수1969년1988년세이부 라이온즈 감독 역임
일본야구전당 헌액
와카마츠 츠토무야쿠르트 아톰즈-야쿠루트 스왈로즈외야수1971년1989년[38]야쿠르트 스왈로즈 감독 역임
일본야구전당 헌액
나시다 마사타카킨테츠 버팔로즈포수1972년1988년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최후의 감독
카케후 마사유키한신 타이거스3루수1974년1988년
나카하타 키요시요미우리 자이언츠3루수, 1루수1976년1989년
키타벳푸 마나부히로시마 도요 카프투수1976년1994년일본야구전당 헌액
오노 유타카히로시마 도요 카프투수1977년1998년일본야구전당 헌액
타츠카와 미츠오히로시마 도요 카프포수1978년1992년히로시마 도요 카프 감독 역임
하라 타츠노리요미우리 자이언츠3루수1981년1995년요미우리 자이언츠 감독 역임
오오이시 다이지로킨테츠 버팔로즈2루수1981년1997년
히라타 카츠오한신 타이거스유격수, 2루수1982년1994년
이토 쓰토무세이부 라이온즈포수1982년2003년[39]세이부 라이온즈 감독 역임
후루쿠보 겐지킨테츠-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포수1983년2002년
이케야마 타카히로야쿠르트 스왈로즈유격수, 3루수1984년2002년
야마모토 마사주니치 드래곤즈투수1984년2015년[40]본명: 야마모토 마사히로
일본야구전당 헌액
NPB 역사상 최고령, 최다근속 선수
궈타이위안세이부 라이온즈투수1985년1997년대만 국적
후쿠라 준이치한큐-오릭스 브레이브스-블루웨이브2루수, 3루수1985년1997년오릭스 버팔로즈 감독 역임
와다 유타카한신 타이거스2루수, 3루수, 유격수1985년2001년한신 타이거스 감독 역임
오가타 코이치히로시마 도요 카프내야수, 외야수1987년2009년히로시마 도요 카프 감독 역임
이마나카 신지주니치 드래곤즈투수1989년2001년
노무라 겐지로히로시마 도요 카프유격수1989년2005년히로시마 도요 카프 감독 역임
하츠시바 키요시롯데 오리온즈-치바 롯데 마린즈3루수, 1루수1989년2005년
사사오카 신지히로시마 도요 카프투수1990년2007년히로시마 도요 카프 감독 역임
후루타 아츠야야쿠르트-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포수1990년2007년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감독 역임
일본야구전당 헌액
오치아이 에이지주니치 드래곤즈투수1992년2006년
미우라 다이스케요코하마 타이요 훼일즈-베이스타즈-DeNA 베이스타즈투수1992년2016년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감독 역임
후쿠우라 카즈야치바 롯데 마린즈1루수, 외야수, 지명타자1994년2019년[41]
미야모토 신야야쿠르트-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유격수, 3루수, 2루수1995년2013년
사이토 가즈미후쿠오카 다이에-소프트뱅크 호크스투수1996년2013년
아라키 마사히로주니치 드래곤즈2루수, 유격수, 외야수1996년2018년
마쓰나카 노부히코후쿠오카 다이에-소프트뱅크 호크스1루수, 외야수, 지명타자1997년2015년
타카하시 요시노부요미우리 자이언츠투수1998년2015년요미우리 자이언츠 감독 역임
이와세 히토키주니치 드래곤즈투수1999년2018년[42]
아베 신노스케요미우리 자이언츠포수2001년2019년
히라타 료스케주니치 드래곤즈외야수2006년2022년


3.1. 해외리그를 경험한 선수[편집]




4. 원 클럽 플레이어에 준하는 선수[편집]


  • 김원형 : 1991년부터 1999년까지 총 9시즌을 쌍방울 레이더스에서 뛰고 쌍방울이 해체된 뒤 선수단만 인수한 SK 와이번스에서 2011년까지 총 12시즌을 뛰었다. 이후 SK에서 은퇴식까지 치뤘다. 아래의 오주원, 이숭용처럼 사실상 원 클럽 플레이어다.

  • 오주원: 2004년부터 2007년까지 현대 유니콘스에서 뛴 후, 팀 해체 후 선수단을 승계한 히어로즈에서 2008년부터 2021년까지 총 13시즌 동안 선수생활을 하였다. 이숭용처럼 자의적으로 팀을 옮긴 것이 아니라 해체 후 선수단만 인수한 팀으로 옮긴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원 클럽 플레이어로 쳐도 무방하다.


  • 정현석: 한화 이글스에서 2007년부터 2017년까지 11시즌(경찰 야구단 복무 기간 포함)동안 선수생활을 했다. 2015 시즌을 앞두고 배영수의 FA 보상으로 삼성 라이온즈에 이적했다가 하루만에 현금 트레이드 형식으로 한화 이글스로 리턴했다. 그래서 단 2일 동안이나마 삼성 소속이었던 적이 있긴 하지만 경찰 야구단 복무를 제외하면 사실상 한화에서만 선수생활을 했다.

  • 김강민: 2001년부터 2023까지 총 23시즌을 SK와이번스-SSG랜더스에서 뛰다가 프런트가 역대급 사고를 치는 바람에 은퇴시즌이 될 2024년을 거의 강제로 한화 이글스에서 보내게 되었다. 본인이 먼저 SSG 프런트에 은퇴의 청사진을 제시했던만큼 어찌되었든 계획대로라면 2024시즌 중에 은퇴할 것이므로 한화에서는 1시즌도 다 뛰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즉, 시즌 완주 전에 은퇴할 예정이고, 한화로의 이적이 SSG프런트의 잘못이고 전적으로 타의에 의한 것이므로 사실상 SK-SSG 원 클럽 플레이어로 쳐도 무방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원 클럽 플레이어 문서의 r96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원 클럽 플레이어 문서의 r96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9:53:05에 나무위키 원 클럽 플레이어/야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단, 대부분의 MLB 원 클럽 플레이어들은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애초에 성적이 변변찮은 선수는 웬만해서는 다른 팀으로 트레이드되는데, 원 클럽 맨이라는 것은 선수 생활 동안 단 한 번도 폭망하거나 하는 시즌이 없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2] 외야수로 1890경기 출장, 좌익수 929경기, 우익수 783경기, 중견수 331경기 출장으로 사실상 외야 전 포지션이 가능했다.[3] 1016경기 출장. [4] 1125경기 출장, 22세~30세[5] 1259경기 출장, 31~40세[A] A B 베테랑 위원회를 통해 입성했다.[6] 1479경기 출장[7] 외야 1218경기 중 1150경기 출장[8] 선수생활은 2017년까지 했으나 공식 은퇴발표는 2018년에 했다.[9] 선수생활은 2020년까지 했으나 공식 은퇴발표는 2021년에 했다.[10] 이호성 살인 사건으로 인해 언급이 꺼려지는 케이스.[11] 불법 도박, 불법도박사이트 개설 혐의로 프랜차이즈 스타 대우는 불가능함.[12] 승부조작, 불법 도박 혐의 등으로 이미지가 실추되어 구단이나 팬들로부터 언급이 꺼려지는 케이스다.[13] 개명 전 이승화[14] 개명 전 문재화[15] 2022년 11월 11일, 개인 SNS 글을 통해 롯데 외의 다른 팀에서 뛰는 것은 의미가 없다며 은퇴를 선언했다.[16] 은퇴 이후에도 미국 연수를 다녀온 2007~2008년을 제외하고 2005년부터 2022년까지 코치와 감독으로 활동했다. 근속연수로 치면 무려 26년.[17] 선수 은퇴는 2020년 선언하였고, 2022년 은퇴경기를 가졌다.[18] 은퇴 이후에도 2015~2016년을 제외하고 2020년까지 한화에서 코치로 활동하면서 한 구단에서 무려 28년을 재직했다.[B] A B 쌍방울 레이더스의 지명을 받았으나 지명권을 보유한 쌍방울이 해체되고 선수단만 인수해서 재창단한 SK로 프로 지명권이 양도되어 SK에 입단하였다.[19] NC 다이노스 내에서 최초로 원 클럽 플레이어로 은퇴한 선수이다.[20] kt wiz 내에서 최초로 원 클럽 플레이어로 은퇴한 선수이다.[21] 2020년 은퇴 선언 후 2021년 은퇴 경기를 가졌다.[22] 1946년, 1950년부터 1956년까지 선수 겸 감독이었다.[23] 1943년부터 1945년까지 태평양 전쟁 참전으로 인해 활동하지 않았다.[24] 1955년, 1957~1958년은 플레잉코치.[25] 1945년은 전쟁으로 인해 활동하지 못했다.[26] 선수 겸 감독.[27] 1969년은 플레잉코치.[28] 1961년부터 1966년까지는 플레잉코치였다.[29] 1966년부터 1969년까지는 플레잉코치로 활동하였다.[30] 1972년부터 1974년까지는 플레잉코치였다.[31] 은퇴경기는 1973년에 치뤘다.[32] 감독 1기(1970~1972)는 선수 겸 감독.[33] 1980년은 플레잉코치. 1군 기록이 없다.[34] 1976년부터 1980년까지는 플레잉코치였다.[35] 1984년부터 1987년까지 플레잉코치로 활동하였다.[36] NPB 역사상 최초의 감독 영구결번[37] 1984년부터 1986년까지는 플레잉코치로 활동하였다.[38] 1989년은 플레잉코치[39] 2002년부터 2003년까지는 플레잉코치로 활동하였다.[40] 은퇴 경기는 2016년 치뤘다.[41] 2018년부터 2019년까지는 플레잉코치로 활동하였다.[42] 은퇴 경기는 2019년 치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