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105 (r8판)

편집일시 :



파일:105_2108.png


파일:105_1390.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05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05 노선도.png

기점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7단지영업소)
종점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5가(숭례문)
종점

첫차
04:00
기점

첫차
05:10
막차
22:40
막차
23:45
평일배차
8~15분
주말배차
토요일 8~13분 / 공휴일 9~16분
운수사명
흥안운수
인가대수
22대(예비 1대)[1]
노선
7단지영업소 - 도봉면허시험장 - 상계주공1단지.백병원 - 중계역 - 하계역 - 서울과학기술대입구 - 공릉역 - 태릉입구역 - 먹골역 - 중화역 - 중랑역.동부시장 - 삼육서울병원 - 청량리역 환승센터 - 제기동역 서울약령시 - 신설동역 - 동대문역 - (→ 종로중부새마을금고 →)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퇴계로6가 → 퇴계로5가 →충무로역.대한극장 → 명동역회현역숭례문(서울역) → 남대문시장 → 롯데영프라자 → 을지로입구 → 을지로5가 → 국립중앙의료원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흥안운수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38.8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신설되었다. 노선은 구 10-1번(상계4동~무교동)의 청량리 - 무교동 구간과, 구 215번(도봉동~경동시장) 등을 적당히 분배한 형태였다.

  • 흥인지문 녹지조성공사로 인해 2008년 8월 7일, 종로5가사거리에서 좌회전하도록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09년 7월 11일에 종로5가사거리 좌회전에서 종로세브란스의원 P턴, 동대문역사문화공원 경유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3년 10월에 N13번 심야버스가 개통하면서 3대가 감차되었다.

  • 2022년 5월 9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심야 시간대 시민 이동권 확보를 위해 평일과 토요일에 한해서 상계동 방향 막차를 퇴계로2가.명동역(ID 02-150) 기준으로 오전 1시까지 연장하여 운행한다. 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공릉구길로 운행하던 도시형 10번은 실질적으로는 1221번과 10-1번은 1224번이 계승했으므로, 동일로로 운행하던 도시형 117번, 215번을 계승한 측면이 더 크다고 할 수 있겠다. 개편당시 측면 행선판에는 (10번 변경) 혹은 (舊 10번) 이라고 쓰여있었는데 아마 흥안운수 간판 노선이 10번 시리즈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 퇴계로와 을지로를 편도로 운행 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숭례문 방향은 퇴계로를, 상계동 방향으로는 을지로를 이용한다.

  • 상계동에서 중화역까지의 동일로 구간에서는 146번의 과수요를 분담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묵동, 중화동 주민들의 청량리, 경동시장, 제기동 등지로의 이동에 도움을 주고 있다.

  • 상계동 쪽에서는 서울역 방향은 서울 지하철 4호선이 진리라는 생각에 잘 타지 않는 편이지만, 하계동, 공릉동 등지에서 동대문, 충무로와 명동, 을지로 방향으로 가는 경우는 지하철을 타기 귀찮아[2] 이 버스를 타는 경우도 종종 있다.

  • 일부 정류장의 이 노선의 노선도를 보면, 상계주공7단지<->서울역 이라 나오는데 서울역과 거리가 조금 있다[3]. 실질적으로 회차하는곳은 숭례문이다. 굳이 서울역을 가려면 회기역 ~ 동대문역 사이에서 지하철 1호선 환승이나, 동묘앞역에서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들어가는 노선인 103번, 152번, 201번으로 환승하는 것이 편리하다. 물론, 같은 서울역이라도 1호선을 타는게 목적이라면 숭례문에 내려 걸어도 그다지 번거롭진 않다.

  • 100번대 간선버스들 중 유일하게 강북구성북구를 지나지 않는다.[4] 대신 유일하게 중랑구를 지난다.

  • 배차간격이 상당히 들쭉날쭉하다. 2004년 개편 당시에는 25대가 넘었으나, 2005/2009년의 감차를 거치면서 2010년 쯤에는 24+1대로 운행했었다. 하지만 이후에 추가로 감차가 이뤄지면서 2013년 심야버스 N13 신설때 3대 감차가 이뤄지며 22대로 운행 중이다. 평일에는 배차 변동이 심한 편이지만, 주말에는 차가 막히지 않으면 15분 주기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05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13,906명
-
2014년
13,331명
▽ 575
2015년
12,959명
▽ 372
2016년
12,668명
▽ 291
2017년
11,995명
▽ 673
2018년
11,530명
▽ 465
2019년
11,891명
△ 361
2020년
9,127명
▽ 2,764
2021년
8,838명
▽ 289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회기역[A], 청량리역, 제기동역, 신설동역, 동묘앞역, 동대문역, 서울역[5]
  •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설동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6], 을지로입구역, 을지로3가역, 을지로4가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충무로역, 을지로3가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노원역[7], 동대문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B], 충무로역, 명동역, 회현역, 서울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B], 을지로4가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태릉입구역, 동묘앞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 노원역[8], 중계역, 하계역, 공릉역, 태릉입구역, 먹골역, 중화역
  •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중랑역, 회기역[A], 청량리역, 서울역
  •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춘선: 중랑역, 회기역[A], 청량리역
  •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청량리역
  • 파일:UiLine_icon.svg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신설동역
  • 파일:AREX_icon.svg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 일반 철도역: 청량리역(KTX, ITX-새마을, ITX-청춘, 무궁화),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 누리로)


[1] 토요일 20대 / 공휴일 17대 운행[2] 나머지 노원구(중계, 하계, 공릉) 동네에서 전철로 그렇게 가려면 노원역에서 한 번 환승해야 하기 때문이며, 월계동은 1호선 덕에 도심 방향에선 나은 편.[3] 빨리 가면 도보로 5~8분 가량 소요된다.[4] 100번, 103번도 강북구를 지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100번의 용산구청 방향의 오현초등학교~미아사거리 구간, 그리고 103번 서울역 방향의 창문여고앞, 숭곡초등학교입구 정류장이 강북구 소재이다.[A] A B C 삼육서울병원 하차 후 도보.[5] 숭례문 하차 후 도보[6] 동대문역사문화공원 하차[7] 도봉면허시험장 정류장 하차[B] A B 광희동 정류장 하차 후 8번 출구로 진입[8] 상계주공3/6단지 정류장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