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751 (r16판)

편집일시 :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5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751 노선도.png
기점서울특별시 은평구 구산동(선진운수종점)종점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숭실대정문)
종점
첫차04:00기점
첫차05:50
막차22:10막차23:50
평일배차7~15분주말배차토요일 8~15분 / 공휴일 8~15분
운수사명선진운수인가대수32대[1]
노선선진운수종점 - 구산중학교.구산교회 - 신사동고개 - 응암오거리 - 북가좌2동주민센터 - DMC파크뷰자이 - 모래내시장.가좌역 -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 연세대앞 - (← 세브란스병원 ← 이대부중 ← 이대부고 ← 이대부중 ←) - 신촌기차역 - 이대역 - 아현역 - 충정로역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4번 승강장) →) - 숙대입구역 - 삼각지역 - 신용산역 - 한강대교 - 노들역 - 노량진역 - 동작구청 - 장승배기역 - 상도역 - 숭실대입구역 - 숭실대정문


2. 개요[편집]


선진운수에서 운행 중인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 거리는 47.3km.전체 정류소 목록


3. 역사[편집]


  • 구 143번 도시형버스(구산동 - 숭실대)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751번으로 변경되었다.

  • 2021년 1월 15일부터 숭실대학교에서 총신대학교서리풀터널을 경유하여 교대역으로 연장되었다. 노선 연장으로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구산동에서 출발하는 막차 시각이 22:30에서 22:20으로 10분 당겨지고, 정상운행차량과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 횟수가 감축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증차는 전혀 없어서 1일 총 운행 횟수가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30회/24회/25회씩 감회되었고, 최소/최대 배차간격 역시 2~3분씩 늘어나게 되었다. 또한 이 노선의 연장으로 인해 사당동 주민들은 동작구청이나 교대역 방향으로 가는 또하나의 방법이 생겨 편리해졌다. 관련 게시물
[ 연장 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751 노선도.png


  • 2021년 3월 27일부터 노선번호가 751번에서 742번으로 변경되었다.

  • 2021년 4월 26일 부터 교대역 방향으로 이수역(ID:22-385), 방배고개(ID:22-387), 구산동 방향으로 이수역(ID:22-393)에 추가 정차 하게 되었다. 이렇게 되면서 사당로에서 정차하는 정류장간의 거리가 필요 이상으로 좁아지게 되었다. #

  • 2021년 5월 25일을 기해 752번, 753번, 7022번에서 각각 1대씩 감차되어 이 노선에 증차되었다. 그로 인해 운행 댓수가 평일/공휴일 각각 3대, 토요일 5대 증편되며, 평일에는 현재 존재하는 단축운행차량 5대 중 2대가, 그리고 토요일에는 현재 존재하는 단축운행차량 1대가 정상운행차량으로 전환됐다. 다만 이번 증차와 함께 기점 막차시각도 22:20에서 22:10으로 또 앞당겨지며, 현재는 평일 240분, 토요일/공휴일 235분인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260분으로 늘어나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이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는 각각 10회/17회/7회씩만 증회되었다. 배차간격은 이번 증차 및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현재 평일 8~17분, 토요일/공휴일 8~19분에서 평일 7~15분, 토요일/공휴일 8~18분으로 소폭 줄었다. 관련 공문 관련 공문2 이 조치가 원래는 5월 10일에 실시할 예정이었으나, 서울행정법원에서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이 인용됨으로 인해 5월 25일로 한 차례 연기되었다.#

  • 2022년 7월 1일을 기해 상세 배차 조정이 실행되어, 토요일/공휴일 최소 배차간격이 8분에서 9분으로 늘어났다.관련 공문

  • 2022년 9월 예비차 1대가 유상감차 되었다.관련 공문

  • 2022년 11월 7일을 기해 전일에 걸쳐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260분에서 247분으로 감소하였다. 그런데도 평일/토요일/공휴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 6회씩, 공휴일 5회 감회되었다. 이에 따라 배차간격이 전체적으로 1분가량 증가하였으나, 향후 소급 조치에 따라 운행횟수 감회에도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배차간격이 7~13분/8~13분/8~14분으로 축소 조정되었다. 관련 공문 1 관련 공문 2

  • 2022년 12월 1일부로 평일 단축운행차량 3대 중 1대는 N73번으로 이동하고, 나머지 단축운행차량 2대 중 1대는 정상운행차량으로 전환되었다. 다만 이번 조치에 의한 운행횟수 및 배차간격 변동 발생은 없다. 관련 공지사항(공문 1) 관련 공문 2

  • 2023년 4월 27일을 기해 교대역 - 숭실대정문 구간 단축됨과 동시에 번호도 751번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4. 특징[편집]


  • 모래내시장 - 숭실대학교 구간이 750A/B번과 상당히 겹친다. 하지만 연대정문 - 경찰청 구간은 이대역을 경유하고, 한강대교 - 숭실대학교 구간은 상도터널을 경유하는 750A/B번과 달리 노량진/장승배기로 우회하여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

  • 경의선 신촌역 구간이 왕복이기는 하나, 구산동 방향은 이대역에서 연세대학교정문으로 빠질 때 2013년 10월까지만 해도 경의선 신촌역에서 바로 연대 쪽으로 갈 수 없었다. 연세로 대중교통 전용지구 공사 중이던 2013년 11월부터 경의선신촌역 앞에서 바로 좌회전이 가능해졌지만, 7017번과 함께 현재까지도 봉원고가 아래에서 U턴하는 방식을 여전히 유지 중이다.

  • 이 노선 역시 서울역버스환승센터를 경유하기는 하나, 750A/B번, 752번과 마찬가지로 구산동 방면으로 갈 때는 환승센터의 도로 구조상 정차하지 못한다. 따라서 갈월동 정류장에서 내려서 4호선 서울역 출구를 통해 횡단하거나, 숭례문 쪽으로 진입하는 다른 노선으로 환승해야 한다.

  • 구산동 본사에서 서울역으로 가는 노선들(702A/B번, 752번, 7022번, 9701번) 중 유일하게 신촌을 경유하는 노선이다. 이 중 서울역까지 가장 빠른 노선은 752번.[2]

  • 가스 충전은 동사 702A/B번의 종점인 용두동영업소까지 공차회송한다.

  • 2012년 개봉한 영화 건축학개론에서 건축학개론 교수가 학교(연세대학교)에 출근할 때 타는 버스로도 나온다. 이촌동에서 38번[3]을 타고 삼각지에서 143번으로 갈아타고 학교로 출근한다는 대사가 나오는데, 여기 언급되는 143번이 현재의 751번이다.

  • 7728번의 노선 변경으로 승객 감소 요인이 생겼음에도, 가재울뉴타운 일대, 넓게는 가좌~아현 구간에서는 러시 아워 시간대마다 엄청난 가축수송이 펼쳐진다. 교통량 자체도 도로 용량에 비해 어마어마해서, 평일 저녁 기준으로 노량진역에서 새절역까지 1시간 30분 전후가 소요된다.

  • 장승배기역에서 숭실대입구역까지는 7호선과 완전히 겹친다. 하지만 숭실대정문 정류소에서 여의도로 가는 753번 버스와 잠깐 휴식을 취한다.

  • 오랫동안 753번과 기종점이 비슷했다. 하지만 753번이 2017년 9월 11일에 구산동 선진운수 종점으로 연장하면서 기종점이 같아졌다. 단, 신촌 일대에서 갈라져서 장승배기역에서 다시 만난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51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20,170명-
2014년20,223명△ 53
2015년20,904명△ 71
2016년21,453명△ 509
2017년21,556명△ 103
2018년21,454명▽ 129
2019년21,125명▽ 329
2020년18,947명▽ 2,178
2021년13,890명▽ 5,057
2022년16,936명△ 3,046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역[A], 남영역[4], 용산역[B], 노량진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이대역, 아현역, 충정로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역[A], 숙대입구역, 삼각지역, 신용산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충정로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새절역, 삼각지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승배기역, 상도역, 숭실대입구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 서울 지하철 9호선: 노들역, 노량진역
  •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가좌역, 신촌역, 서울역[A], 용산역[B]
  • 파일:AREX_icon.svg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A]
  •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A], 용산역(KTX, ITX-청춘,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B]


6. 둘러보기[편집]




[1] 토요일 27대 / 공휴일 26대 운행[2] 702A/B와 9701은 공통적으로 광화문 정체의 영향을 받고, 여기에 702A/B는 역촌동/응암동으로 우회하며, 9701번은 서울역환승센터를 아예 경유하지 않는데다 서울역 방향 한정으로는 남대문시장(회현역)을 경유하기까지 한다. 또 742번은 가재울뉴타운과 신촌을 경유하며, 7022번은 불광역에서 구기동, 세검정, 효자동 쪽으로 우회하여 시내로 들어온다. 다른 노선들이 이런 반면, 752번녹번역에서부터 통일로로 쭉 내려온다.[3] 개편 전 38번은 월계동 - 동부이촌동 간 노선으로, 2004년 개편 때 1222번으로의 변경 및 노선 단축이 이루어져 이촌동에 오지 않게 됐다. 서울역 - 동부이촌동 구간은 현재 100번이 대체 중.[A] A B C D E 상도동 방향만 정차.[4] 숙대입구역 정류장 하차 후 도보 5분.[B] A B C 신용산역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