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740 (r6판)

편집일시 :



파일:신촌740번_뉴슈퍼개선형.png파일:서울740번개선저상.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잠수교 경유
4.2.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4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740 노선도.png
기점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덕은동(덕은동종점)종점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한국무역센터.삼성역)
종점
첫차04:00기점
첫차05:15
막차22:40막차00:00
평일배차6~12분주말배차토요일 8~12분 / 공휴일 10~12분
운수사명신촌교통인가대수31대(예비 3대)[1]
노선덕은동종점 - 월드컵파크9~12단지 - DMC첨단산업센터 - 수색역앞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모래내시장.가좌역 -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 연남동 - 동교동삼거리 - 신촌로터리 - 서강대학교 - 대흥역 - 용강초등학교 - 공덕역 - 효창공원앞역.이봉창 역사울림관 - 전쟁기념관 - 녹사평역 - 잠수교 - 반포한강공원.세빛섬 - 서초역 - 교대역 - 강남역 - 역삼역 - 선릉역 - 삼성역


2. 개요[편집]


신촌교통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8.6km다. 전체 정류소 목록


3. 역사[편집]


  • 구 772번 좌석버스(덕은동 - 삼성역)가 전신이다. 당시에는 코엑스가 COEX가 아니라 KOEX 또는 무역센터로 더 잘 알려졌던 때였으며, KOEX/삼성역/무역센터도 아닌 종합전시장이라는 매우 특이한 행선 표기를 썼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고속터미널 - 학동로 - 차관아파트 - 삼성역' 구간을 '서울성모병원 - 서초역 - 테헤란로 - 삼성역'으로 바꾸었으며, '삼성역 - 잠실역' 구간이 연장되었다. 또한 간선버스로 전환되었으며, 번호도 730번으로 바뀌었다.

  • 반포한강공원 경유 노선을 만들기 위해 2011년 4월 23일부터 반포대교 대신 잠수교를 경유한다.

  • 테헤란로 상습 정체로 인한 배차간격 유지 어려움을 이유로 2011년 8월 25일에 '삼성역 - 잠실역' 구간이 단축되었고, 권역에 맞춰 번호도 740번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문

  • 2015년 11월 1일 삼성역 사거리 유턴 및 좌회전이 가능하도록 변경되면서, 휘문고등학교까지 가지 않고 바로 삼성역사거리에서 회차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 2020년 1월 20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의 경우 3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2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2020년 10월 30일 평일 최대 배차간격이 10분에서 12분으로 늘어났다.[2]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서초역에서 삼성역까지 2호선과 완벽히 중복되면서 테헤란로를 관통하는 구간이라 차가 심각하게 밀린다는 것이 단점이다. 중앙버스전용차로도 없다![3] 굳이 강남 구간이 아니어도, 공덕오거리 ~ 삼각지역 사이에 경부선 상단으로 올라가는 고가차도를 통과하기 때문에 러시아워때 헬게이트이다. 노선 형태도 130번처럼 ㄱ+ㄴ 형태이다.

  • 삼성역 COEX를 경유하며 테헤란로를 타고 강남역을 지나니 바로 그 쪽에 있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역시 당연히 지난다. 서초역을 지나는 김에 그 옆의 대법원대검찰청까지 경유한다. 그 바로 옆에 있는 국립중앙도서관도 당연히 지나가며, 서울성모병원은 바로 앞에서 서 준다. 다만 아쉽게도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은 차창으로 뻔히 보이지만, 반포대교 고가차도[4]로 들어가기 때문에 도로 구조상 무정차 통과한다.[5] 다리를 건너 가면 이태원동입구와 전쟁기념관(+미군기지)가 있고, 신촌역을 지나길래 기대해 봤더니 직접 지나는 대학교는 서강대학교밖에 없긴 하지만 그래도 웬만한 곳은 다 돌아 준다.[6] 노선 단축 전에는 잠실역을 지나니 롯데월드도 당연히 경유하고, 단축 전에는 잠실종합운동장에도 들르는 노선이기도 했다.

  • 이런 환상적인 노선도 덕분에 출퇴근 버스로 인기가 높으며, 특히 서초역에서 내려 지하철이 잘 다니지 않고 설령 간다 해도 돌아가는 용산구 방향의 수요나 반대로 다리를 타고 서초역/교대역/강남역에 이르는 수요가 압도적이지만, 이태원로반포대로, 테헤란로의 연속적인 상습 정체 때문에 배차간격이 상당시간 지연되고 있다.[7]


  • 서울 지하철 6호선대흥역부터 녹사평역까지 겹쳤으나, 강남방면 연계가 시망이라 개편 이전에 폐선된 773번[8]에 비해 타격이 적었다.

  • 의외로 회사 이미지랑 전혀 걸맞지 않게 최근 들어 일반차량 중에 배차간격과 상관없이 에코를 무시하고 고알피엠 변속하는 차량이 종종 보인다. 사실은 거의 모든 시간대에 상습정체 때문에 고무줄이 된 배차간격을 어떻게든 최대한 정상적으로 유지하려고 하는 경우가 많다. 강북 구간도 신촌, 공덕, 녹사평 일대 교통량이 많지만 강남 구간 반포대로 ~ 서초대로 ~ 테헤란로 구간의 엄청난 교통체증으로 소요시간이 많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특히 강남성모병원 일대는 엄청나게 밀린다.[9] 하지만, 이 와중에도 친절함을 유지하는 기사들이 매우 많다. 친절할 뿐, 속도를 엄청 낸다는 뜻.

  • 470번과 함께 수색/DMC전철역/상암동에서 강남역을 이어주는 노선이다. 중간 경유지가 다르나 소요시간은 거의 비슷한 편이다. 추가로 421번과 함께 삼각지역에서 강남역을 이어주는 노선이나, 421번은 보광동 좁은길을 통해서 강남대로로 가는 것이 차이. 472번과는 신촌역에서 선릉역을 2호선 타고 돌아가지 않고 운행하며, 중간 경유지는 다르지만 소요시간 역시 거의 비슷한 편이다.


4.1. 잠수교 경유[편집]


반포대교를 이용했었던 노선인데, 2011년 4월 23일부터 양 방향 모두 잠수교를 이용한다. 405번은 도로 구조상 염곡동 방면만[10] 잠수교를 이용하지만, 이 노선은 직선이라 그런 거 신경쓸 필요 없기 때문에 양 방향 잠수교를 탄다.

따라서 장마철 한강 수위가 올라가서 5.5m(보행자, 자전거 통제)가 넘으면 잠수교상에 있는 반포한강공원(세빛섬) 정류소 하차가 금지되며[11], 6.2m를 넘기면 아예 반포대교로 올라간다.


4.2.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40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17,024명-
2014년18,064명△ 1,040
2015년18,112명△ 48
2016년17,417명▽ 695
2017년16,839명▽ 578
2018년16,002명▽ 837
2019년16,159명△ 157
2020년12,290명▽ 3,869
2021년11,969명▽ 321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역, 서초역, 교대역, 강남역, 역삼역, 선릉역, 삼성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교대역, 고속터미널역[A]
  •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삼각지역[B]
  •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공덕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 대흥역, 공덕역, 효창공원앞역, 삼각지역[B], 녹사평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 고속터미널역[A]
  • 파일:Seoulmetro9_icon.svg 서울 지하철 9호선: 고속터미널역[A]
  •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색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가좌역, 공덕역, 효창공원앞역
  •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선릉역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 신분당선: 강남역
  • 파일:AREX_icon.svg 인천국제공항철도: 디지털미디어시티역, 공덕역


[1] 토요일 23대 / 공휴일 21대 운행[2] 단,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는 변동 없음[3] 중앙차로는 수색로 구간, 동교동삼거리(삼성역 방향 정류장) 이외에는 없다.[4] (덕은동 방향에 한해) 잠수교로 가려면 도로 구조상 고가차도로 가야 한다.[5] 그래도 센트럴시티 쪽은 서울성모병원에서 내려서 조금 주어가면 갈 수는 있다.[6] 회차방식도 유턴이라 양방향 전부 커버.[7] 이때문에 이대역~삼성역 구간을 이용하기 위해 서초역에서 하차하여 지하철로 환승하는 승객이 많은 편이다.[8] 폐선 전까지 덕은동에서 가락시장까지 운행했던 노선이며, 대흥역에서 한강진역까지 겹치는 데다 엄청나게 긴 배차간격 탓에 6호선 개통 후 수요가 감소하여 2001년 후반에 폐선되었다.[9] 퇴근시간 헬게이트를 뚫고 기점에 도착하자마자 곧바로 다음 탕을 나가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나마 최근에는 운행횟수가 줄어서 좀 숨통이 트이는 편.[10] 도심 방면의 경우, 잠수교를 이용하면 한강중학교 삼거리에서 좌회전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11] 공원에서 나가기 위해 정류장에서 대기하는 승객만 승차 허용한다.[A] A B C 서울지방조달청, 서울성모병원 하차[B] A B 전쟁기념관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