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신한은행 SOL KBO 리그 포스트시즌

덤프버전 :





2023 신한은행 SOL KBO 포스트시즌 엠블럼
파일:2023 KBO 포스트시즌 엠블럼.svg

1. 개요
2. 정규시즌 경쟁
3. 진행
4. 최종 순위표
5. 티켓 가격
6. 포스트시즌 선수 기록
6.1.1. 투수
6.1.2. 타자
6.2.1. 투수
6.2.2. 타자
6.3.1. 투수
6.3.2. 타자
6.4.1. 투수
6.4.2. 타자
6.5.1. 투수
6.5.2. 타자
7. 여담
7.1. 포스트시즌 진출 팀
7.2. 포스트시즌 탈락 팀
7.3. 기타
7.4. 중계 방송 관련



1. 개요[편집]


KBO 리그 페넌트 레이스의 종료 후 열리는 41번째 포스트시즌.

2023년 포스트시즌은 전년도 포스트시즌과 마찬가지로 2023 KBO 정규 시즌 4위팀과 5위팀이 맞붙는 와일드 카드 결정전, 와일드 카드 결정전의 승리팀과 정규 시즌 3위팀이 맞붙는 준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 승리팀과 정규 시즌 2위팀이 맞붙는 플레이오프 그리고 플레이오프 승리팀과 정규 시즌 1위팀이 맞붙는 한국시리즈로 구성이 되어 있다.


2. 정규시즌 경쟁[편집]



2.1. 순위 경쟁 양상[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BO 리그/2023년/순위 경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운명의 3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BO 리그/2023년/10월/15~17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진행[편집]


2023년 KBO 리그 포스트시즌 대진표
1위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한국시리즈
파일:kt wiz 엠블럼.svg VS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우승
2위 파일:kt wiz 엠블럼.svg플레이오프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VS 파일:kt wiz 엠블럼.svg
파일:kt wiz 엠블럼.svg
준우승
3위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2021~2023).svg준플레이오프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VS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2021~2023).svg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탈락
4위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와일드 카드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VS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2021~2023).svg
탈락
5위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탈락

포스트시즌 진출 팀
  • LG 트윈스 : 9월 27일 포스트시즌 진출 확정, 10월 3일 정규시즌 1위 확정
  • kt wiz : 10월 5일 포스트시즌 진출 확정, 10월 10일 정규시즌 2위 확정
  • SSG 랜더스 : 10월 13일 포스트시즌 진출 확정, 10월 17일 정규시즌 3위 확정
  • NC 다이노스 : 10월 13일 포스트시즌 진출 확정, 10월 17일 정규시즌 4위 확정
  • 두산 베어스 : 10월 14일 포스트시즌 진출 확정, 10월 16일 정규시즌 5위 확정


3.1. 포스트시즌 일정[편집]


  • 일정은 10월 13일 발표된 포스트시즌 일정 기준이다.
파일:KBO2023포스트시즌일정표.jpg
2023년 KBO 포스트시즌 일정
일자요일경기 시간경기장소
WC10/18수요일이동일
10/19목요일18:30와일드카드 결정전 1차전창원 NC 파크
10/20금요일18:30와일드카드 결정전 2차전[1]
준PO10/21토요일이동일
10/22일요일14:00준플레이오프 1차전인천 SSG 랜더스필드
10/23월요일18:30준플레이오프 2차전
10/24화요일이동일
10/25수요일18:30준플레이오프 3차전창원 NC 파크
10/26목요일18:30준플레이오프 4차전[취소1]
10/27금요일이동일
10/28토요일14:00준플레이오프 5차전[취소1]인천 SSG 랜더스필드
PO10/29일요일이동일
10/30월요일18:30플레이오프 1차전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
10/31화요일18:30플레이오프 2차전
11/01수요일이동일
11/02목요일18:30플레이오프 3차전창원 NC 파크
11/03금요일18:30플레이오프 4차전
11/04토요일이동일
11/05일요일14:00플레이오프 5차전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
KS11/06월요일이동일, 한국시리즈 미디어데이
11/07화요일18:30한국시리즈 1차전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11/08수요일18:30한국시리즈 2차전
11/09목요일이동일
11/10금요일18:30한국시리즈 3차전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
11/11토요일14:00한국시리즈 4차전
11/12일요일이동일
11/13월요일18:30한국시리즈 5차전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11/14화요일18:30한국시리즈 6차전[취소2]
11/15수요일18:30한국시리즈 7차전[취소2]

잔여경기 일정 발표 시점에서는 원래는 10월 12일부터 포스트시즌을 시작하는 것이 목표였으나 계속 가을비로 인해 경기가 취소되면서 정규시즌 종료일이 10월 10일에서 10월 17일로 늦춰졌다. 당초 발표한 10월 17일에 우천취소 없이 정규시즌이 끝난다고 가정하면 와일드카드 결정전 1차전은 10월 19일 목요일 18시 30분에 창원 NC 파크에서 열린다. 10월 19일에 WC 1차전이 개최되고 포스트시즌 내내 우천취소가 없다는 가정을 내릴 경우 준플레이오프는 10월 22일부터 10월 28일까지, 플레이오프는 10월 30일부터 11월 5일까지, 한국시리즈는 11월 7일부터 11월 15일까지 열리게 된다.

KBO는 늦어도 11월 11일 이전에는 한국시리즈를 끝내는 것이 모두에게 편하다는 입장이다. 왜냐하면 11월 16일부터 일본 도쿄돔에서 24세 이하 국가대표팀이 출전하는 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이 열리기 때문이다. 일정상 11월 16일 12시에 호주와의 1차전이 예정돼있는데 11월 16일에 경기를 치르기 위해서는 못해도 11월 14일에는 도쿄에 도착해야 한다. 다만 예상치 못한 가을비로 인해 일정이 뒤로 밀리면서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그리고 11월 15일 이전에 한국시리즈가 끝나지 않으면 추운 날씨 때문에 KBO와 구단들 입장에서 대단히 곤란해진다. 그나마 2020년과 2021년에는 11월 15일 이후에 치르는 경기는 전부 고척 스카이돔에서 중립경기를 치르는 것으로 해결했지만, 2023년에는 11월 19일에 고척 스카이돔에서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 결승전이 개최되는 것이 사전에 확정되었다. 따라서 올해는 고척돔 중립경기 개최도 불가능하며, 포스트시즌이 더 미뤄지면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야외 경기를 강행해야 해서 상당한 경기력 저하 및 관객들의 불편이 우려되는 상황이며, 19년 전 2004년의 처절한 수중전에 견줄 만한 최악의 한국시리즈가 될 가능성도 있다. 만약 추위 속에서 가을비까지 겹친다면...

이후 10월 13일 KBO에서 포스트시즌 공식 일정을 발표했다. 많은 사람들의 예상대로 10월 19일 4위팀 홈구장에서 열리는 와일드카드 결정전 1차전부터 포스트시즌이 시작되며 한국시리즈 최종전인 7차전은 11월 15일에 진행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정규 시즌 잔여경기 중 우천으로 취소된 경기는 포스트시즌 중에 진행할 수 있다는 방침이지만 남은 경기가 하필이면 포스트시즌 순위와 직결되는 경기라 우천취소가 된다면 포스트시즌도 밀리게 될 것이다. 불행 중 다행으로 10월 18일까지는 비 소식이 없어서 정규 시즌 종료일인 10월 17일까지 예정된 경기는 정상적으로 열릴 전망이다.

당초 와일드카드 결정전 1차전이 예정된 10월 19일에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전국에 꽤 많은 비가 내릴 가능성이 예보돼 야구 관계자들의 간담을 서늘케 했지만 이 역시 불행 중 다행으로 비로 인한 일정 변경은 일어나지 않게 됐다. 우선 와일드카드 결정전 개최권을 가진 4위 자리에 경상남도 창원시를 연고로 하는 NC가 자리하면서 중부지방에서 경기가 열릴 일이 없어졌다. 더구나 중부지방의 비도 오전에 모두 그쳤고 비구름대가 충청권과 강원 남부, 경북 내륙 북부 등을 지나치면서 경기가 열리는 경남 남해안 쪽은 비가 아예 내리지 않았다.

3.2. 와일드카드 결정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2023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2023 KBO 포스트시즌 엠블럼(가로형).svg
2023 신한은행 SOL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
두산 베어스 VS NC 다이노스
경기경기 시간경기장AWAY결과HOME주관방송사[2]
1차전10월 19일 18:30창원 NC 파크두산 베어스914NC 다이노스파일:SPOTV 로고.svg

3.3. 준플레이오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BO 준플레이오프/2023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2023 KBO 포스트시즌 엠블럼(가로형).svg
2023 신한은행 SOL KBO 준플레이오프
NC 다이노스 VS SSG 랜더스
경기경기 시간경기장AWAY결과HOME주관방송사
1차전10월 22일 14:00인천 SSG 랜더스필드NC 다이노스43SSG 랜더스파일:KBS 2TV 로고.svg
2차전10월 23일 18:3073파일:SBS 로고.svg
3차전10월 25일 18:30창원 NC 파크SSG 랜더스67NC 다이노스파일:MBC 로고.svg

3.4. 플레이오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BO 플레이오프/2023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2023 KBO 포스트시즌 엠블럼(가로형).svg
2023 신한은행 SOL KBO 플레이오프
NC 다이노스 VS kt wiz
경기경기 시간경기장AWAY결과HOME주관방송사
1차전10월 30일 18:30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NC 다이노스95kt wiz파일:MBC 로고.svg
2차전10월 31일 18:3032파일:KBS 2TV 로고.svg
3차전11월 2일 18:30창원 NC 파크kt wiz30NC 다이노스파일:SBS 로고.svg
4차전11월 3일 18:30112파일:MBC 로고.svg
5차전11월 5일 14:00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NC 다이노스23kt wiz파일:KBS 2TV 로고.svg


3.5. 한국시리즈[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3년 한국시리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최종 순위표[편집]



5. 티켓 가격[편집]



6. 포스트시즌 선수 기록[편집]


  • 포스트시즌 경기에 출전한 선수의 기록만 표시 부탁드립니다.[3]
  • 선수 기록은 등번호 오름차순으로 정렬 부탁드립니다.

6.1. LG 트윈스[편집]




6.1.1. 투수[편집]


등번호선수경기수이닝홀드세이브피안타피홈런4사구삼진실점자책점ERAWHIP
1임찬규13⅔00006034112.452.45
3켈리211⅓10009059321.591.24
11함덕주43⅓10003005112.700.90
13최동환100000011000.001.50
18정우영21⅔00003001215.401.80
19고우석44⅓11015125448.311.38
31이정용4400015023000.001.75
38이우찬1000020212254.009.00
42김진성2100100021000.002.00
47김윤식15⅔10003013111.590.71
53최원태21⅓000020405533.754.50
54유영찬3600103016111.500.67
61백승현21⅔00002022000.002.40

6.1.2. 타자[편집]


등번호선수경기수타수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4사구도루타율출루율장타율OPS
2문보경517820144200.4710.4760.7651.241
4신민재518300011110.1670.2110.1670.378
7정주현1000000000----
8문성주517601033110.3530.3890.4710.860
10오지환519610386300.3160.4090.8421.251
15안익훈1000000010-1.000-1.000
16김민성41000001100.0000.5000.0000.500
17박해민518720027320.3890.4760.5000.976
22김현수521510172000.2380.2380.4290.667
23오스틴520710153100.3500.3810.5500.931
24손호영2000000110-1.000-1.000
27박동원516500243300.3130.4210.6881.109
30허도환11110010001.0001.0002.0003.000
44김범석11100000001.0001.0001.0002.000
51홍창기520700013300.3500.4350.3500.785
62최승민2000000201----

6.2. kt wiz[편집]



6.2.1. 투수[편집]


등번호선수경기수이닝홀드세이브피안타피홈런4사구삼진실점자책점ERAWHIP
1고영표3161100170511763.381.25
11김민21000050013327.005.00
18엄상백35⅓01004142446.751.50
19배제성12000030403313.503.50
32쿠에바스315110015248963.601.27
37이상동45⅓00004013111.690.94
38주권32000081016627.004.00
41손동현910⅔20206115221.690.66
43벤자민3150100162210984.801.20
48김영현2200003010114.502.00
60박영현88⅔01214125222.080.69
62김재윤5501025222559.001.40


6.2.2. 타자[편집]


등번호선수경기수타수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4사구도루타율출루율장타율OPS
4오윤석816500013100.3130.3330.3130.646
6박경수712000000200.0000.1430.0000.143
7김상수10381010024420.2630.3330.2890.622
10황재균10391230164200.3080.3410.4620.803
12송민섭83210002100.6670.7501.0001.750
16이상호63000000000.0000.0000.0000.000
22장성우1037920155100.2430.2560.3780.634
23조용호1026510023300.1920.2670.2310.498
24문상철1032920244300.2810.3430.5310.874
25알포드1030410124700.1330.2970.2670.564
27배정대1032120021081010.3750.5240.5631.087
34이호연64100011100.2500.3330.2500.583
44김준태43000000100.0000.2500.0000.250
52박병호1038610134200.1580.2000.2630.463
53김민혁98510030200.6250.7000.7501.450
55강현우1000001010-1.000-1.000
56신본기54100001000.2500.2500.2500.500
58정준영66300001010.5000.5000.5001.000


6.3. SSG 랜더스[편집]



6.3.1. 투수[편집]


등번호선수경기수이닝홀드세이브피안타피홈런4사구삼진실점자책점ERAWHIP
15고효준21⅓00000030000.002.25
22서진용21⅔00003011000.002.40
25엘리아스1801004106222.250.50
29김광현13010050414412.002.67
33맥카티1200003011000.002.00
38노경은22010041024418.002.00
42문승원14⅔00003136335.791.07
47오원석11⅓000050315533.755.25
67최민준2200001022000.001.50

6.3.2. 타자[편집]


등번호선수경기수타수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4사구도루타율출루율장타율OPS
0김강민22000000000.0000.0000.0000.000
2박성한312210000000.1670.1670.2500.417
6김성현38200001500.2500.5380.2500.788
8최상민1000000100----
13하재훈311100121200.0910.2310.3640.594
14최정39200152400.2220.4290.5560.984
17추신수39300001200.3330.4550.3330.788
20이재원21000000000.0000.0000.0000.000
24김민식34000000100.0000.2000.0000.200
27에레디아312200012200.1670.2860.1670.452
28강진성11000000000.0000.0000.0000.000
32조형우1000000000----
35한유섬313510243000.3850.3850.9231.308
37오태곤25100001200.2000.4290.2000.629
53최주환35200000100.4000.5000.4000.900
54최지훈25100000000.2000.2000.2000.400


6.4. NC 다이노스[편집]



6.4.1. 투수[편집]


등번호선수경기수이닝홀드세이브피안타피홈런4사구삼진실점자책점ERAWHIP
9태너31201001738912129.002.08
11송명기24⅓010051646612.462.08
13페디16100031112111.500.67
17김영규7721205164222.571.57
20최성영22⅔10002013000.001.13
21김시훈21⅔000020113316.201.80
22이용찬77000411237667.712.00
30임정호31⅔00201011000.001.20
41류진욱7900508054422.001.44
48이용준1300005121339.002.33
51이재학5810109366666.751.88
53신민혁316⅓10008026221.100.61
96이준호11⅓00000004000.000.00

6.4.2. 타자[편집]


등번호선수경기수타수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4사구도루타율출루율장타율OPS
00박영빈21000001010.0000.0000.0000.000
2박민우933910006720.2730.4000.3030.703
5서호철9328201103200.2500.2780.4060.684
7김주원931601024100.1940.2190.2580.477
10박세혁22100010000.5000.5000.5001.000
16도태훈77100002400.1430.4550.1430.597
23천재환11000000000.0000.0000.0000.000
25김성욱62100123210.5000.7502.0002.750
31손아섭9391520045210.3850.4160.4360.851
33최정원2000000000----
34오영수925610122100.2400.2690.4000.669
36권희동932601063400.1880.2780.2500.528
37박건우9351220177200.3430.3680.4860.854
47김형준929410357500.1380.2650.4830.748
55마틴834520175220.1470.1890.2940.483
68김한별11000000000.0000.0000.0000.000
92박한결11000000000.0000.0000.0000.000


6.5. 두산 베어스[편집]



6.5.1. 투수[편집]


등번호선수경기수이닝홀드세이브피안타피홈런4사구삼진실점자책점ERAWHIP
17홍건희1000041216681.007.50
27김강률1000010102254.006.00
29이병헌100000011000.000.00
46김명신100001011000.006.00
47곽빈13⅔000042345512.271.91
50이영하1101000012100.001.00
64최승용1100000001000.000.00
65정철원100002000000.003.00


6.5.2. 타자[편집]


등번호선수경기수타수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4사구도루타율출루율장타율OPS
9박준영11000000000.0000.0000.0000.000
10박지훈11100011001.0001.0001.0002.000
11로하스12210111001.0001.0003.0004.000
13허경민14000000100.0000.2000.0000.200
23강승호14210012100.5000.6000.7501.350
25양의지14100020100.2500.4000.2500.650
31정수빈14101020200.2500.5000.7501.250
32김재환13200001000.6670.6670.6671.333
39김인태14310011100.7500.8001.0001.800
51조수행12000000000.0000.0000.0000.000
52김재호14200003100.5000.6000.5001.100
53양석환15000000000.0000.0000.0000.000
92김태근11000000000.0000.0000.0000.000


7. 여담[편집]


  • 2023년 10월 14일 KIA 타이거즈의 탈락이 확정됨으로서 수도권 4팀에 비수도권 1팀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하는 구도는 5년 연속으로 이어지게 되었다.[4] 아울러 2021년처럼 수도권 4팀(LG·KT·SSG·두산), 경상권 연고팀 1팀(NC)의 구도로 짜여지게 됐다. 2021년에는 수도권에서 KT, LG, 두산, 키움이 진출하고 경상권에서 삼성이 홀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
  • 롯데 자이언츠와 현대 인수후 재창단 이래로 키움 히어로즈가 모두 탈락하면서 이 두 팀 중 한 팀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하면 한 팀은 탈락한다는 징크스는 깨지게 되었다.
  • NC 다이노스가 4위안에 진입함에 따라 포스트시즌 전체 수도권 경기는 피하게 되었다. 현재까지 포스트시즌 전체 수도권 경기는 2019년(두산·SK·키움·LG·NC), 2020년(NC·KT·두산·LG·키움), 2022년(SSG·LG·키움·KT·KIA) 3번 있었다.[5]
  • LG 트윈스가 정규시즌 1위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하면서 최근 5년 간(2019~2023) 포스트시즌에 개근한 유일한 팀이 되었고, 나머지 포스트시즌 진출 팀들은 공교롭게도 해당 기간 동안 1번씩 한국시리즈 우승을 경험했던 팀들(2019년 두산, 2020년 NC, 2021년 KT, 2022년 SSG)이다.
  • 공교롭게도 모든 시리즈가 연승으로 끝났다. 와일드카드 결정전은 한 경기만에 끝, 준플레이오프는 스윕, 플레이오프는 리버스 스윕, 한국시리즈는 1패 후 스윕.


7.1. 포스트시즌 진출 팀[편집]


  • LG 트윈스 : 창단 최초로 5연속 포스트시즌에 진출한 데 이어서 29년 만에 정규시즌 우승으로 한국시리즈 직행에 성공, 21년 만에 한국시리즈에 출전하게 되었다.[6] 아울러 2019 시즌 이래로 5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한 유일한 수도권 팀이 되었다.
  • kt wiz : 2020년부터 4연속으로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했다.[7] KT의 포스트시즌 진출로 현존하는 모든 팀들이 4년 이상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 기록을 남기게 되었다.[8]
  • SSG 랜더스 : 지난해 통합우승 이후 2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했다.
  • NC 다이노스 : 2020년 통합우승 이후 3년 만에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했다. 강인권 감독은 정식 감독 취임 첫 해에 팀을 가을야구로 이끌었고 창원 NC 파크에서 개장 이래 처음으로[9] 포스트시즌 경기가 열리게 된다.
  • 두산 베어스 : 2021년 한국시리즈 준우승 이후 2년 만에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했다. 이승엽 감독은 정식 감독 취임 첫 해에 팀을 가을야구로 이끌었다.


7.2. 포스트시즌 탈락 팀[편집]


  • KIA 타이거즈 : 5할 이상의 시즌 성적을 내고도 가을야구 진출에 실패했다.
  • 롯데 자이언츠 : 6년 연속으로 가을야구 진출에 실패했다.[10]
  • 삼성 라이온즈 : 2년 연속으로 가을야구 진출에 실패했다. 아울러 KBO 플레이오프가 생긴 이후 처음이자 1983년 이후 무려 40년 만에 연도의 끝자리가 3인 해에[11]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다.
  • 한화 이글스 : 5년 연속으로 가을야구에 탈락하였다.[12]
  • 키움 히어로즈 : 작년의 준우승팀이, 그것도 최하위로 가을야구에 탈락하였으며, 2017년 이후 6년 만에 키움이 없는 포스트시즌이 되었다.


7.3. 기타[편집]


  • 2023년 포스트시즌 중에도 포스트시즌 탈락 팀들의 프런트 수장과 코칭스태프 교체 여부가 관심거리로 대두될 전망이다.

  • 예상대로 포스트시즌 중 각 팀의 감독과 코치에 대한 신규 선임과 재계약 불발 소식이 매일같이 터져나왔다.
    • 10월 20일 (와일드카드 결정전 종료 다음 날)
롯데 자이언츠가 신임 감독에 김태형 前 두산 감독을 3년 총액 24억원 조건에 영입함과 동시에 재임 중 포스트시즌 진출 0회의 책임을 묻는 차원에서 성민규 단장을 해임했다.
  • 10월 21일 (준플레이오프 1차전 전날)
한화 이글스가 김재걸 前 삼성 라이온즈 2군 감독과 박재상 前 키움 히어로즈 1군 주루코치를 영입하기로 했다.
  • 10월 22일 (준플레이오프 1차전 당일)
준플레이오프 1차전 종료 직후 롯데 자이언츠가 이종운, 박흥식, 전준호, 최경철, 장태수, 정호진, 김동한, 라이언 롱 등 코치 8명과의 재계약하지 않기로 했다는 사실을 발표했다. 아울러 김태형 감독과 일한 경험이 있는 김주찬, 고영민 등 두산 코치 2명의 롯데행 가능성이 언급됐다.
  • 10월 25일 (준플레이오프 3차전 당일)
준플레이오프 3차전 종료 직후 롯데 자이언츠가 김민재 SSG 랜더스 1군 작전·벤치코치를 1군 수석코치로 영입한다는 사실이 발표됐다.
  • 10월 26일 (준플레이오프 종료 다음날)
KIA 타이거즈가 서재응 1군 투수코치, 곽정철 1군 불펜코치와 결별하는 대신 정재훈 前 두산 베어스 2군 투수코치, 이동걸 前 한화 이글스 1군 불펜코치를 영입하기로 발표했다. 아울러 정경배 SSG 랜더스 1군 타격코치가 한화 이글스 1군 수석코치로 이적한다는[13] 사실이 발표됐다.
  • 10월 31일 (플레이오프 2차전 당일)
SSG 랜더스김원형 감독을 전격 경질했다. 계약 기간이 아직 2년 더 남았지만 팀 운영 방향의 변화와 혁신을 꾀하기 위해[14] 김원형 감독과 결별하기로 했다. 아울러 미국에서 지도자 연수를 받고 있던 손시헌 필라델피아 필리스 산하 마이너 연수코치가 SSG 랜더스 2군 감독에 내정됐다.[15]
  • 11월 1일 (플레이오프 3차전 전날)
롯데 자이언츠가 신임 단장에 박준혁 전 운영팀장을 선임했다.
  • 11월 2일 (플레이오프 3차전 당일)
SSG 랜더스가 앞서 2군 감독 내정 기사가 나왔던 손시헌을 정식으로 2군 감독에 선임하였다.
  • 11월 5일 (플레이오프 5차전 이후)
SSG 랜더스가 신임 감독으로 이호준 LG 1군 타격 코치를 내정한다고 알려졌다. 공식 발표는 한국시리즈 이후에 밝힐 예정.[16] 소식과는 달리 이숭용 kt 단장이 신임 감독으로 내정되었다.

  • 한편, 오랫동안 리그에서 이름을 날렸던 스타들의 은퇴 소식도 들려왔다.
    • 10월 28일 (플레이오프 1차전 D-2)
롯데 자이언츠두산 베어스에서 뛰었던 투수 장원준이 20년간의 현역 생활을 마치고 은퇴를 발표했다.
  • 10월 29일 (플레이오프 1차전 D-1)
삼성 라이온즈NC 다이노스에서 뛰었던 내야수 박석민이 20년간의 현역 생활을 마치고 은퇴를 발표했다.

  • 현재까지 한국시리즈를 제외한 대부분의 포스트시즌 경기에서 매진 사례가 제대로 나오지 않았다. 유일하게 매진된 사례가 준플레이오프 1차전 인천에서 기록한 22,500명과 플레이오프 3~4차전 창원에서 17,400명 이렇게 3번 뿐인데, 그동안 KBO 리그 내에서 흥행을 주도한 롯데와 KIA가 이번 포스트 시즌에서 탈락한 반면, KT, SSG, NC로 대표되는 흥행참패동맹이 진출한 점[17], 상당수 경기들이 평일에 진행[18]한 점 등이 꼽히고 있다.


7.4. 중계 방송 관련[편집]


  • 케이블 중계나 중계 순번 조정 등의 변수가 없다면 WC MBC-KBS, 준PO SBS-MBC-KBS, PO SBS-MBC-KBS, KS KBS-SBS-MBC 순이 될 예정이었으며, WC 1차전이 케이블 중계, WC 2차전과 준PO 1차전이 KBS 중계로 확정됨에 따라 준PO KBS-SBS-MBC, PO KBS-MBC-SBS, KS MBC-KBS-SBS 순이 될 가능성이 높아 보였으나, SBS가 KS 1-4-7차전을 중계한다고 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19], PO 순번은 MBC-SBS-KBS 순번, 한국시리즈 순번은 SBS-MBC-KBS 순번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 순번은 PO MBC-KBS-SBS, KS SBS-MBC-KBS 순으로 나왔다.

  • 2년 만에 라디오 중계가 재개되었다. SSG 랜더스가 3위로 준플레이오프에 직행하면서, SSG 랜더스 홈경기 라디오 중계권을 보유한 OBS 라디오가 준플레이오프 1, 2차전 중계를 하게 되었다. 허나 SSG가 0:3으로 패퇴하면서 OBS 라디오의 중계는 2차전에서 끝났고 2년만의 라디오 중계도 이 시리즈를 끝으로 막을 내렸다.[20]

[1] 4위팀 NC 다이노스 시리즈 전적 1:0 승리로 진행되지 않는다.[취소1] A B 4위팀 NC 다이노스 시리즈 전적 3:0 승리로 진행되지 않는다.[취소2] A B 1위팀 LG 트윈스 시리즈 전적 4:1 승리로 진행되지 않는다.[2] 케이블 중계 시 현장중계 방송사.[3] 대타, 대주자, 대수비 포함[4] 2019 시즌 이래로 비수도권 진출팀/수도권 탈락팀은 2019 NC/KT, 2020 NC/SK, 2021 삼성/SSG, 2022 KIA/두산, 2023 NC/키움이다. 즉, 이 5년 동안 모두 포스트시즌에 진출한 유일한 수도권 팀이 바로 LG 트윈스이다.[5] 2019년 NC와 2022년 KIA는 나란히 5위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했으나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 탈락하면서 연고지에서 포스트시즌 홈경기를 치르지 못했다. 2020년은 NC 다이노스가 한국시리즈에 직행했으나, 코로나19로 인한 시즌 지연 개막의 영향으로 한국시리즈 전 경기가 고척 스카이돔에서 열렸다.[6] 2019년 4위, 2020년 4위, 2021년 3위, 2022년 2위, 2023년 1위[7] 2020년 2위, 2021년 1위, 2022년 4위, 2023년 2위[8] SSG 2007~2012, 키움 2013~2016, 2018~2022, LG 2019~2023, KT 2020~2023, KIA 1986~1994, NC 2014~2017, 삼성 1986~1993, 1997~2008, 2010~2015, 롯데 2008~2012, 두산 1998~2001, 2007~2010, 2015~2021, 한화 1988~1992[9] 개장 첫 해인 2019년에는 5위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하면서 서울에서 와일드카드 결정전 원정 1경기만 치르고 탈락했다. 이듬해인 2020년에는 정규 시즌과 한국시리즈 통합 우승에 성공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한국시리즈 전 경기가 고척 스카이돔에서 중립 경기로 치러지는 바람에 창원에서 포스트시즌 경기를 하지 못했다.[10] 2018년 7위, 2019년 10위, 2020년 7위, 2021~2022년 2년 연속 8위, 2023년 7위[11] 1993년은 플레이오프에 직행해서 한국시리즈까지 올라갔으나 선동열해태 타이거즈를 넘지 못하고 통산 6번째 준우승의 분루를 삼켰다. 디펜딩 챔피언 자격이던 2003년은 이마양으로 대표되는 핵타선을 앞세워 준플레이오프에 직행했으나 당시 돌풍과 파란의 팀이었던 SK 와이번스에 막혀 0승 2패로 광탈했다. 왕조 시절인 2013년은 한국시리즈에 직행했는데 7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두산 베어스를 꺾고 통산 7번째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렸다.[12] 2019년 9위, 2020~2022년 3연속 10위, 2023년 9위(9AAA9)[13] 정경배 코치는 최원호 한화 감독과 인천고등학교 동기동창이다.[14] 구단 측이 "성적에 대한 책임을 묻는 경질은 아니다"라고 얘기했지만 2023 시즌 후반기와 준플레이오프 내내 경기 내용이 형편없었던 만큼 성적 부진에 대한 책임도 일부 있어 보인다. 표면적인 경질 사유는 '세대교체를 통한 팀의 체질 개선'이다.[15] 심지어 손시헌의 SSG 2군 감독 내정 기사는 플레이오프 2차전 도중에 보도됐다. 공교롭게도 손시헌 코치의 SSG행 발표 시점부터 NC가 위기를 맞았고 하마터면 역전패를 당할 뻔했다.[16] 물론 SSG는 해당 보도와 관련해 '사실무근'이라면서 아직까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17] 물론 이번 시즌 SSG가 LG에 이어 관중 동원 2위를 차지하는 등 나름 흥행은 있었다.[18] 현재까지 주말·휴일에 진행된 경기는 인천에서의 준플레이오프 1차전과 수원에서의 플레이오프 5차전이다. 심지어 한국시리즈도 4차전만 토요일(11월 11일)에 진행되고 1차전부터 추운 날씨 속에서 진행될 예정이라 흥행에 변수로 작용된다.[19] 정우영 아나운서가 직접 SNS를 통해 밝힌 내용.[20] 왜 2023시즌 라디오 중계가 이틀만에 막을 내렸냐면 지상파 3사와 종교방송, 이번 포스트시즌에 진출한 NC 다이노스의 연고 방송사인 MBC경남이 중계권을 포기한 데다 중계권을 보유했던 방송사(부산MBC, 대구MBC/OBS, KNN, TBC)의 연고팀들(SSG 랜더스/롯데 자이언츠/삼성 라이온즈)이 탈락하면서 중계를 할 수 있는(즉, 중계권을 보유한) 라디오 방송사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광역연고 방송사인 KNN은 2017 시즌까지만 해도 NC의 포스트시즌 경기를 방송해 줬지만 2018 시즌에 따로 분리했다가 2020 시즌부터 다시 롯데 경기 중계에 집중하게 되면서 NC의 경기를 방송하지 않게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3-12 00:27:45에 나무위키 2023 신한은행 SOL KBO 리그 포스트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