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604 (r1판)

편집일시 :



파일:신길604번_뉴슈퍼개선형.png파일:신길604번_개선형저상1.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604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604 노선도.png
기점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신월동기점)종점서울특별시 중구 예관동(중구청·덕수중학교)
종점
첫차04:00기점
첫차05:10
막차23:00막차00:10
평일배차8~13분주말배차토요일 10~15분 / 공휴일 13~17분
운수사명신길운수인가대수24대(예비 1대)[1]
노선신월동기점 - 화곡동대림아파트·화곡중앙시장 - 신월초등학교 - 화곡역 - 강서구청·한국건강관리협회 - 등촌역·강서보건소 - 염창역.서울도시가스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신촌로터리·신촌역 - 서강대학교 - 대흥역 - 공덕역 - (→ 서울대동창회관 →) - 만리동고개 - 서울역서부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5번 승강장) →) - 남대문시장·회현역 - 명동역충무로역·매일경제 → 초동 → 을지로4가 → 중구청·덕수중학교 → 충무로역·대한극장 → 퇴계로3가·한옥마을·한국의집 → 명동역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신길운수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2.3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588번 도시형버스(신월1동 - 스카라극장)이 전신이다.[2]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가 604번으로 바뀌었다.

  • 서울역고가차도에 노선버스 진입이 금지되면서 2008년 12월 27일에 신월동 방향은 시청 및 세종대로네거리 경유 회차로 변경되었다.관련 공지사항

  • 2017년 5월 27일에 노선이 신월동 방향은 퇴계로에서 시청을 거쳐서 세종대로네거리까지 올라가서 U턴한 후 칠패로를 통해 염천교로 가던 것을 463번의 코스같이 퇴계로 → 염천교 직통으로 변경했다. 관련 공지사항

  • 2019년 7월 6일을 기해, 2회씩 운행하던 토요일과 공휴일의 단축운행차량이 사라지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토요일/공휴일 각각 4회/2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에 따라 토요일의 최소/최대 배차간격과 공휴일의 최대 배차간격이 1분가량 늘어나게 되었다.관련 공문

  • 2020년 9월 1일을 기해 평일/토요일 각각의 배차간격이 7~14분/11~16분에서 8~13분/10~15분으로 조정되었다.(단, 평일/토요일 모두 1일 총 운행횟수는 변동 없음)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5712번과 함께 화곡동에서 홍대, 신촌으로 진출하는 데 가장 많이 이용되는 노선으로 특히 강서구 - 신촌, 마포구 - 중구 사이의 수요가 많다. 하지만 배차간격이 그렇게 좋지 못하며, 평균 12분에서 16분까지 벌어진다. 특히 가장 정체가 많이 되는 구간은 회현역에서 중구청 사이, 퇴계로충무로역 구간이 가장 많이 정체가 되는 구간이다.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이후 회차 방식이 7011번과 동일했다. 왕편은 그럭저럭 괜찮은 선형이나, 복편은 숭례문에서 칠패로 사이를 세종대로네거리까지 가서 U턴후 칠패로를 통해 염천교로 향했다. 463번처럼 서울역버스환승센터는 퇴계로 진입 직전에만 들어간다. 2015년에 서울역고가의 전면 통제 때 463번이 퇴계로 → 염천교 직통으로 바뀌었지만, 본 노선과 7011번은 세종대로네거리까지 가서 U턴한 후 칠패로를 통해 염천교로 향했다. 현재는 463번처럼 퇴계로 → 염천교 직통으로 변경되었다.

  • BS110CN 저상버스도 투입되었지만, 비중이 그렇게 많지 않았다. 게다가 저상버스는 본사 착발 노선임에도 여러가지 운용상의 이유로, 부천 상1동 영업소에 주박했다. 가스충전 장소도 2008년에 부천상동에 충전소 생기고 그 때부터 부천상동으로 변경하였다. 일반버스 5대, 중저상버스 1대(예비), 저상버스 15대로 운행 중. 현재 신길운수 소속 신월동 본사 노선들 중에서 유일하게 저상이 들어가는 노선이다.

  • 신월동에서 첫차가 가장 빠르기 때문에 육교 건너편인 신월2동과 4동에서도 첫차 시간대에는 602번이나 603번을 타는 것보다 육교를 건너와서 이 노선을 타면 홍대와 신촌에 더 빠르게 진입할 수 있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604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12,330명-
2014년12,455명△ 125
2015년12,238명▽ 217
2016년12,173명▽ 65
2017년12,419명△ 246
2018년12,363명▽ 56
2019년12,414명△ 51
2020년9,496명▽ 2,918
※ 하차 인원 미포함


4.2. 노선[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604번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을지로4가.베스트웨스턴국도
02163
중구청앞.덕수중학교
02164
초동
02155
종점
이상 회차 구간
충무로역8번출구.대한극장앞
02154
충무로역.매일경제
02242
퇴계로3가.한옥마을.한국의집
02151
-
퇴계로2가.명동역
02150
명동입구
02149
남대문시장.회현역
02145
남대문시장.회현역
02146
중림동교차로
02106
서울역버스환승센터
02005
서울의료보건고등학교.서울역서부
02103
서울역서부
02105
손기정체육공원입구
02102
손기정체육공원
03228
만리동고개
02101
만리동고개
03227
한겨레신문사
14145
한겨레신문사
14146
신덕성결교회
14144
신덕성결교회
14143
공덕역.공덕시장
14141
공덕시장
14142
-서울대동창회관
14152
공덕역2번출구
14179
공덕역1번출구
14180
동도중학교.서울디자인고등학교
14177
동도중학교.서울디자인고등학교
14178
-용강초등학교
14176
대흥역
14175
대흥역
14174
광성중고등학교
14173
광성중고등학교
14172
서강대학교
14170
서강대학교
14171
신촌로터리
14169
신촌로터리
14168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
13021
신촌역
14228
동교동삼거리
13019
동교동삼거리
14061
홍대입구역
14016
홍대입구역
14015
서교동
14014
서교동
14013
합정역
14012
합정역
14011
양화대교전망카페
19848
양화대교전망카페
19846
양평한신아파트.선유도공원입구
19216
양평한신아파트.선유도공원입구
19214
-양평동한솔아파트
19218
영등포아리수정수센터
19215
안양천입구
19217
염창역.서울도시가스
16001
염창역.서울도시가스
16002
등촌역.강서보건소
16003
등촌역.강서보건소
16004
등촌중학교 백석초등학교
16005
등촌중학교 백석초등학교
16006
강서구청사거리.서울디지털대학교
16007
강서구청사거리.서울디지털대학교
16008
강서구청
16140
강서구청
16139
우장초등학교
16141
우장초등학교
16142
한국폴리텍1.서울강서대학교
16144
한국폴리텍1.서울강서대학교
16143
화곡본동시장
16145
화곡본동시장
16146
화곡역.현대주유소
16205
화곡역
16206
신월초등학교
16204
신월초등학교
16203
가로공원.나누리병원
16198
가로공원.나누리병원
16197
화곡중앙골목시장
16707
화곡동대림아파트.화곡중앙시장
16196
화곡대림아파트
16195
황외과앞
16190
하나은행신월동지점
15340
-
신월동기점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역[A]
  •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합정역, 홍대입구역, 신촌역, 을지로4가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충무로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역[A], 회현역, 명동역, 충무로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화곡역, 공덕역, 을지로4가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합정역, 대흥역, 공덕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 서울 지하철 9호선: 등촌역, 염창역
  •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홍대입구역, 공덕역, 서울역[A]
  • 파일:AREX_icon.svg 인천국제공항철도: 홍대입구역, 공덕역, 서울역[3]
  • 일반 철도역 :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6. 둘러보기[편집]






[1] 토요일 16대 / 공휴일 14대 운행[2] 신월동/화곡동에서는 지금도 588이라고 하면 다 알아듣고 신길운수 신월동종점을 588종점이라고 칭하기도 한다.[A] A B C 중구청 방면 한정.[3] 서울역서부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