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원표

덤프버전 :

분류

/ starting point of mile posts

파일:external/cfs8.blog.daum.net/490126f33442d&filename=%EB%8F%84%EB%A1%9C%EC%9B%90%ED%91%9C.jpg
파일:busan.jpg
서울특별시의 도로원표 (세종대로사거리)[1]
부산광역시의 도로원표 (옛시청교차로)[2]

1. 개요
2. 상세
3. 지역별 도로원표
3.1. 수도권
3.2. 강원도
3.3. 충청도
3.4. 영남
3.5. 호남
3.6. 제주도
4. 기타 국가의 도로 원표
4.1. 일본



1. 개요[편집]


도로의 기점(起點), 종점(終點) 또는 경과지를 표시한 것. 도로의 부속물 중 하나이다(도로법 시행령 제3조 제9호).

일반국도지방도에서 서울 XXkm, 부산 XXkm 등 특정 지역까지 거리가 얼마나 남았나 표시해 주는 도로표시의 기준점이 되는 곳이다. 서울의 도로원표는 광화문역 옆 세종대로사거리의 중심에 위치 하는데, 다른 지역에서 서울이 20km 남았다는 것은 다른 곳이 아닌 이 세종대로사거리 중심까지의 거리가 20km 남았다는 것을 말한다.

고속도로에서는 도로원표를 기준으로 하지 않고 나들목(IC)을 기준으로 거리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경부고속도로에서 '김천 50km'라는 표시가 보였다면 이는 김천시내의 도로원표까지의 거리가 아니라 김천IC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거리 표시에 붙는 지명도 실제 지역명이 아닌 IC명을 기준으로 하므로 '금왕꽃동네 Xkm' 같은 표시도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종종 낚시 같은 표시가 만들어지는데, 예컨대 '김제 4km'라고 써있어서 금방 김제시내가 나올 거라고 생각하게 만들지만 실제로는 김제IC에서 진출하고도 한참 가야 한다. 단적인 예로 남해고속도로 고흥IC고흥읍내에서 가장 가까운 IC인데도 정작 나가서 고흥읍내까지 30km 가량을 더 가야 하는데 고속도로 상에 '고흥 4km' 따위의 표지가 잘만 있다. 서울양양고속도로 인제IC영동고속도로 평창IC도 마찬가지. 이런 경우 고속도로를 나오고도 같은 이름의 도로원표까지 거리가 있어서, 분명 도착했는데 또 표지판에 같은 이름이 나타날 수도 있다.

지역명과 동일한 이름의 IC가 없는 경우 적당히 해당 지역 내 IC 하나를 정하는데, 경부고속도로에서 '서울'까지의 거리는 경부고속도로의 북측 기점 양재IC를, '대구'까지의 거리는 북대구IC를, '부산'까지의 거리는 구서IC를, 호남고속도로에서 '광주'까지의 거리는 서광주IC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대전'까지의 거리는 대전IC가 있으므로 논외. 중부고속도로의 '동서울'은 하남JC, 서해안고속도로의 '서서울'은 안산JC가 기준이다. 중부고속도로에서 하남JC 이북은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구간이라 이후 표기는 '구리'로 바뀐다. 서해안고속도로 이북 구간은 그대로 서해안고속도로지만, 안산JC 이북에 있는 서서울TG 위로는 무료 구간이라 이후에는 '성산대교'로 바뀐다.

2. 상세[편집]


도로원표는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시(제주특별자치도의 행정시 포함) 및 군에 각 1개를 설치하여야 한다(도로법 시행령 제50조 제1항).

서울특별시의 도로원표는 서울특별시장이 설치·관리하며 그 위치는 광화문광장의 중앙으로 한다(같은 조 제2항).

다른 지역의 도로원표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장(행정시의 경우에는 제주특별자치도지사)이 설치·관리하되 그 위치는 광역자치단체장이 정한다(같은 조 제3항). 즉 시, 군은 해당 지자체의 도로원표의 설치·관리는 하지만 그 도로원표의 위치는 상급 지방자치단체에서 정하는 것이다.

영 제50조제3항에 따른 도로원표(道路元標)의 위치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정한다(같은 조 제4항, 같은 법 시행규칙 제23조 제1항).
  • 광역시청·특별자치시청·도청·시청·군청 등 행정의 중심지
  • 교통의 요충지
  • 그 밖의 역사적·문화적 중심지
대체적으로 시/군청 일대가 도로원표가 되는 지역이 많으나, 도시계획에 따라 시/군청이 다른 곳으로 이전해 해당 지역의 대표적인 시설물 일대(역, 터미널 등)나 전통적인 시내 교통의 중심지(교차로 등) 등으로 정하고 있는 지역도 적지 않다.

도로원표의 종류에는 진표와 이표가 있다. 진표는 실제 도로원표, 즉 기준이 되는 곳이며 이표는 도로원표를 기념하려 표시가 된 곳이다.

예를 들어 서울의 경우 진표는 광화문사거리이지만 도로 한복판이여서 기념조형물 등을 세울 수 없다. 그리하여 이표가 동화면세점 근처에 표시되어 있으며, 국내 주요도시는 물론 세계 주요도시까지의 거리도 표시가 되어 있다.

또한 대구도 진표는 중앙로역 3번, 4번 출구 네거리이지만 도로 한복판이라서 가까운 이표가 가까운 경상감영공원 안에 있다.

이표가 설치되어 있는 곳은 대체적으로 방위표가 그려져 있고, 주요 도시들까지의 거리가 표시도 있는 경우가 많으며, 지역 랜드마크나 다른 조형물을 도로원표의 이표로 삼는 지역도 많다.[3]

본 문서의 도로원표 위치는 진표를 기준으로 표시하였다.

도로원표가 있는 곳은 국도가 지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국도대체우회도로(국대도) 개통이 많아지면서 도로원표가 있는 곳은 국도 지정에서 해제된 곳이 많아지고 있다. 다만 케이스 바이 케이스라서 6번 국도의 서울 구간처럼 내부순환로 ~ 북부간선도로로 변경하지 않고 세종대로사거리를 그대로 통과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

3. 지역별 도로원표[편집]



3.1. 수도권[편집]


  • 서울특별시 - 종로구 세종로 세종대로사거리[4] - 48번 국도종점, 6번 국도 통과, 1981년 이전의 1번 국도46번 국도 통과, 1979년 이전의 3번 국도 통과, 1981년 이전의 43번 국도 기점.
  • 인천광역시 - 중구 항동1가 한국 기독교 100주년 기념탑[5] - 42번 국도, 46번 국도, 77번 국도, 84번 지방도, 98번 지방도 통과
  • 수원시 - 팔달구 중동 중동사거리[6] - 42번 국도 통과
  • 성남시 - 중원구 성남동 성남종합운동장 - 구 3번 국도 통과[7]
  • 용인시 - 처인구 김량장동 처인구청(구 용인시청) - 구 42번 국도 통과[8]
  • 화성시 - 남양읍 화성시청[9] - 77번 국도 통과
  • 평택시 - 평택동 평택역 - 구 1번 국도(남북), 구 38번 국도(동서) 구 45번 국도(남북) 경유지. 1번 국도는 평택역 앞의 현 평택로에서 현재의 경기대로로 변경됐고 38번 국도는 현 서동대로, 45번 국도는 현 남북대로로 변경되어 도로원표인 평택역 주변을 통과하는 국도가 존재하지 않는다.
  • 오산시 - 오산 운동장사거리 - 1번 국도 통과
  • 안성시 - 봉산동 봉산로터리 - 302번 지방도 통과. 38번 국도였던 구간이다.
  • 연천군 - 연천읍 연천군청 - 구 3번 국도 통과[10]
  • 포천시 - 신읍동 포천시청 - 구 43번 국도 통과[11]
  • 동두천시 - 생연동 동두천시청 - 구 3번 국도 통과 [12]
  • 양주시 - 남방동 양주시청 - 구 3번 국도 통과[13]
  • 양평군 - 양평읍 양평군청
  • 의정부시 - 의정부동 의정부시청 - 지나는 국도는 없다. 39번 국도경민대학교 앞으로 지나간다.
  • 구리시 - 교문동 교문사거리 - 6번 국도, 43번 국도 통과
  • 남양주시 - 금곡동 남양주시청 제1청사(구 미금시청) - 6번 국도 및 구 46번 국도 통과. 현 46번 국도(경춘국도) 개통에 따라 지정 해제.
  • 가평군 - 가평읍 가평군청 - 구 75번 국도 통과. - 75번 국도가 석봉로에서 가화로로 이전되면서 국도 지정 해제. 수도권 지자체 중 도로원표가 지나는 국도 번호가 가장 뒷 번호이다.
  • 하남시 - 신장동 760번지[14] - 43번 국도 통과
  • 광주시 - 송정동 광주시청 - 43번 국도45번 국도 통과
  • 이천시 - 중리동 이천종합복지타운[15]
  • 여주시 - 홍문동 시청삼거리 - 구 37번 국도, 42번 국도 통과.
  • 파주시 - 아동동 파주시청 - 360번 지방도 통과. 파주시청 앞에 있는 도로는 통일로 개통 이전까지 1번 국도였다.
  • 고양시 - 덕양구 주교동 고양시청[16] - 39번 국도 통과[17]
  • 김포시 - 사우동 김포시청 - 구 48번 국도 통과
  • 부천시 - 중동 중앙공원[18] - 지나는 국도 없음. 왜 이렇게 됐냐면 당시 부천시의 도로원표는 구 부천시청(부천시청 이전 후 원미구청 (현 원미어울마당) 앞에 있었는데, 구 부천시청(원미구청) 자리에 39번 국도가 지나간다. 중동신도시 개발에 따라 부천시청이 중동신도시로 이전하는데 중동신도시는 국도가 지나는게 없어서 이렇게 됐다.
  • 광명시 - 철산동 광명시청 - 지나는 주요 노선도로 없음. 이전에도 노선도로(지방도 또는 국도)가 지나간 바 없다.
  • 시흥시 - 장현동 시흥시청 - 동쪽으로 39번 국도 통과.
  • 안산시 - 단원구 고잔동 안산시청 - 남쪽으로 39번 국도 통과.
  • 과천시 - 과천동 관문사거리 - 47번 국도 통과
  • 안양시 - 동안구 관양동 안양시청 (민원봉사실 앞) - 안양시청 상하좌우로 지나는 노선도로 없음. 북쪽으로 좀 떨어진 곳에 57번 국가지원지방도, 서쪽으로 좀 떨어진 곳에 1번 국도(경수대로) 통과.
  • 의왕시 - 고천동 의왕시청 - 1번 국도 통과. 경수산업도로 해당.
  • 군포시 - 산본동 중앙공원사거리 - 47번 국도에서 약 1.5~2km 지점에 있다. 산본신도시에 있어 47번 국도가 중앙공원 일대로 온 적은 없다.

3.2. 강원도[편집]


  • 춘천시 - 중앙로2가 중앙로터리 - 구 70번 지방도 통과[19]
  • 철원군[20] - 갈말읍 철원군청(신철원), 철원읍 철원 노동당사 앞(구철원)
  • 화천군 - 화천읍 화천군청[21] - 461번 지방도 통과.
  • 양구군 - 양구읍 상리 275번지 송죽모텔 - 구 31번 국도46번 국도 통과[23]
    • 양구군의 행정을 되짚어보자면... 원래는 송죽모텔이 아닌 바로 옆에 있는[22] 양구군민공원을 도로원표로 삼으려 했던 것 같아 보인다. 문제는 양구군청 교통과 담당자 공무원의 지번 지정 실수로 양구군민공원이 아닌 바로 옆의 송죽모텔이 도로원표가 되어버렸다는 점이다. 양구군민공원은 상리 276번지이고 송죽모텔은 상리 275번지이다. 그냥 바로 옆이어서 냅두고 있는 듯. 변경지정하려면 공문을 다시 쓰고 이게 결재라인 타고 올라가다 보면 "아니 왜 저때 잘못 지정한 걸 결재라인에서 아무도 못 잡았지?" 하면서 감사를 맞을테니 그냥 내버려둔 셈이다. 크게 차이나는 것도 아니고...
  • 인제군 - 인제읍 인제군청 - 구 44번 국도 통과.
  • 홍천군 - 홍천읍 홍천사거리 - 구 44번 국도 통과.
  • 횡성군 - 횡성읍 횡성군청 - 구 6번 국도 통과[24]
  • 원주시 - 명륜1동 원주종합운동장 - 구 42번 국도 통과[25]
  • 고성군 - 간성읍 고성군청 - 구 7번 국도 통과[26]
  • 속초시 - 중앙동 속초시청 - 구 56번 지방도 종점
  • 양양군 - 양양읍 양양군청 - 구 44번 국도 통과[27]
  • 강릉시 - 홍제동 강릉시청 - 7번 국도 통과, 35번 국도 통과, 영동고속도로 종점 및 구 동해고속도로 통과
  • 동해시 - 천곡동 천곡사거리 - 7번 국도 통과, 동해고속도로 기점[28]
  • 삼척시 - 교동 삼척시청 - 구 7번 국도 통과
  • 태백시 - 황지동 황지교사거리 - 35번 국도, 38번 국도 분기점.
  • 정선군 - 정선읍 정선교육지원청 - 구 42번 국도 통과. 42번 국도 이설로 국도 지정 해제. 지방자치단체 청사가 아닌 교육청 청사가 도로원표가 된 점이 특이하다.
  • 평창군 - 평창읍 평창군청 - 서쪽으로 31번 국도, 42번 국도 중첩 통과.
  • 영월군 - 영월읍 영월군청 - 남쪽으로 31번 국도 통과.

3.3. 충청도[편집]


  • 대전광역시 - 중구 용두동 서대전네거리[29][30] - 4번 국도 통과, 32번 국도 종점.[31]
  • 세종특별자치시 - 보람동 이응다리 남측 광장으로 이전 설치 [32]
    • 화성시에 이어 시급 도시들 중 드물게 읍 단위 지역에 도로원표가 위치했었는데, 이는 연기군 시절 연기군의 중심지가 경부선 철도가 통과하는 조치원읍이라 조치원에 도로원표를 뒀던 것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서 그랬다. 물론 추후 행정중심복합도시 쪽으로 도로원표를 이전할 가능성이 있다. 추후 너비뜰교차로, 세종호수공원, 정부세종청사 등으로 변경할 가능성이 높았다. 결국 세종특별자치시청 인근인 이응다리 남측광장(보람동)으로 이전하였다.기사
  • 청주시 - 상당구 수동 상당사거리 - 구 17번 국도, 36번 국도 통과, 과거 25번 국도 종점[33]. 충청북도청 바로 앞, 청주시청 부근이다.
  • 제천시 - 중앙로2가 중앙공원 - 구 38번 국도 통과[34]
  • 단양군 - 단양읍 별곡사거리 - 59번 국도 통과.
  • 충주시 - 금릉동 금릉소공원 - 구 3번 국도, 19번 국도, 36번 국도 통과[35]
  • 음성군 - 음성읍 중앙사거리
  • 진천군 - 진천읍 중앙동로 대촌길 분기점[36]
  • 증평군 - 증평읍 증평군청[37]
  • 괴산군 - 괴산읍 금산삼거리
  • 보은군 - 보은읍 이평교사거리 - 25번 국도 경유[38]
  • 옥천군 - 옥천읍 옥천군청
  • 영동군 - 영동읍 부용사거리
  • 천안시 - 동남구 원성동 도로원점삼거리 - 1번 국도23번 국도 경유지[39]
  • 아산시 - 모종동 동신사거리 - 구 21번 국도 통과[40]
  • 예산군 - 예산읍 터미널사거리 - 구 32번 국도 통과[41][42]
  • 당진시 - 채운동 당진1교교차로 - 지나는 일반국도는 없으며, 북쪽의 입체교차로인 채운교차로에 32번 국도가 동서로 횡단한다. 다만, 지방도는 유일하게 615번 지방도가 경유하는 교차로이다.
  • 서산시 - 석림동 석림사거리 - 29번 국도, 32번 국도 경유지(국도 29-32호선 분기점)[43]
  • 태안군 - 태안읍 태안공영버스터미널 앞 - 구 32번 국도 경유[44]
  • 공주시 - 신관동 금강둔치삼거리 - 32번 국도 통과[45]
  • 계룡시 - 금암동 계룡시청 - 시도 경유[46] 2003년 계룡출장소에서 분리 독립 이후 신설된 도로원표에 해당한다.
  • 금산군 - 금산읍 금산읍사무소사거리 - 13번 국도 경유지[47]
  • 논산시 - 취암동 논산오거리 - 643번 지방도 경유[48]
  • 홍성군 - 홍성읍 오관리 299-4[49]
  • 청양군 - 청양읍 읍내사거리 - 구 36번 국도 통과[50]
  • 부여군 - 부여읍 부여군청 - 구 4번 국도, 40번 국도 경유[51]
  • 보령시 - 명천동 수청사거리 - 36번 국도 통과, 과거 21번 국도40번 국도 분기점
  • 서천군 - 서천읍 오석사거리[52] - 21번 국도4번 국도 경유지 및 분기점


3.4. 영남[편집]


  • 부산광역시 - 중구 중앙로7가 옛시청교차로[53] - 7번 국도(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 · 77번 국도 기점 , 2번 국도 종점
  • 대구광역시 - 중구 포정동 경상감영공원[54] - 구 5번 국도 통과[55]
  • 울산광역시 - 중구 옥교동 문화의 거리 내 사거리[56] - 구 31번 국도 통과[57]
  • 안동시 - 옥야동 영호대교북단사거리 - 35번 국도 통과
  • 포항시 - 북구 덕산동 육거리 - 925번 지방도 통과
  • 경주시 - 황오동 팔우정삼거리 - 4번 국도, 7번 국도[58] 통과
  • 영천시 - 문외동 영천시청 - 구 35번 국도 통과
  • 경산시 - 중앙동 경산시청 - 919번 지방도 통과
  • 울진군 - 울진읍 읍남리 350[59] - 917번 지방도 통과
  • 봉화군 - 봉화읍 봉화군보건소 - 915번 지방도 통과
  • 영양군 - 영양읍 농협사거리 - 918번 지방도 통과
  • 영덕군 - 영덕읍 영덕버스터미널 - 34번 국도 통과
  • 청송군 - 청송읍 청송읍사무소 앞 교차로 - 914번 지방도 통과
  • 영주시 - 영주1동 영주초등학교교차로 - 28번 국도 통과
  • 예천군 - 예천읍 남본삼거리 - 927번 지방도 통과
  • 의성군 - 의성읍 의성군청 - 912번 지방도 통과
  • 군위군 - 군위읍 군위군청 - 서쪽으로 68번 국가지원지방도 통과
  • 문경시 - 모전동 문경시청[60] - 924번 지방도 통과
  • 상주시 - 무양동 상주시의회[61] - 3번 국도 통과. 3번 국도가 상주시의회를 거쳐서 여기로 도로원표가 결정났다. 상주시청은 916번 지방도가 지나가기 때문이다.
  • 김천시 - 모암동 삼각로타리 분수대
  • 구미시 - 광평동 수출산업의탑
  • 칠곡군 - 왜관읍 칠곡군청
  • 성주군 - 성주읍 군청삼거리
  • 고령군 - 대가야읍 대가야박물관
  • 청도군 - 화양읍 청도군청
  • 창원시 - 용호동 1 창원시청
  • 밀양시 - 교동 밀양시청
  • 양산시 - 남부동 남부사거리
  • 김해시 - 부원동 김해차량등록사업소
  • 창녕군 - 창녕읍 오리정사거리
  • 의령군 - 의령읍 동동리 소재 교차로[62]
  • 거창군 - 거창읍 법원사거리
  • 함양군 - 함양읍 동문사거리
  • 산청군 - 산청읍 산청군 보건의료원 맞은편[63]
  • 진주시 - 강남동 구 진주역
  • 하동군 - 하동읍 비파삼거리
  • 남해군 - 남해읍 남해군청
  • 사천시 - 동금동 2호광장사거리
  • 고성군 - 고성읍 고성군청
  • 통영시 - 무전동 통영시청
  • 거제시 - 고현동 6번교차로
  • 울릉군 -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항만교통을 제외한 교통편으로는 접근이 불가능하다. 국도로 접근이 불가능 하므로 도로원표가 없다.

3.5. 호남[편집]


  • 광주광역시 - 동구 구성로 168 앞[64]
  • 전주시 - 완산구 경원동1가 기업은행 전주지점
  • 무주군 - 무주읍 무주우체국
  • 진안군 - 진안읍 진안로터리
  • 장수군 - 장수읍 장수군도로관리사무소
  • 익산시 - 남중동 익산시청
  • 군산시 - 조촌동 군산시청
  • 김제시 - 서암동 김제시청
  • 부안군 - 부안읍 부안군청
  • 정읍시 - 수성동 정읍시청
  • 고창군 - 고창읍 석교사거리
  • 임실군 - 임실읍 이도리 소재 삼거리[65]
  • 순창군 - 순창읍 중앙로사거리
  • 남원시 - 향교동 향교오거리
  • 목포시 - 대의동2가 유달동 사거리[66]
  • 영광군 - 영광읍 영광군청
  • 함평군 - 함평읍 내교리 소재 사거리[67]
  • 무안군 - 무안읍 무안군청
  • 장성군 - 장성읍 장성군청
  • 나주시 - 송월동 나주시청
  • 화순군 - 화순읍 대광아파트 교차로
  • 영암군 - 영암읍 영암실내체육관
  • 신안군 - 장산면 북강선착장[68]
  • 진도군 - 진도읍 남동리 499번지앞 사거리
  • 해남군 - 해남읍 해남군청
  • 완도군 - 완도읍 완도교차로
  • 강진군 - 강진읍 동성사거리
  • 장흥군 - 장흥읍 장흥군민회관
  • 보성군 - 보성읍 보성역
  • 고흥군 - 고흥읍 남계리 631-22번지[69]
  • 담양군 - 담양읍 중파사거리
  • 곡성군 - 곡성읍 경찰서사거리
  • 구례군 - 구례읍 구례경찰서앞 로터리
  • 순천시 - 행동 중앙사거리
  • 광양시 - 중동 시청사거리
  • 여수시 - 학동 여수시청


3.6. 제주도[편집]



4. 기타 국가의 도로 원표[편집]



4.1. 일본[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14:17:47에 나무위키 도로원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동화면세점 앞에 있다. 정확히는 광화문 신한은행 앞에 있다.[2] 기존에 있던 표석은 현재 부산광역시청 근처에 있으며, 바로 앞에 있는 건물은 롯데백화점 광복점.[3] 끝판왕은 부산광역시. 이쪽은 아예 시청을 옯기면서 표지석까지 뜯어갔다. 진표가 방위표고 이표가 표지석.[4] 지금의 도로원표는 한 차례 이전된 역사가 있다. 원래의 도로원표는 세종대로사거리의 고종 칭경기념비 앞에 지금도 있다. 이 도로원표는 일제강점기 시절이던 1914년 조선총독부가 서울, 인천, 군산, 대구, 부산, 마산, 평양, 진남포, 원산, 청진 등 10개 도시에 시가지 원표를 위치를 결정·고시하면서 설치됐다. 문제는 이 도로원표에 새겨진 글자가 일본식 한자이고 그 기준도 모호했다는 점. 결국 1997년에 새 도로원표를 만들기로 결정하고 지금의 자리에 한국식 도로원표를 새로 설치했다.[5] 강화군은 광역시 산하 군들 중 예외로 도로원표를 둘 수 있도록 했지만 따로 도로 원표를 지정하지는 않았다.[6] 아디다스 매장 앞의 횡단보도 건너편에 있다.[7] 2017년 12월 31일 성남이천로 개통으로 3번 국도경충대로에서 성남이천로로 변경 지정돼 성남종합운동장 구간을 거치지 않게 되었다.[8] 2018년 11월 30일 신중부대로 개통으로 처인구청 주변을 경유하는 중부대로의 42번 국도 지정이 해제되었다.[9] 시급 도시들 중 거의 유일하게 시청이 중심시가지(병점/동탄일대)가 아닌 남양'읍'에 위치한다. 화성이 개발 역사가 길지 않은 만큼 병점 동탄일대가 중심지로서 입지가 낮기도 하고 이 일대가 동쪽으로 치우쳐져 있기도 하기에 생긴 일이다. 병점/동탄/봉담 일대 화성 동부지역은 화성 도로원표보다 수원이나 오산의 도로원표를 참고하는게 조금 더 정확하다. 단, 남양읍이 지리적으로는 화성시 중앙정도에 위치하므로 잘못된 위치선정으로는 볼 수 없다.[10] 3번 국도가 평화로로 우회 지정되어 연천군청 앞 도로에 대한 국도 지정 해제.[11] 43번 국도가 포천시청 주변과 별개로 호국로로 변경지정.[12] 3번 국도가 신평화로로 우회 지정되어 동두천시청 인근 도로에 대한 국도 지정 해제.[13] 3번 국도가 신평화로로 우회 지정되어 시청 앞에 도로 국도 지정 해제.[14] 정확하게 하남시청과 사우나 건물 사이이다. 하남시청 앞이라 도로원표로 지정된것으로 보인다.[15] 구 이천시청 부지. 현재 이천시청은 시내 외곽에 있다.[16] 일산 지역을 표시할 때는 일산호수공원한울광장을 기점으로 한다. 이 때문에 한울광장에 가면 베이징, 뉴욕, 모스크바, 도쿄 4군데로 표시되는 작은 원표 표지판이 붙어 있다. 도로 표지판에서 '고양'과 '일산'은 서로 완전히 다르게 표시된다.[17] 2021년 12월 31일 39번 국도대체우회도로(토당-원당-관산) 개통으로 국도 지선이 추가.[18] 부천시청 앞에 있었음[19] 70번 지방도46번 지방도처럼 춘천시내 구간을 우회하도록 변경 지정.[20] 도로원표가 신철원, 구철원으로 나뉘어져 2개다. 실제로 이 지역은 이정표도 철원, 갈말(신철원)으로 구분한다.[21] 화천군 도로원표.[22] 5m밖에 안 떨어졌다..[23] 31번 국도, 46번 국도가 송죽모텔 앞 중심로에서 서쪽의 금강산로로 변경지정.[24] 6번 국도가 현재의 한우로에서 경강로로 우회 변경지정.[25] 42번 국도원문로에서 5번 국도, 19번 국도와 동시에 원주국대도로 변경지정.[26] 7번 국도가 현재의 간성로에서 동해대로로 변경지정.[27] 44번 국도가 현재의 양양로에서 설악로로 변경지정.[28] 2001년 이전 당시 동해고속도로 종점[29] 대전 지하철 1호선의 역명에 반영되었다.[30] 이표는 대전광역시청 동문에 설치[31] 과거에는 1번 국도도 경유했었다.[32] 기존 위치 : 조치원읍 죽림삼거리 - 36번 국도 통과[33] 17번 국도36번 국도3순환로로 변경 지정되어 국도 지정이 해제되었다.[34] 38번 국도가 도로명주소상 북부로로 변경 지정돼 중앙공원 앞 도로 국도 지정해제.[35] 각기 3번 국도36번 국도중원대로, 19번 국도충원대로에서 서부순환대로로 일괄 노선변경.[36] 다만, 일반국도상으로는 21번 국도34번 국도가 통과하는 지점인 성석사거리를 사실상 진천군의 도로원표로 간주한다.[37] 2003년 증평군 독립 전에는 괴산군의 일부였기에 공식 도로원표가 없었다.[38] 과거에는 19번 국도가 교차했지만, 시가지 동쪽으로 우회 이설함[39] 예전에는 23호선의 경우 국도와 국지도의 경계지점이었는데 천안 나들목까지 국도에 편입되었다. 1번 국도가 전구간 천안대로에서 만남로 및 삼성대로일부, 성환우회도로 경유 노선으로 대체되어 이설되었다.[40] 21번 국도 자체가 아산시 국도대체우회도로(현 온양순환로)로 일반국도 노선지정 변경상태 당시 39번 국도는 온양온천역 주변, 45번 국도는 도로원표에서 당시 21번국도 예산방향 약 2km 박물관사거리에서 예산-평택방향 기준 21번 국도와 분기했다.[41] 32번 국도가 금오대로, 아리랑로, 예산로(당시 쌍송로) 일부에서 차동로(당시 관양대로)로 변경지정 완료[42] 과거에는 예산군 도로원표 자체가 예산읍 예산리 예산경찰서 주변(현 KB국민은행 예산지점 인근)에 위치했다. 일반국도 가변에 설치된 매 km당 거리표 역시 예산까지 잔여거리를 현재도 해당 위치로 간주한다.[43] 예천사거리 역시 이에 포함. 예천사거리의 경우 77번 국도가 추가 경유하는 교차로이다.[44] 2002년 시외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개통 당시 태안읍 남부 우회도로(현 서해로)로 국도 32호선 우회 지정.[45] 원래는 당시 40번 국도의 종점이었던 중동 교차로에 있었다가 도로원점이 현 위치로 이전되었다. 예산군과 동일하게 일반국도 잔여km거리표는 공주까지 잔여거리를 중동사거리를 기준으로 간주했는데, 이 때문에 왕복 2차로 시절 32번 국도 예산-공주 간 이동거리가 53km이상인 시절이 있었다.[46] 지나는 국도는 없으나, 주변에 1번 국도4번 국도가 통과하는 실정이다.[47] 2001년 지방도에서 국도로 승격[48] 1997년까지 1번 국도가 경유했지만, 현 논산대로로 대체되었다.[49] 홍주교 근처 하상주차장이다. 21번 국도29번 국도와는 무관하다.[50] 과거에는 일명 십자로로도 불렸었고 29번 국도와도 교차했지만, 청양읍 서쪽 2차선 도로(2016년까지 일반국도 29호선 지정노선)로 대체되고, 36번 국도는 2004년 말 청양읍 남부를 4차로 우회도로로 전환되어 현재는 청양군에서 관리하는 군도로 하향되었다.[51] 2009년 말 왕복 4차선 확장 준공 및 국도 대체 우회 가설과 더불어 일반국도에서 군도로 전면 하향. 현재의 회전교차로 지점이다. 4번 국도는 전구간 대백제로 경유, 40번 국도는 가탑교차로에서 분기하여 부여읍 동부를 경유하는 경로로 대체되었다.[52] 현 서천교차로[53] 현재 롯데백화점 광복점 앞 중앙대로와 영도대교로 갈라지는 교차로이며, 남포역이 있는 곳이다. 다만 도로원표 표석은 부산광역시청이 연제구로 옮기면서 같이 이설되어 부산시청 주차장 쪽 공원에 있다. 대신 원래의 도로원표 자리에는 문서 맨 위에 있듯이 주요도시와의 거리를 적어놓은 표지판이 있다.[54] 다만 원래 대구 도로원표의 위치는 1호선 중앙로역 북편 사거리 앞 중심이다. 즉 도로 한가운데이기 때문에 실제 위치에서 215m 떨어진 경상감영공원 앞에 세워졌다.[55] 5번 국도서대구로로 변경 지정되어 도로원표 위치 국도 지정 해제.[56] 문화의 거리안의 중앙길과 교차되는 교차로가 기준이다.[57] 31번 국도봉월로로 변경지정.[58] 경주 도심 서쪽 외곽으로 우회도로가 개통되면 지정해제 예정[59] LPG충전소가 위치해 있다. 지리적으로 울진의 중간정도라 결정된것 같다.[60] 문경의 도로원표지만 이정표에는 점촌으로 표시되는 경우도 있다. 국도에서 점촌 몇km라고 적혀있다면 이곳이 기준이다. 이 일대에서 문경이라는 이정표를 따라가면 이곳이 아니라 문경읍이 나온다. 이는 문경군점촌시가 통합하여 문경시가 되었으며 문경시의 중심지가 문경읍이 아닌 구 점촌시 일대이기 때문이다. 비슷한 예로 통영(통영군+충무시 통합) 등이 있긴 한데, 충무의 지역색이 많이 옅어진 통영과 달리 문경+점촌은 유달리 점촌의 지역색이 강하다. 자세한 내용은 문경시 항목의 3번 문단을 참조.[61] 남성동에 위치한 상주시청과는 다른 곳이다. 시청과 시의회가 한부지에 있는 보통의 지역과 달리 상주는 시청과 시의회가 다른곳에 위치해 있다.[62] 의병로, 의병로24길, 백산로가 교차되는 교차로이다.[63] 산청군 보건의료원은 중앙로에 위치하는데 그 맞은 편에 친환경로2720번길이 있다. 그 곳이 산청의 도로원표이다.[64] 충장로구성로가 교차되는 교차로이다. 교차로 상에 있지는 않고 그 옆 보도에 설치되어 있다. 광주광역시청 바로 건너편 서구 치평동 평화공원에 이표가 존재한다.[65] 봉황로와 운수로가 교차하는 삼거리이다.[66]국도 1.2호선 기점비가 있는 사거리이다.[67] 중앙길과 영수길이 교차하는 사거리이다.[68] 울릉군과는 달리 신안군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긴 하지만 2번 국도가 지나간다. 2번국도의 공식적인 기점은 신안군 압해읍의 송공항으로, 이곳에서 2번 국도서울 지하철 6호선의 응암루프선마냥 신안을 한바퀴 돌아 송공항으로 돌아오는 구조이다. 신안군이 여러개의 섬이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군데군데 끊어져 있기는 하지만, 국도가 지나가기는 하므로 도로원표가 지정되어 있다. 신안군은 추후 다리로 2번 국도 구간을 포함해서 25개 섬을 이을 계획이다. 자세한 사항은 신안군이나 2번 국도 항목을 참조.[69] 일반 상가건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