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AP

덤프버전 :










파일:GCAP_Concept_1.jpg

Global Combat Air Program

1. 개요
2. 상세
2.1. 개발
2.2. 수출
2.3. 개발 국가 및 주요 참여 기업
3. 관련 문서
4. 기타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영국, 이탈리아템페스트 프로그램과 일본F-X 개발 프로젝트가 통합되어 만들어진 영국, 이탈리아, 일본 삼국 간 차세대 유인 전투기 공동개발 프로그램으로 2035년까지 개발되어 영국 왕립 공군이탈리아 공군유로파이터 타이푼, 일본 항공자위대F-2를 대체할 예정이다.


2. 상세[편집]



파일:GCAP_Concept_2.jpg


파일:GCAP_Concept_3.jpg

BAE 시스템스가 2023년 공개한 컨셉 설계안 최신형

BAE 템페스트F-3 문서에 서술되어 있다시피 영국과 일본은 2017년부터 차기 전투기 개발에 협력하는 방안을 탐색해왔고, 결국 2022년 12월 9일, 템페스트 프로그램 파트너인 이탈리아를 포함해 서로의 전투기 개발 계획을 합병하는데 합의하는 단계까지 이르렀다.

GCAP은 주도국이나 주도 기업 없이 평등한 파트너쉽 프로그램으로 각국의 요구사항에 맞게 사양 변화 및 업그레이드가 자유로운 공통 전투기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전투기는 6세대에 걸맞게 탑재하고 있는 강력한 통합 센서 및 인공지능 기반 전투 시스템과 더불어 수반 자율 무인 전투기 및 육해공과 우주, 사이버까지 아우르는 플랫폼들로부터 방대한 정보를 수집, 통합해 초고속으로 처리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여러 플랫폼에 공유하고 업데이트 할 수 있는 초연결 노드로서 기능한다.#

또한, 최첨단 디지털 트윈 설계,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양자컴퓨팅, 사이버 보안, 로봇, 첨단 소재 등 및 삼국이 각자 보유하거나 개발하고 있는 각종 최첨단 기술을 총동원하여 동시대 미국, EU의 기종 등과 경쟁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성능을 추구하고 있으며, 동시에 삼국의 산업 수준을 더욱 상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반 무인전투기의 경우 삼국이 따로 개발하며, 일본의 경우 GCAP이 발표된 직후 따로 미국과 공동성명을 내고 차세대 전투기를 보조할 자율 무인 전투기 개발에 합의했다.#

영국은 GCAP으로 개발될 유인 전투기에 대해 계속 템페스트라는 명칭을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2.1. 개발[편집]


2022년 12월 9일, 영국의 리시 수낙 총리, 일본의 기시다 후미오 총리, 이탈리아의 조르자 멜로니 총리 등 삼국 정상은 서로의 일치된 요구사항에 따라 단일 차세대 전투기 개발 프로젝트를 실행할 수 있다고 결론을 내리고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삼국은 2024년 말까지 개념설계를 마치고 국가 예산을 합동으로 평가해 비용 분담을 합의한 후 2025년부터 합작 회사를 설립해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하기로 했다. 한편, 영국이 단독으로 개발하는 템페스트 기술 실증기는 계획대로 만들어져 2027년경 비행할 예정이며, 참여한 인력과 획득된 기술은 GCAP 개발 및 생산에 활용된다.

2022년 12월 16일, 일본 정부는 대규모 국방비 증강 및 적 기지 반격능력 구축 등을 명기한 안보 3문서 개정안을 발표하고 23년부터 28년까지 5년 간 GCAP 설계 및 개발 비용으로 7700억 엔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2023년 1월 27일, 이탈리아는 자국 주요 방산 기업들과 6세대 전투기 개념설계 및 시험 관련 계약을 잇따라 체결하고 GCAP 연구 개발에 60억 유로(약 8조원)를 배정했다고 밝혔다.#

2023년 3월 도쿄에서 열린 방산 전시회 DSEI에서 삼국은 GCAP의 항전 및 통신 시스템인 ISANKE & ICS의 개발 본격화를 위한 협업 계약을 체결하고 GCAP에 대한 첫 국방장관 회담을 개최했다. 2025년까지 상세설계 및 제조를 전담할 합작회사가 설립될 예정이며, 지분은 영국과 일본이 각 40%, 이탈리아가 20%를 분담하는 방향으로 조정되고 있다.### ###[1]

프로토타입 엔진은 '합동 실증 엔진(Joint demonstrator engine)'이라는 명칭으로 IHI와 롤스로이스가 주도해 개발하며, 2020년대 후반까지 완성시킬 예정이다. 롤스로이스에 따르면 해당 엔진은 유로파이터의 5배에 해당하는 최대 1MW의 전력을 생성한다.# ##

또한, GCAP에는 무인기 30~40대를 동시에 통제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갖춘 슈퍼컴퓨터가 탑재될 예정이다.[2]

2023년 9월, 삼국은 사업을 총괄·감독할 정부 통합기관과 개발과 제조를 전담하는 기업 합작회사를 영국 런던에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통합기관은 합작회사에 대한 3개국 정부 측 창구로서 합작회사의 계약과 관리의 조화를 도모해 신속한 의사결정과 작업의 효율화를 진행시킨다.#

2.2. 수출[편집]


일정에 맞추어 2035년 개발이 완료될 시 처음으로 '수출 가능한 6세대 전투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3] GCAP은 대형 쌍발기체라는 특성을 살려 F-15의 후계기 포지션을 노리고 있으며, 수백 대의 수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가 GCAP 사업에 강한 관심을 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실제로 사우디군이 F-15 및 유로파이터의 후계기로 GCAP을 채택한다면 최소 200대의 수출 물량을 확보하게 된다.#

다만 사우디아라비아는 단순 도입을 넘어 아예 GCAP 개발의 일원으로 참여시켜줄 것을 요청하고 있으나 이에 대해 일본이 단호하게 거절의사를 표시하고 있어 향후 상황이 어떻게 될지는 미지수이다.# 영국 측은 일본과 사우디의 입장을 중재해 개발에 간섭하지 않는 준파트너로서 사우디의 참여를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영국은 GCAP을 호주의 원자력 잠수함에 이어 또 다른 AUKUS 협력의 틀로 추가해 미국호주도 잠재 고객으로 끌어 들이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2.3. 개발 국가 및 주요 참여 기업[편집]







3. 관련 문서[편집]




4. 기타[편집]


  • 아사히 신문 보도에 의하면 합작법인 본사 기능을 영국에 둘 경우 일본의 역할이 후퇴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1, #2

  • 영국 국방장관이 이탈리아, 일본에 막 착수한 전투기 프로젝트에서 이탈하지 말 것을 촉구하였다. 2023년 2월, 이탈리아 국방부를 방문한 벤 월리스 영국 국방부 장관은 파트너 중 한 명이 작업 시작 후 갑자기 "냉담해져서(cold feet)" 철수할 경우 재앙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그는 "우리 세 나라 모두 10년이 끝날 무렵 새로운 전투기 능력이 필요하다"며 "서로를 실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중도 포기는 없다"고 주장했다. "잠재적으로 우리는 각자의 나라에서 우리 자신의 능력을 영원히 끝낼 수 있다. 따라서 도중에 우리가 냉담해져서 한 나라가 탈퇴한다면 외교 정책적으로나 전략적으로나 산업적으로 우리 모두에게 매우 나쁜 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후 벤 월리스 장관은 3월경 일본에서 열린 DSEI Japan 2023 키노트에서 GCAP은 짧은 연애(short love affair)가 아닌 결혼(marriage)과 같은 일이며, AUKUS호주핵잠수함 획득을 지원하는 것처럼 향후 40년까지 내다보는 장대한 미래사업임을 강조했다.#

5. 둘러보기[편집]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현대 영국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ffffff 영국 왕립 공군
Royal Air Force

영국 왕립 해군 함대항공단
Royal Navy Fleet Air Arm}}}

회전익기
공격헬기
WAH-64D, {AH-64E}
다목적 헬기
와일드캣 AH1/HMA2육/해, 그리핀 HAR.2, H135, AS365, 주피터 HT1, AW101R, WS-51R
수송헬기
치누크 HC.4/HC.5/HC.6/HC.6A, 멀린 Mk.3i/Mk.4, 벨 212, 브리스톨 192 벨베데어R, 웨스트랜드 웨섹스R, 웨스트랜드 훨윈드R
대잠헬기
멀린 HM.2, SH-3R
제공 전투기
1세대
글로스터 미티어R, 글로스터 자벨린R, 드 해빌랜드 뱀파이어R, 드 해빌랜드 베놈R, 드 해빌랜드 시빅슨R, 슈퍼마린 어태커R, 슈퍼마린 시미터R, 캐나디어 세이버R, 캔버라 B(I)R, 폴랜드 냇R, 호커 시호크R
2세대
호커 헌터*, BAC 라이트닝R
3세대
팬텀 FG.1해/R, 팬텀 FGR.2R, 팬텀 F.3R, AFVG
4세대 / 4.5세대
타이푼 FGR.4, 토네이도 IDS GR.1/GR.1A/GR.1B/GR.4/GR.4AR, 토네이도 ADV F2/F2A/F3R
5세대
라이트닝 II GR.1
6세대
{GCAP 템페스트}, BAE 템페스트
공격기
재규어 GR.1/GR.1A/GR.1B/GR.3/GR.3AR, 블랙번 버캐니어R, 호커 시들리 케스트럴R, 해리어 GR.1/GR.3/GR.5/GR.5A/GR.7/GR.9R, 시 해리어R, TSR-2, 문플라워 GR.1, F-111K
전술폭격기
캔버라 B.2R
전략폭격기
빅커스 밸리언트 B.1/B(PR).1/B(PR)K.1R, 아브로 벌컨 B.1/B.1A/B.2R, 핸들리 페이지 빅터 B.1/B.1A/B.2R
수송기
보이저 KC2/KC3, A400M 아틀라스 C1, C-17A ER, 허큘리스 C4/C5, AW.660R, 쇼트 벨파스트R, 블랙번 버벌리R, 브리스톨 브리타니아R, 더글라스 다코타R, 핸들리 페이지 헤이스팅스R
지원기
조기경보기
{웨지테일 AEW.1}, E-3D, 페어리 가넷 AEW.3R, 님로드 AEW3
대잠초계기
포세이돈 MRA1, 넵튠 NR.1R, 님로드R, 아브로 섀클턴R, 페어리 가넷R
정찰기
RB-45CR, 에어시커 R1, 섀도우 R1/R1A, 센티넬 R1R, 캔버라 PRR, 코멧 CR, P.66 펨브로크R
신호정보수집기
RC-135W
공중급유기
보이저 KC2/KC3, 아브로 벌컨 K.2R, 핸들리 페이지 빅터 BK.1/BK.1AR, 빅커스 밸리언트 BK.1R, 록히드 트라이스타R, 빅커스 VC10R
무인기
MQ-9A, 워치키퍼 WK450, 제피르
훈련기
프롭
텍산 T1, 어벤저, 프리펙트 T1, 튜터 T1, B.125 불독R, DHC-1 칩멍크R, T67 파이어플라이R, 비글 허스키R, HP.137 제트스트림R, 쇼트 투카노 T.1R
글라이더
바이킹 T1
제트
호크 T1/T2, 페놈 T1, 타이푼 T3, 캔버라 TR, BAe 125R, 냇 T.1R, BAC 제트 프로보스트R
다목적기
팰콘 900LX, BAe 146, BAe 125R, 안도버 CR, 드 해빌랜드 헤론R, 디펜더 R Mk2/T Mk3R, BN-2 아일랜더 R Mk1/CC Mk2R, 파이어니어 CC.1R, DHC-3 오터R
※ 윗첨자*: 가상적기로 운용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현대 일본 자위대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일본 자위대 (1954~현재)
日本 自衛隊

회전익기
경헬기
TH-135, TH-480B, BK 117, OH-6(D/J)육/R, TH-55J육/R, H-13육/해/R
다목적 헬기
EC225, S-61A해/R, OH-1, UH-60JA육/항, UH-1(BR/HR/J)/{UH-X}, H-19/S-55A/H-19C육/해/항/R
수송헬기
MV-22, CH-47(J/JA)육/항, KV-107육/해/항/R, H-21B/V-44A항/육/R
공격헬기
AH-1S, AH-64DJ
대잠헬기
MCH-101, SH-60(J/K), MH-53E해/R, HSS-2(A/B)해/R
전투기
1세대
F-86(D/F)R
2세대
F-104(J/DJ)R
3세대
F-1R, F-4EJ/EJ 改R
4세대 / 4.5세대
F-15(J/DJ, J 改/DJ 改), F-2(A/B)
5세대
F-35A/{B}
6세대
{GCAP}
수송기
C-130(H/R), C-1A, C-2, YS-11, C-46DR
수상기/비행정
US-2, US-1A해/R, HU-16해/R
무인기
UAV
보잉 스캔이글, {RQ-4}
지원기
조기경보기
E-767, E-2C/{D}
해상초계기
P-1, P-3C, P-2J해/R, S2F-1해/R
전선통제기 / 연락기
U-125A, U-4, U-36A, LR-2, LC-90R, LR-1육/R, LM-1육/R, 가와사키 KAL-2R
정찰기
RF-86FR, RF-4(E/EJ)R, EP-2JR, EP-3
공중급유기
KC-130R, KC-767J, {KC-46A}
전자전기
EC-1, YS-11(EA/EB), {EC-2}
훈련기
프롭
후지 T-7, 후지 T-5, 후지 T-3R, KM-2육/해/항/R, 비치크래프트 B65R, T-34A(LM-1)R, T-6(D/F/G)R
제트
T-33AR, 뱀파이어 T.55X/R, 후지 T-1(A/B)R, T-2R, T-4, T-400
특수목적기
보잉 747-400R, 보잉 777-300ER, U-4, EC 225LP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 자위대: 해당 자위대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항공자위대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현대 이탈리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이탈리아 공군
Aeronautica Militare, AM

회전익기
경헬기
TH-500B, OH-13HR
다목적 헬기
HH-101A해/공, AW109A/E/Mk.II육/C, HH-139A/B, {AW169}, 벨 205, 벨 206, 벨 212, 벨 412SP/HP육/C, AB.47 G2R, A.105R, H-19A/DR, H-34R, S-51R, NH 500E
수송헬기
CH-47C/F, NH-90, A.101GR, VH-3DR, S-61RR
공격헬기
A129 CBT, {AW249}
대잠헬기
벨 212 ASW, NH-90 NFH/TTH
전투기
1세대
CL13 Sabre Mk.4R, F-84F/GR, F-86KR, G.91R/PAN/YR, 드 해빌랜드 뱀파이어 FB.5/FB.52/FB.52A/NF.10R, 드 해빌랜드 베놈 FB.50R, Aerfer Ariete, Aerfer Sagittario
2세대
F-104G/S/S-ASA/S-ASA/MR
4세대
4.5세대

F-2000A, A-200A, F-16A/BL/R
5세대
F-35A/B
6세대
{GCAP}
공격기
A-11B, AV-8B+
전자전기
EA-200B, YEC-27J, 아에리탈리아 G.222 VSR, PD-808GER
수송기
A319CJ, A340-500, C-27J, C-130H/J/J-30, Do 228, 피아지오 P.180해/공/C, 팰컨 50, 팰컨 900, 아에리탈리아 G.222 A/RM/SAA/TCMR, 브레다-피토니 BP.471R, 브레다-자파타 BZ.308R, CV-440-75/96R, C-119J/GR, DC-6R, G.212R, SM.102R 포커 F27-600L/R
다목적기
알라파마 발도R, 암브로시니 S.1001R, Helio H-395R, LA-250R, MB.308R, U-166AR
비행정
HU-16 알바트로스R, P.136R
지원기
조기경보기
E-3ANAEW&CF, G550 CAEW, {E-7}NAEW&CF
해상초계기
P-72AS, P-1150AR, S2F-1R
신호정보수집기
슈퍼 킹 에어 350
정찰기
RT-33AR, RF-104GR, U-166BR
공중급유기
{KC-46}, KC-767A, KC-130J, KC-707R
무인기
SUAV
스캔이글
UAV
MQ-1C, MQ-9A, RQ-7, P.1HH 해머헤드, S-100
UCAV
{유로드론}
훈련기
프롭
T-260A/B, T-2006A, 암브로시니 S.7R, 카프로니 트렌토 F-5R, G.46R, G.59R, G.80R, G.82R, M.416R, MB.323R, P.148R, P.149R, 템코 T-35R
제트
A-11T, F-16B, F-35A, MB-339A/CD/RM/PAN, 피아지오 P.180, T-345, T-346, TF-2000A, 파나비아 토네이도EA-200A, TF-104GR, T-33AR
특수목적기
VC-319AJ, CL-215-1A-10R, CV-440-75R, 걸프스트림 IIIR, DC-9-30R, VC-180AR, PD-808VIP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 윗첨자C: 카라비니에리에서 운용





✈️ 항공병기 둘러보기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냉전기 1945~1991 ]⠀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틀:현대전/유고슬라비아 항공병기|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6 03:16:07에 나무위키 GCAP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영국은 2023년부터 33년까지 10년 간 GCAP의 전체 개발금액으로 250억 파운드(약 40조원) 이상을 상정했고, 그 중 100억 파운드(약 16조원)를 지출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에 일본 역시 같은 금액을 지출하게 되며, 이탈리아는 그 절반인 8조원 정도를 분담하는 것이다.#[2] Cingolani, a physicist and former energy minister who took over at Leonardo in May, said GCAP partners were working intensively on the project, with several meetings scheduled in October. He said he would travel to Japan next month. The design and function is still unclear as negotiations have made little progress, said Cingolani, but it will involve the jet controlling several drones. "There will be a flying super-computer provid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has to control let's say 30-40 drones," he told reporters.[3] 2030년 개발 완료를 예정하고 있는 미국의 NGAD는 의회 보고서에서 단가가 웬만한 해군 호위함 한 척의 가격인 3억 달러로 예상되고 있을 정도로 너무 비싼데다가 F-22처럼 금수조치가 취해질 가능성이 높고, 프랑스와 독일의 FCAS는 2040년 개발 완료 예정으로 GCAP에 비해 5년이나 지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