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선홍호

덤프버전 :




제15대 감독
황선홍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선홍 / 제15대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명재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민동성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일진 (골키퍼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재홍 (피지컬 코치)
계약 기간2021년 9월 15일 ~ 2024년 8월 31일?[1]
(2년 3개월 경과 / 993일)
계약 중 (2024-06-04 16:57:48 기준)
연봉미상
전술 스타일티키타카롱볼축구의 혼합[2]
┗ 패스플레이 강조 + 역습
4-1-4-1 또는 4-3-3 포메이션
성적2022 AFC U-23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 (5위/8강)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우승)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 (본선)[3]
1. 개요
2. 선임 과정
3. 코칭 스태프 명단
4.1. 아시안 게임 이전
4.1.2. 소집 훈련
4.1.2.1. 2021년 9월
4.1.2.2. 2021년 11월
4.1.2.3. 2022년 1월
4.1.2.4. 2022년 3월
4.1.2.5. 2022년 10월
4.1.4. 소집 훈련
4.1.4.1. 2023년 3월
4.1.4.2. 2023년 5월
4.1.4.3. 2023년 7월
4.1.4.4. 2023년 9월 1차
4.1.4.5. 2023년 9월 2차
4.1.5. 6월 친선 경기
4.1.5.1. vs 중국 (6월 15일, 진화 스타디움) 1:3 승
4.2. 아시안 게임 본선 및 최종 엔트리
4.2.1. 조별 리그
4.2.2. 토너먼트
5.1. 올림픽 이전
5.1.1. 2022년 9월 친선 경기
5.1.1.1. 소집 명단
5.1.2. 2022년 11월 친선 경기
5.1.2.1. 소집 명단
5.1.2.2. vs 아랍에미리트 (11월 18일, 에미리트 클럽 스타디움) 1:2 패
5.1.2.3. vs 아랍에미리트 (11월 21일, 에미리트 클럽 스타디움) 2:0 승
5.1.3. 2023년 3월 도하컵 U-22 친선 대회
5.1.3.1. vs 오만 (3월 23일, 알가라파 스타디움) 3:0 승
5.1.3.2. vs 이라크 (3월 26일, 카타르클럽 스타디움) 1:0 승
5.1.3.3. vs 아랍에미리트 (3월 29일, 알두하일 스타디움) 3:0 승
5.1.4.1. 소집 명단
5.1.4.2. vs 카타르[4] (9월 6일) 0:2 패
5.1.4.3. vs 키르기스스탄 (9월 9일) 1:0 승
5.1.4.4. vs 미얀마 (9월 12일) 3:0 승
5.1.5. 2023년 11월 친선 경기
5.1.5.1. 소집 명단
5.1.5.2. vs 르아브르 AC (11월 17일, 스타드 오세안) 0:0 무
5.1.5.3. vs 프랑스 (11월 21일, 스타드 오세안) 0:3 승
6. 전적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제15대 감독 황선홍의 대표팀을 정리한 문서.

2024 파리 올림픽을 준비하고 있다.

2. 선임 과정[편집]


전임 김학범 전 감독이 2020 도쿄 올림픽 종료 후 연임을 고사하면서 김판곤 감독선임위원장 하에서 후임 감독을 물색, 8월 중순부터 본격적 후보군 선정 작업에 나섰다. 처음엔 22명의 후보를 뽑았으며, 후보로는 황선홍최용수 등이 거론되었다.

최종적으로 10월 예정된 AFC U-23 챔피언십 예선전부터 새로운 감독이 팀을 이끄는 게 낫다고 판단, 현재 K리그에 소속되지 않는 감독으로 후보군을 추린 뒤 2021년 9월 15일에 황선홍이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3. 코칭 스태프 명단[편집]


직책이름국적생년월일
감독황선홍

HWANG Sun-Hong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1968년 7월 14일 (55세)
수석 코치공석--
코치명재용

MYUNG Jae-Yong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1973년 2월 26일 (51세)
코치민동성

MIN Dong-Sung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1979년 4월 15일 (45세)
골키퍼 코치김일진

KIM Il-Jin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1970년 4월 5일 (54세)
피지컬 코치이재홍

LEE Jae-Hong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1983년 3월 23일 (41세)


4.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대표팀[편집]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을 기준으로 만 23세에 해당하는 1999년생 이후 출생자가 주축이다. 1999년~2000년생 세대는 2019 FIFA U-20 월드컵 폴란드에서 준우승한 멤버들이다. 물론 올림픽 본선을 위해 2001년~2002년생도 참여하기도 한다.

4.1. 아시안 게임 이전[편집]



4.1.1. 2022 AFC U-23 아시안컵 예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황선홍호/2022 AFC U-23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1.2. 소집 훈련[편집]



4.1.2.1. 2021년 9월[편집]

  • 소집 명단
첫 소집명단 발표는 9월 24일에 이루어졌으며, 총 35명의 선수를 소집해 27일부터 4일 동안 파주 NFC에서 훈련을 진행한다.전체 명단 이번 소집 명단에는 이광연, 박지민, 김주성, 이규혁2019 FIFA U-20 월드컵 폴란드 준우승 주역들을 비롯해 K리그1K리그2 그리고 대학팀 선수들이 고루 포함됐으며, 전체적으로 2군급 소집이라는 평이다. 특히 지난해 대전에서 제자로써 가르친 김세윤김지훈 역시 명단에 포함되었다.

10월 1일 파주 NFC에서 열린 성균관대학교 축구부와의 경기에서는 최건주이동률, 오현규의 득점으로 3-1로 승리하였다.#


4.1.2.2. 2021년 11월[편집]

  • 소집 명단


4.1.2.3. 2022년 1월[편집]

  • 소집 명단
2022년 1월 4일에 동계 훈련 명단이 공개되었다. 총 28명이며 전원 K리그 소속이다. 이들은 10일 소집될 예정이다.# 카타르에서 카타르, 이란, 아랍에미리트와 동계 훈련을 같이하고 친선 경기를 갖는다고 한다.# 황선홍 감독은 전지훈련 소집 명단에서 빠진 유럽에서 활약하는 해외파 선수들을 점검할 계획임을 밝혔다. 구체적으로 정우영(SC 프라이부르크), 이강인(RCD 마요르카), 홍현석(LASK)이 언급되었다.


4.1.2.4. 2022년 3월[편집]

  • 소집 명단
지난 동계 훈련과는 달리 A매치 기간에 열리는 소집 훈련인 덕분에 홍현석, 박규현 등 해외파도 일부 소집이 되었다. 황선홍 감독은 추후 AFC U-23 아시안컵아시안 게임이강인차출할 계획이 있음을 밝혔다. 시간이 지나 4월에 언론 인터뷰를 통해 이강인과 함께 정상빈도 소집할 의도가 있음을 밝혔다.


4.1.2.5. 2022년 10월[편집]

  • 소집 명단
이번 소집일은 일정 때문에 해외파나 K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들을 선발하기 어려워 U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들을 위주로 뽑았다. 또한 지난 덴소컵 당시 일본 상대로 승리했던 선수들이 이번에 다수 선발되었다.


4.1.3. 2022 AFC U-23 아시안컵 본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황선홍호/2022 AFC U-23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1.4. 소집 훈련[편집]



4.1.4.1. 2023년 3월[편집]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흰색글씨.svg
2023년 3월 U-24 선수단 명단
No.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소속 리그 소속 클럽 U-23 출전(득점) [A]비고
-GK고동민Dong Min GOH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경남 FC 로고.svg 경남 FC3(-2)
-민성준Seong Jun MIN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인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인천 유나이티드 FC1(-3)
-이광연Gwang Yeon LEE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강원 FC 엠블럼.svg 강원 FC4(-1)
-DF김태현Tae Hyeon KIM파일:J2리그 엠블럼.svg J2리그파일:베갈타 센다이 엠블럼.svg 베갈타 센다이6(0)
-이상민Sang Min LEE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성남 FC 엠블럼.svg 성남 FC5(1)
-이재익Jae Ik LEE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서울 이랜드 FC2(0)
-임덕근Duk Keun LIM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로고.svg 대전 하나 시티즌2(0)
-장민규Min Gyu JANG파일:J2리그 엠블럼.svg J2리그파일:FC 마치다 젤비아 로고.svg FC 마치다 젤비아2(1)
-조진우Jin Woo JO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대구 FC 엠블럼.svg 대구 FC1(0)
-MF김봉수Bong Soo KIM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제주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제주 유나이티드 FC0(0)
-김태환Tae HWan KIM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수원 삼성 블루윙즈4(1)
-박경민Kyung Min PARK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서울 이랜드 FC0(0)
-황태현Tae Hyeon HWANG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서울 이랜드 FC0(0)
-어정원Jeung Won EO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부산 아이파크0(0)
-최준Jun CHOI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부산 아이파크6(2)
-이수빈Soo Bin LEE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2(0)
-정호연Ho Yeon JEONG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광주 FC 엠블럼.svg 광주 FC0(0)
-홍현석Hyun Seok HONG파일:벨기에 프로 리그 로고.svg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A파일:KAA 헨트 로고.svg KAA 헨트4(0)
-FW고재현Jae Hyun KO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대구 FC 엠블럼.svg 대구 FC6(2)
-엄원상Won Sang UM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울산 현대 엠블럼.svg 울산 현대20(2)
-오세훈Se Hun OH파일:J2리그 엠블럼.svg J2리그파일:시미즈 S펄스 로고.svg 시미즈 S펄스18(5)
-이호재Ho Jae LEE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0(0)
-조상준Sang Jun CHO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경남 FC 로고.svg 경남 FC3(1)
-조영욱Young Wook CHO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김천 상무 FC 로고.svg 김천 상무 FC24(10)
-천성훈Seong Hoon CHEON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인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인천 유나이티드 FC1(0)

2023년 3월 13일 카타르 원정을 떠나는 파리 올림픽대표팀 명단과 함께 발표했다. 올림픽 대표팀과 같이 카타르로 원정을 떠나 중동팀과 평가전을 가질 예정이다. 명단 중 장민규, 천성훈은 황선홍호 체제에서 처음 소집되었으며 박경민, 어정원, 정호연은 처음으로 연령별 대표팀에 소집되었다.


4.1.4.2. 2023년 5월[편집]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흰색글씨.svg
2023년 5월 U-24 선수단 명단
No.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소속 리그 소속 클럽 U-23 출전(득점) [A]비고
-GK고동민Dong Min GOH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경남 FC 로고.svg 경남 FC3(-2)
-민성준Seong Jun MIN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인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인천 유나이티드 FC1(-3)
-이광연Gwang Yeon LEE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강원 FC 엠블럼.svg 강원 FC4(-1)
-DF김륜성Ryun Seong KIM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김천 상무 FC 로고.svg 김천 상무 FC0(0)
-변준수Jun Soo BYEON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로고.svg 대전 하나 시티즌4(0)
-이상민Sang Min LEE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성남 FC 엠블럼.svg 성남 FC5(1)
-이재익Jae Ik LEE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서울 이랜드 FC2(0)
-이태석Tae Seok LEE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FC 서울1(0)
-조성권Sung Gwon CHO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김포 FC 엠블럼.svg 김포 FC4(0)
-조위제Wi Je JO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부산 아이파크2(0)
-최준Jun CHOI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부산 아이파크6(2)
-조현택Hyun Taek CHO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울산 현대 엠블럼.svg 울산 현대5(1)
-황재원Jae Won HWANG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대구 FC 엠블럼.svg 대구 FC4(0)
-MF고영준Young Jun GOH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7(1)
-고재현Jae Hyun KO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대구 FC 엠블럼.svg 대구 FC6(2)
-권혁규Hyeok Kyu KWON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부산 아이파크9(0)
-황태현Tae Hyeon HWANG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서울 이랜드 FC0(0)
-김봉수Bong Soo KIM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제주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제주 유나이티드 FC0(0)
-송민규Min Kyu SONG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2(0)
-이수빈Soo Bin LEE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2(0)
-안재준Jae Jun AN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부천 FC 19954(2)
-양현준Hyun Jun YANG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강원 FC 엠블럼.svg 강원 FC2(0)
-엄지성Ji Sung EOM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광주 FC 엠블럼.svg 광주 FC2(1)
-정호연Ho Yeon JEONG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광주 FC 엠블럼.svg 광주 FC0(0)
-엄원상Won Sang UM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울산 현대 엠블럼.svg 울산 현대20(2)
-FW박재용Jae Yong PARK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FC 안양 로고.svg FC 안양0(0)
-조영욱Young Wook CHO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김천 상무 FC 로고.svg 김천 상무 FC24(10)
-천성훈Seong Hoon CHEON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인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인천 유나이티드 FC1(0)


4.1.4.3. 2023년 7월[편집]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흰색글씨.svg
2023년 7월 U-24 선수단 명단
No.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소속 리그 소속 클럽 U-23 출전(득점) [A]비고
-GK김정훈Jeong Hoon KIM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4(-1)
-민성준Seong Jun MIN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인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인천 유나이티드 FC1(-3)
-이광연Gwang Yeon LEE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강원 FC 엠블럼.svg 강원 FC6(-3)
-DF박진섭Jin Seop PARK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0(0)
-이재익Jae Ik LEE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서울 이랜드 FC4(0)
-이한범Han Beom LEE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FC 서울1(0)
-최준Jun CHOI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부산 아이파크8(2)
-MF고영준Young Jun GOH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7(1)
-송민규Min Kyu SONG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9(1)
-엄원상Won Sang UM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울산 현대 엠블럼.svg 울산 현대21(4)
-정호연Ho Yeon JEONG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광주 FC 엠블럼.svg 광주 FC2(0)
-FW박재용Jae Yong PARK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FC 안양 로고.svg FC 안양2(0)
-안재준Jae Jun AN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부천 FC 19955(3)
-조영욱Young Wook CHO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김천 상무 FC 로고.svg 김천 상무 FC26(10)


4.1.4.4. 2023년 9월 1차[편집]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흰색글씨.svg
2023년 7월 U-24 선수단 명단
No.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소속 리그 소속 클럽 U-23 출전(득점) [A]비고
-GK김정훈Jeong Hoon KIM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4(-1)
-민성준Seong Jun MIN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인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인천 유나이티드 FC1(-3)
-이광연Gwang Yeon LEE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강원 FC 엠블럼.svg 강원 FC6(-3)
-DF김태현Tae Hyeon KIM파일:J2리그 엠블럼.svg J2리그파일:베갈타 센다이 엠블럼.svg 베갈타 센다이8(0)
-박규현Kyu Hyeon PARK파일:3. 리가 로고.svg 3. 리가파일:SG 디나모 드레스덴 로고.svg SG 디나모 드레스덴2(0)
-박진섭Jin Seop PARK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0(0)
-이재익Jae Ik LEE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서울 이랜드 FC4(0)
-이한범Han Beom LEE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FC 서울1(0)
-최준Jun CHOI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부산 아이파크8(2)
-황재원Jae Won HWANG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대구 FC 엠블럼.svg 대구 FC8(0)
-MF고영준Young Jun GOH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7(1)
-백승호Seung Min PAIK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5(0)
-송민규Min Kyu SONG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9(1)
-엄원상Won Sang UM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울산 현대 엠블럼.svg 울산 현대21(4)
-정호연Ho Yeon JEONG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광주 FC 엠블럼.svg 광주 FC2(0)
-FW박재용Jae Yong PARK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2(0)
-안재준Jae Jun AN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부천 FC 19955(3)
-조영욱Young Wook CHO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김천 상무 FC 로고.svg 김천 상무 FC26(10)


4.1.4.5. 2023년 9월 2차[편집]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흰색글씨.svg
2023년 7월 U-24 선수단 명단
No.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소속 리그 소속 클럽 U-23 출전(득점) [A]비고
-GK김정훈Jeong Hoon KIM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4(-1)
-민성준Seong Jun MIN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인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인천 유나이티드 FC1(-3)
-이광연Gwang Yeon LEE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강원 FC 엠블럼.svg 강원 FC6(-3)
-DF김태현Tae Hyeon KIM파일:J2리그 엠블럼.svg J2리그파일:베갈타 센다이 엠블럼.svg 베갈타 센다이8(0)
-박규현Kyu Hyeon PARK파일:3. 리가 로고.svg 3. 리가파일:SG 디나모 드레스덴 로고.svg SG 디나모 드레스덴2(0)
-박진섭Jin Seop PARK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0(0)
-이재익Jae Ik LEE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서울 이랜드 FC4(0)
-이한범Han Beom LEE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FC 서울1(0)
-최준Jun CHOI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부산 아이파크8(2)
-황재원Jae Won HWANG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대구 FC 엠블럼.svg 대구 FC8(0)
-MF고영준Young Jun GOH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7(1)
-백승호Seung Min PAIK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5(0)
-송민규Min Kyu SONG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9(1)
-엄원상Won Sang UM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울산 현대 엠블럼.svg 울산 현대21(4)
-정호연Ho Yeon JEONG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광주 FC 엠블럼.svg 광주 FC2(0)
-FW박재용Jae Yong PARK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2(0)
-안재준Jae Jun AN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부천 FC 19955(3)
-조영욱Young Wook CHO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김천 상무 FC 로고.svg 김천 상무 FC26(10)



4.1.5. 6월 친선 경기[편집]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흰색글씨.svg
2023년 6월 U-24 선수단 명단
No.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소속 리그 소속 클럽 U-23 출전(득점) [A]비고
21GK김정훈Jeong Hoon KIM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
12민성준Seong Jun MIN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인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인천 유나이티드 FC1(-3)
1이광연Gwang Yeon LEE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강원 FC 엠블럼.svg 강원 FC4(-1)
5DF김태현Tae Hyeon KIM파일:J2리그 엠블럼.svg J2리그파일:베갈타 센다이 엠블럼.svg 베갈타 센다이6(0)
15변준수Jun Soo BYEON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로고.svg 대전 하나 시티즌4(0)
4이상민Sang Min LEE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성남 FC 엠블럼.svg 성남 FC5(1)
14이재익

C
Jae Ik LEE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서울 이랜드 FC2(0)
25이태석Tae Seok LEE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FC 서울1(0)
3이한범Han Bum LEE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FC 서울
6최준Jun CHOI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부산 아이파크6(2)
26조현택Hyun Taek CHO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울산 현대 엠블럼.svg 울산 현대5(1)
2황재원Jae Won HWANG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대구 FC 엠블럼.svg 대구 FC4(0)
10MF고영준Young Jun GOH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7(1)
22고재현Jae Hyun KO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대구 FC 엠블럼.svg 대구 FC6(2)
16권혁규Hyeok Kyu KWON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부산 아이파크9(0)
27김봉수Bong Soo KIM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제주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제주 유나이티드 FC0(0)
17송민규Min Kyu SONG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2(0)
24양현준Hyun Jun YANG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강원 FC 엠블럼.svg 강원 FC2(0)
11엄원상Won Sang UM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울산 현대 엠블럼.svg 울산 현대20(2)
-오재혁Jae Hyeok OH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
-이수빈Soo Bin LEE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2(0)
18정우영Woo Yeong JEONG파일:분데스리가 로고.svg 분데스리가파일:SC 프라이부르크 로고.svg SC 프라이부르크
8정호연Ho Yeon JEONG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광주 FC 엠블럼.svg 광주 FC0(0)
9FW박재용Jae Yong PARK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FC 안양 로고.svg FC 안양0(0)
20조영욱

VC
Young Wook CHO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김천 상무 FC 로고.svg 김천 상무 FC24(10)
28천성훈Seong Hoon CHEON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인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인천 유나이티드 FC1(0)

이강인홍현석을 A대표팀에 보내는 대신 정우영송민규를 차출했다. 한편 클린스만 감독은 이한범 역시 차출하고자 했으나 조율 끝에 황선홍호에 합류했다. 6월 12일, 안재준박규현이 각각 부상과 A대표팀 소집으로 제외되었다.

팬들의 반응은 로열티를 받은 것도 아니고, 중국을 상대로 얻어갈게 뭐가 있어 2연전을 잡은 거냐는 반응, 현재 중국이 안그래도 부진하던 축구 성적이 더 부진해 지며 얻어갈 게 있기나 한지 의심스러운 데다가 중국과의 2연전 동안 선수들이 부상을 당할 가능성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거기다 혹여나 한 경기라도 비기거나 지면 한국만 무지막지한 비난을 듣는 손해를 감수해야 한다. 선수들은 중국의 거친 플레이를 조심하면서, 경기를 해야할 것이다. 특히 9월에 열리는 아시안 게임에 참가할 선수들이 대다수이니, 부상을 당하지 않도록 특별히 신경을 써야 된다. 참고로 황선홍도 선수 시절에 월드컵 출정식 전날에 중국과의 경기[5]에서 부상을 당해서 1998 프랑스 월드컵에서 활약하지 못했고 이는 마르세유 참사로 이어지는 비극을 낳았다.


4.1.5.1. vs 중국 (6월 15일, 진화 스타디움) 1:3 승[편집]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흰색글씨.svg
항저우 아시안 게임 U-24 축구 대표팀 친선 대회
2023. 06. 15.(목) 19:00 (UTC+9)
진화 스타디움 (중국, 저장성 진화시)
주심: 왕 디 (중국)
중계방송사: 파일:TV CHOSUN 로고 화이트.svg | 캐스터: 조우종 | 해설위원: 박문성
파일: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1 : 3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 (흰색 글자).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63' 수 하오양파일:득점 아이콘.svg51' 엄원상 (A. 김봉수)
54' 엄원상 (A. 정호연)
60' 정우영
경기 하이라이트

서로 아시안 게임을 대비한 평가전으로 중국은 나름 홈에서 열리는 아시안 게임이라고 와일드카드로 뽑은 선수를 이번 한국과의 평가전에서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 경기 실황
대한민국 선발 명단 4-2-3-1
감독: 황선홍
GK
1. 이광연
RB
2. 황재원
CB
3. 이한범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86'
15. 변준수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86'
CB
14. 이재익 파일:주장 아이콘.svg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81'
5. 김태현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81'
LB
25. 이태석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20'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81'
26. 조현택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81'
CDM
27. 김봉수
CDM
8. 정호연
RW
24. 양현준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HT'
11. 엄원상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HT' 파일:득점 아이콘.svg 51', 54' 파일:부상 아이콘.svg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9'
6. 최준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9' CAM
10. 고영준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HT'
20. 조영욱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HT' LW
17. 송민규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HT'
18. 정우영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HT' 파일:득점 아이콘.svg 60' 파일:부주장완장.png
CF
28. 천성훈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HT'
9. 박재용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HT'
벤치 대기
4. 이상민, 12. 민성준, 16. 권혁규, 21. 김정훈

전반전은 중국의 거친 플레이도 있었지만 세부 전술 없이 단순한 플레이로 일관한 끝에 중국의 수비도 뚫지 못하면서 0:0으로 끝났으며, 결국 후반 시작과 동시에 정우영과 엄원상이 투입되자 한국의 공격이 살아나며 10분만에 정우영이 1골, 엄원상이 2골로 3골을 퍼부었다, 그러나 3분뒤에 중국이 크로스를 올린 뒤 헤딩으로 추격골을 만들었는데 누가 봐도 라인을 나간 공임에도 골이 인정되는 황당한 상황이 발생했다.[6] 한국 방송사도 실점 직후 뜬금없이 오늘 심판진이 4명 모두 중국인임을 보여주는 화면을 띄우며 확인사살했다. 심지어 VAR도 없었기 때문에 중국 주심조차도 잠깐 머뭇거리다 골을 인정했다. 애초에 평가전이고 이미 일방적으로 승기를 잡아놨던 상황이었으니 그냥 넘어갈 수 있지만 만약 실제 아시안 게임에서 중국을 만난다면 결국 어떤 오심의 피해자가 될지 모른다는 걸 간접적으로 알 수 있게 된 장면이었다.

경기 전부터 뭐하러 중국과 평가전을 잡냐는 이야기[7]가 많았는데, 결국 그 우려는 현실이 되었다. 아시안 게임을 대비해 중국에 미리 적응할 수 있다는 것 외에는 전혀 메리트가 없을 정도로 중국의 플레이는 한국의 발전에 딱히 도움이 안 될 수준이었고 거기다 시종일관 거친 플레이를 일삼았으며 결국 이 과정에서 엄원상이 부상으로 빠지고 말았다.[8] 다만 엄원상의 부상은 중국의 거친 플레이가 원인이 아니라 다소 불운한 상황이긴 했지만, 이날 중국의 플레이가 패악질 수준으로 거칠었기에 다수 언론이 엄원상이 중국의 살인태클로 부상당했다고 잘못된 기사를 써도 아무도 의심하지 않았을 정도였고, 심지어 경기를 직접 본 팬들조차도 딱히 부정하지 않았다.

이와 별개로 아시안 게임이 코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황선홍의 전술 역량에 대해서도 여전히 의문점이 들었는데, 세부 전술이 있는지조차 의문스러웠고 말 그대로 선수단의 개인 능력으로 상대를 압도하는, 일명 해줘 축구를 시전했을 뿐이었다.[9]


4.1.5.2. vs 중국 (6월 19일, 진화 스타디움) 1:0 패[편집]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흰색글씨.svg
항저우 아시안 게임 U-24 축구 대표팀 친선 대회
2023. 06. 19.(월) 20:35 (UTC+9)
진화 스타디움 (중국, 저장성 진화시)
주심: 진 징유안 (중국)
중계방송사: 파일:TV CHOSUN 로고 화이트.svg | 캐스터: 김정근 | 해설위원: 박문성
파일: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1 : 0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 (흰색 글자).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45' 순 친한파일:득점 아이콘.svg-
경기 하이라이트

1차전에서 부상으로 교체됐던 엄원상이 발목인대 손상 진단으로 결국 조기 귀국하게 되었다. 팬들은 어차피 평가전인 만큼 로테이션을 돌리면서 선수들의 체력 안배라도 해주기를 바라고 있다.

  • 경기 실황
대한민국 선발 명단 4-2-3-1
감독: 황선홍
GK
1. 이광연
RB
6. 최준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80'
24. 양현준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80'
CB
4. 이상민
CB
5. 김태현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10'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0'
14. 이재익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0' 파일:주장 아이콘.svg
LB
26. 조현택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HT'
25. 이태석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HT'
CDM
27. 김봉수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HT'
17. 송민규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HT'
CDM
8. 정호연
RW
22. 고재현 CAM
10. 고영준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0' 파일:부상 아이콘.svg
2. 황재원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0' LW
18. 정우영 파일:부주장완장.png
CF
20. 조영욱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22' 파일:부상 아이콘.svg
9. 박재용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22'
벤치 대기
3. 이한범, 12. 민성준, 15. 변준수, 16. 권혁규, 21. 김정훈, 28. 천성훈

4명을 제외하고 전 포메이션에 로테이션을 돌렸다, 그리고 아니나 다를까, 중국은 그 1차전이 애교로 보일 수준으로 한국 선수들을 아예 담가버리겠다는 식으로 거친 플레이를 일삼았고, 이 과정에서 조영욱이 부상으로 빠지는 등 한국 선수들은 계속해서 나가떨어졌으며, 전반 막판 중국에 선제골을 허용했다.

후반 중국이 걸어잠그기로 나오긴 했지만 그 와중에도 수비 과정에서 거친 태클이 계속해서 나왔고, 한국 역시 내려앉은 중국을 상대로 답답한 플레이만 이어가다 결국 중국에 0:1로 패했다.

  • 경기 평가

이날 중국의 플레이는 축구를 하자는 건지 싸우자는 건지 모를 수준으로 거칠긴 했으나, 그걸 따지기 전에 이날 황선홍호의 경기력은 졸전, 재앙 수준이었다. 아무리 로테이션을 돌렸고 중국이 거칠었다 한들 중국이 내려앉은 후반전조차 제대로 된 패스, 공격 전개조차 하지 못하고 어정쩡한 플레이로 후반전을 다 날려먹었다. 오히려 중국의 거친 플레이가 이 재앙 같은 경기력을 덮을 핑곗거리가 되었다 해도 틀린 말은 아니다. 결국 황선홍호는 특정 선수들이 없으면 재앙 그 자체인 "해줘" 축구에 불과하다는게 제대로 드러난 것이다.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말 그대로 '무전술'의 완벽한 표본을 보여준 경기. 전술의 잘잘못을 따질 수조차 없는, 그저 포메이션만 들고 나온 수준이었으며, 세부 전술이라는걸 90분 내내 찾아볼 수가 없을 정도였다.

무엇보다 상대의 거친 플레이에 선수들이 고통스러워하는데도 감독과 코칭스태프 모두 항의도 제대로 하지 않았고, 경기가 안 풀리는 와중에도 벤치에서 표정만 구기고 있을 뿐 어떠한 대처도 하지 못했다. 황선홍호가 얼마나 심각한 상태인지 보여주는 또 다른 증거라 할 수 있다.

이런 식이면 진지하게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은 커녕 동메달이라도 딸 수 있을지 의문인 심각한 상황이다. 물론 아시안 게임에는 이강인을 포함해 역대급 초호화 스쿼드를 구축할 것이기에 전술을 넘어 선수 개개인의 기량만으로 우승을 노리는 게 가능하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이긴 하나 그 역대급 스쿼드로도 불안함을 만들고 있는게 무전술로 일관중인 지금의 황선홍호이다.

정몽규 회장 같은 축구협회 고위층 입장에서도 머리가 아파질 상황이다. 아시안 게임이 몇 달 안 남은 시점에서 황선홍의 감독으로서의 역량은 재앙이라는 게 더 이상 증명할 것도 없는 상황이기에, 이 상황에서 본인들이 밀어붙인 황선홍을 유임해서 선수빨로라도 우승을 시키면 계속 본인들 픽인 황선홍의 유임 및 본인들의 입지를 다질 수 있을테니 본인들 딴에는 최상의 결과를 얻겠지만, 지금 황선홍의 감독으로서의 역량은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에서의 홍명보 이상으로 최악 그 자체이기에 금메달을 딸 확률보다 못 딸 확률이 더 높은 상황이며, 금메달 획득에 실패하면 황선홍과 고위층 모두 손잡고 모가지가 날아갈 상황이다. 설령 이제 와서 감독을 바꿀 경우 성공하면 민심과 성적을 모두 잡는 대박을 터트리겠지만 현재 황선홍을 끝까지 물고 늘어진 대가로 지금 당장 자르고 새 감독을 찾는다 해도 주어진 시간이 2~3개월에 불과하다. 지난 대회에서 김학범 감독이 약 6개월을 준비해 금메달을 따긴 했지만, 2~3개월을 가지고는 사실상 힘든 상황이다. 그러나 축구팬들은 차라리 이 시나리오를 간절히 바라는 중이다. 하다못해 고작 2~3개월을 준비한 제대로 된 감독이 나을 정도로 황선홍으로는 도저히 답이 없는 게 현 상황이다.[10] 오죽하면 "차라리 너희들이 좋아하는 김학범이라도 도로 불러와 앉혀라."[11]라는 이야기까지 나오는 중이다.

결국 지난 일본전 0:3 패배에 이어 계속해서 경고성 폭탄이 터지는 중인 상황에서 협회가 어떤 선택을 할지 지켜봐야 할 상황이다. 물론 김판곤 위원장이 나가고 엉망이 된 지금의 협회로서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시나리오는 역대급 스쿼드의 선수단이 어떻게든 황선홍에게 금메달을 안겨주기를[12] 바라고 있는 상황이지만. 참고로 황선홍의 하락세를 리그에서 이미 겪어본 대전 하나 시티즌, FC 서울 팬들은 그저 놀랍지 않다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전술적인 면에서 변한 점이 없는 것도 크며 구시대적인 전술로 인해 더 더욱 크게 비난 여론이 일어났다.

그리고 팬들을 더더욱 분노하게 만든 것은 황선홍 감독의 경기 후 인터뷰였는데 이미 평가전이 성사된 시점부터 많은 팬들이 우려했던 부상 문제에 대해서 상대국에 대한 비판은 고사하고, 고작 "여러 선수들의 부상이 안타까웠고 큰 부상이 아니면 좋겠다."라는 말만 남기고 명백히 잃은 것만 많았던 평가전이었음에도 현지 적응과 경기를 통한 실험이 긍정적이었다는 등 유체이탈스러운 화법만 날리면서 국가대표팀 감독이라는 작자가 선수들이 어떻게 되건 말건 별로 개의치 않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 더욱이 황선홍 본인이야말로 중국의 쿵후 축구로 월드컵을 망친 당사자이기 때문에 25년 전에 자신이 당했던 만큼 너희들도 당해 보라는 꼰대같은 마인드로 일관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황선홍은 대한민국 축구팬들로부터 민심을 완벽하게 잃었다.

그래도 말 그대로 가장 큰 소득이 있는데 그건 바로 황선홍 자신이 책임지고 물러나야 한다는 것이 확실해졌다는 사실이다. 원래부터 허접하기로 유명했고 최근 비리 사태로 혼란스럽고 미세먼지코로나19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편파판정으로 대한민국 국민들로부터 반감이 매우 강한 중국과의 경기에서 깨졌다는 것은 오만 쇼크 이상으로 굴욕 중의 굴욕이다. 게다가 적어도 당시 일본 대표팀은 위험한 더티 플레이는 안했고 편파 판정도 딱히 없었지만 이번 경기는 설명이 필요없다. 그리고 무조건 참가해야 했던 2022 AFC U-23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과 달리 이 두 경기들을 개구리 올챙이 시절 모르고 자청해서 한 것이라 더 갑절로 까이고 욕을 갑절로 먹을 일이기에 지금이라도 협회에서 정신 차리고 황선홍을 경질해서 제대로 된 3개월짜리 감독을 선임해야 할 것이다. 울리 슈틸리케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최종 예선 당시 카타르전 패배의 여파로 경질되긴 했지만 그 도화선은 중국 원정 참패였다. 이란과 우즈베키스탄이라는 난적들과의 경기만 남긴 상황에서 카타르전 패배로 본선행이 불투명해졌기 때문에 앞선 중국전 참패로 인해 형성된 국민들의 분노가 카타르전을 계기로 임계점을 넘어섰던 것일 뿐이다.

하지만 아니나 다를까 협회는 끝까지 황선홍을 밀고 갈 모양새이다. 이강인을 포함한 역대급 초호화 스쿼드가 아시안 게임에서 황선홍에 메달을 안겨주기를 바라는 쪽을 택한 것. 설령 아시안 게임에서 메달을 따지 못한다 해도 황선홍만 토사구팽해 버리고 한동안 입을 다물고 있으면 여론은 길어봐야 몇달이면 잠잠해진다는 건 이미 지난 한국 축구의 역사가 보증해 주는 슬픈 현실이다.

하지만 지난 일본과의 2022 AFC U-23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 8강전 때와는 달리 팬들의 분노 수위가 1차전 완승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올라와 있던데다[13] 이번 패배로 크게 폭발하여서 협회에서 생각을 바꿀 가능성도 있다.

과거 사례만 봐도 홍명보도 상술한 사례의 슈틸리케도 원래는 협회에서 계속 유임시키고[14] 끝까지 밀고가려다 여론의 거센 질타와 원성을 듣고 부랴부랴 생각을 바꿔 경질을 한 바 있다.[15]

그리고 결정적으로 한준희 협회 부회장이 선수들의 부상에 사과하면서 이번 평가전에 대한 회의감이 든다는 격한 표현까지 사용할 정도로 축협 고위층 일각에서도 이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으며[16] 이는 상술한 한일전 패배에서도 안나온 반응이다.[17]

상황이 이 지경까지 왔는데도 황선홍 감독이 기어이 또 폭탄을 터뜨렸는데 귀국 직후 인터뷰에서 중국이 그렇게 거칠게 나올 줄은 몰랐다는 모순된 발언을 한 것도 모자라[18] 중요하지도 않은 경기에서 억울하게 부상당한 선수들에게는 그저 빨리 낫기라 하라는 폭언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의 발언까지 하면서 진심으로 대표팀에서 명예회복을 하고 싶은건지 그도 아니면 후배들의 창창한 앞길을 눈 뜨고 못보니 일부러 이런 평가전을 요청한건지 극단적인 의문이 들 정도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게다가 일을 제대로 벌려놓고 부상자들의 소속 구단에게는 미안하다는 말을 덧붙였는데 여태까지의 태도를 봐서는 진심이라기보다는 미안해서 지금이라도 사과하니까 된 거 아니냐는 무책임한 느낌까지 주게 된다. 협회도 더 이상의 비호가 불가능할 수준으로 감독이 폭주하고 있는지라 상술한대로의 결단이 빠르게 다가오고 있는 모양새다.

4.2. 아시안 게임 본선 및 최종 엔트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황선홍호/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2.1. 조별 리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남자)/E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2.2. 토너먼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남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2024 파리 올림픽 대표팀[편집]


2024년 파리 올림픽을 기준으로 만 23세에 해당하는 2001년생 이후 출생자가 주축이다. 2001년~2002년생 세대는 2021년 U-20이 취소된 탓에 국제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낸 적이 없지만 이강인이 바로 2001년생으로 2년 월반하여 2019 FIFA U-20 월드컵 폴란드에서 준우승했을 때 골든볼까지 따냈다. 또한 2019 FIFA U-17 월드컵 브라질에서 8강에 진출한 멤버들이 2002년생들이 주축으로 파리 올림픽에 차출이 가능한 연령대이다. 2003년생 이하도 가능하긴 하지만 이들은 2026년 아시안 게임때도 주축이 된다. 이 때, 8강 진출로 이끈 김정수 전 감독은 황선홍호에서 코치로서 당시 멤버들과 재회하게 된다.


5.1. 올림픽 이전[편집]



5.1.1. 2022년 9월 친선 경기[편집]



5.1.1.1. 소집 명단[편집]

2022년 9월 26일 우즈베키스탄과 경기도 화성종합경기타운 주경기장에서 친선 경기를 가질 예정이다. 경기를 앞두고 9월 13일 오전에 우즈베키스탄과의 평가전에 소집될 명단이 공개되었다.# 각각 2001년생과 2002년생이라 이 연령대 대표팀으로 소집이 가능한 이강인양현준은 같은 날 발표된 9월 A매치 소집명단에 포함되어 벤투호로 갔다. 이후 강성진은 코로나19 양성 반응으로, 백상훈은 코로나19 이슈로, 황재환은 햄스트링 부상으로 제외되어 이들을 대신해 최기윤, 권혁규, 정한민이 대체 발탁되었다.


5.1.1.2. vs 우즈베키스탄 (9월 26일, 화성종합경기타운) 1:1 무[편집]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흰색글씨.svg
하나은행 초청 올림픽 대표팀 친선 경기
2022. 09. 26.(월) 20:00 (UTC+9)
화성종합경기타운 주경기장 (대한민국, 화성)
주심: 채상협 (대한민국)
관중: 5,124명
중계방송사: 파일:TV CHOSUN 로고 화이트.svg | 캐스터: 박용식 | 해설위원: 박문성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홈 로고.svg
1 : 1
파일:UFA emblem.png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 {{{#0b090c 대한민국}}}]]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79' 조현택 파일:득점 아이콘.svg49' 루슬란 이야노프
경기 하이라이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선발명단 4-4-2
LS
18. 오현규
RS
10. 고영준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90+1'
16. 권혁규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90+1'
LM
9. 정한민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46'
7. 홍시후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46'
LCM
8. 오재혁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74'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22. 이현주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74'
RCM
15. 윤석주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46'
6. 이진용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46'
RM
11. 안재준
LB
12. 박규현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77'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2. 조현택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77' 파일:득점 아이콘.svg 79'
LCB
4. 변준수 파일:주장 아이콘.svg
RCB
26. 조성권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74'
6. 조위제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74'
RB
23. 황재원
GK
1. 김정훈
벤치 대기
13. 박건우 · 14. 김종민 · 17. 최기윤 · 20. 강현묵 · 21. 설현빈 · 24. 안창민 · 25. 김건희 · 27. 조성빈

이 경기는 황선홍호 출범 이후로 아시안 게임 및 올림픽 대표팀 통틀어 처음 잡힌 친선 경기다. 그동안 연습경기나 AFC U-23 아시안컵 예선 및 본선을 치르느라 친선 경기는 없었다.

경기는 졸전 끝에 홈에서 우즈벡에게 패할 뻔했지만 조현택의 극적인 프리킥 동점골로 간신히 무승부를 따냈다. 물론 우즈벡이 이 연령대에서는 최근 아시아 깡패의 실력이긴 하다. 한국뿐 아니라 일본이건 다른 아시아 팀이건 이 연령대에서 우즈벡 상대로 손쉽게 경기하는 팀은 사실상 없다. 하지만 우즈벡도 결국 아시안 게임, 올림픽이 걸린 AFC U-23 대회에서 안 만날 수는 없는 팀이다. 안 그래도 아시안컵 8강 탈락 때문에 신뢰를 잃었던 황선홍의 입지는 점점 좁아지고 있다. 애초에 아시안컵이 끝나고 경질됐어야 한다는 여론이 압도적이었지만 아무도 모를 이유로 은근슬쩍 유임된 것 부터가 문제였다. 사실 황선홍은 이용수 일파가 복귀후 김판곤과 선임위원회를 깡그리 무시하고 본인들 입맛대로 급하게 앉힌 감독이니, 황선홍을 자른다는것은 본인들 실책을 인정하고 입지가 좁아짐을 받아들이는 꼴이다. 그러니 자를 턱이 없다. 그에 따라 아시안 게임과 올림픽의 전망이 어두워지고 있다.

여담으로 이 경기에서 바이에른 뮌헨의 유망주 이현주가 올림픽 대표팀에 데뷔했다.


5.1.2. 2022년 11월 친선 경기[편집]



5.1.2.1. 소집 명단[편집]


  • 당시 벤투호에서 훈련중이던 오현규, 양현준이 월드컵 대표팀으로 뽑힌다면 황선홍호는 대체 선수를 뽑아야 했는데, 결국 오현규가 월드컵 예비 명단으로 발탁이 되면서 이영준(수원 FC)이 대체 발탁되었다.


5.1.2.2. vs 아랍에미리트 (11월 18일, 에미리트 클럽 스타디움) 1:2 패[편집]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흰색글씨.svg
올림픽 축구 국가대표팀 친선 경기
2022. 11. 18.(금) 00:30 (UTC+9)
에미리트 클럽 스타디움 (아랍에미리트, 라스 알카이마)
주심: 수하일 압둘라 알리 (아랍에미리트)
무관중 경기
파일: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2 : 1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홈 로고.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18' 모하메드 알마즈미 (PK)
59' 파라즈 압둘라
파일:득점 아이콘.svg 7' 강현묵

본래 아랍에미리트 U-23과의 평가전 1차전도 국내중계 예정이었으나, 현지 위성문제로 비공개로 진행되었다.

대학생과 국내파로 만든 사실상 1.5~2진급 대표팀이었긴 하지만 또 아시아팀에 발목을 잡히며 매 경기마다 양파 껍질 벗기듯 황선홍의 무능함만 또다시 드러났다. 하지만 당시 A대표팀의 월드컵이 코앞인 상황이었기 때매 다행히도(?) 팬들에게 그다지 관심은 못 받았다.


5.1.2.3. vs 아랍에미리트 (11월 21일, 에미리트 클럽 스타디움) 2:0 승[편집]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흰색글씨.svg
올림픽 축구 국가대표팀 친선 경기
2022. 11. 21.(월) 00:30 (UTC+9)
에미리트 클럽 스타디움 (아랍에미리트, 라스 알카이마)
주심: 사이프 아메드 알메사비 (아랍에미리트)
무관중 경기
중계방송사: 파일:skySports 로고.svg | 캐스터: 박봉서 | 해설위원: 이상윤
파일: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0 : 2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홈 로고.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득점 아이콘.svg 11' 안재준
56' 백상훈
경기 하이라이트

바로 3일뒤에 치뤄진 2차전에서는 다행히도 안재준과 백상훈의 득점으로 승리하면서 1차전때 패배를 설욕하였다.


5.1.3. 2023년 3월 도하컵 U-22 친선 대회[편집]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흰색글씨.svg
2023년 3월 U-22 선수단 명단
No.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소속 리그 소속 클럽 U-23 출전(득점) [A]비고
-GK김정훈Jeong Hoon KIM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2(-1)
-백종범Jong Beom PAIK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FC 서울0(0)
-조성빈Seong Been CHO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svg 전남 드래곤즈1(-1)
-DF박규현Kyu Hyeon PARK파일:3. 리가 로고.svg 3. 리가파일:SG 디나모 드레스덴 로고.svg SG 디나모 드레스덴1(0)
-변준수

C
Jun Su BYEON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로고.svg 대전 하나 시티즌3(0)
-서명관Myeong Kwan SEO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부천 FC 19950(0)
-이상혁Sang Hyeok LEE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울산 현대 엠블럼.svg 울산 현대1(0)
-장시영Si Young JANG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울산 현대 엠블럼.svg 울산 현대1(0)
-조현택

VC
Hyun Taek CHO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울산 현대 엠블럼.svg 울산 현대5(1)
-이태석Tae Seok LEE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FC 서울0(0)
-조성권Sung Gwon JO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김포 FC 엠블럼.svg 김포 FC3(0)
-황재원Jae Won HWANG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대구 FC 엠블럼.svg 대구 FC3(0)
-MF고영준Yeong Joon GOH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6(0)
-권혁규Hyeok Kyu KWON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2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부산 아이파크8(0)
-박창환Chang Hwan PARK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서울 이랜드 FC0(0)
-백상훈Sang Hoon PAIK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FC 서울2(1)
-안재준Jae Jun AN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부천 FC 19953(1)
-엄지성Ji Sung EOM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광주 FC 엠블럼.svg 광주 FC3(0)
-이진용Jin Yong LEE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대구 FC 엠블럼.svg 대구 FC4(0)
-최강민Kang Min CHOI파일:U리그 로고.png U리그파일:대구예술대학교 UI.svg 대구예술대학교0(0)
-FW김신진Shin Jin KIM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FC 서울0(0)
-허율Yool HEO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광주 FC 엠블럼.svg 광주 FC0(0)
-정한민Han Min JEONG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성남 FC 엠블럼.svg 성남 FC0(0)
-홍시후Si Hoo HONG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인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인천 유나이티드 FC3(0)
-홍윤상Yun Sang HONG파일:레기오날리가 바이에른 로고.svg 레기오날리가 바이에른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svg 1. FC 뉘른베르크 II0(0)

2023년 3월 13일 카타르 원정을 떠나는 항저우 아시안 게임 명단과 함께 발표했다. 강원 FC 소속 양현준은 소집 전에, FC 바이에른 뮌헨 II 소속 이현주는 소집 명단 포함 이후 부상으로 제외되었으며 정상빈도 소집 명단에는 포함되었으나 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 이적으로 제외되었다. 이 둘의 대체선수로 각각 최강민정한민이 발탁되었다.


5.1.3.1. vs 오만 (3월 23일, 알가라파 스타디움) 3:0 승[편집]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흰색글씨.svg
도하컵 U-22 친선 대회
2023. 03. 23.(목) 02:30 (UTC+9)
알가라파 스타디움 (카타르, 도하)
주심: 압둘하디 알루와일리 (카타르)
중계방송사: 파일:skySports 로고.svg | 캐스터: 박봉서 | 해설위원: 이상윤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빨간색 로고.svg
3 : 0
파일:ofa logo.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8' 엄지성
33' 김신진
76' 안재준
파일:득점 아이콘.svg
경기 하이라이트

한국의 득점이 일찌감치 터지면서 손쉽게 승리했다.


5.1.3.2. vs 이라크 (3월 26일, 카타르클럽 스타디움) 1:0 승[편집]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흰색글씨.svg
도하컵 U-22 친선 대회
2023. 03. 26.(일) 02:30 (UTC+9)
카타르클럽 스타디움 (카타르, 도하)
주심: 칼리드 알나비트 (카타르)
중계방송사: 파일:skySports 로고.svg | 캐스터: 박봉서 | 해설위원: 이상윤
파일:Iraq_National_Team_Badge.png
0 : 1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 (흰색 글자).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득점 아이콘.svg89' 고영준
경기 하이라이트


5.1.3.3. vs 아랍에미리트 (3월 29일, 알두하일 스타디움) 3:0 승[편집]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흰색글씨.svg
도하컵 U-22 친선 대회
2023. 03. 29.(수) 02:30 (UTC+9)
알두하일 스타디움 (카타르, 도하)
주심: 압둘라흐만 알자심 (카타르)
중계방송사: 파일:skySports 로고.svg | 캐스터: 박봉서 | 해설위원: 이상윤
파일: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0 : 3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 (흰색 글자).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득점 아이콘.svg58' 안재준
79', 86' 홍시후
경기 하이라이트

전반 43분, 엄지성이 상대 수비에 의해 머리 부상을 당해[19] 결국 전반 막바지에 홍시후와 교체되는 일이 있었다. 전반전에는 득점을 하지 못했지만 후반전에 안재준의 선제골과 홍시후의 멀티골로 대회우승을 확정짓게 되고, 경기 후 홍시후가 결승전 MOM, 고영준이 대회 MVP를 수상하였다.


5.1.4. 2024 AFC U-23 아시안컵 예선[편집]



5.1.4.1. 소집 명단[편집]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흰색글씨.svg
2023년 8월 U-22 선수단 명단
No.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소속 리그 소속 클럽 U-23 출전(득점) [A]비고
1GK김정훈Jeong Hoon KIM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
12백종범Jong Beom PAIK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FC 서울
21신송훈Song Hoon SHIN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김천 상무 FC 로고.svg 김천 상무 FC
3DF민경현 Kyeong Hyeon MIN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인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인천 유나이티드 FC
18박창우Chang Woo PARK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
15서명관Myeong Kwan SEO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부천 FC 1995
4이상혁Sang Hyuck LEE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김포 FC 엠블럼.svg 김포 FC
22이태석Tae Seok LEE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FC 서울
5조성권

C
Sung Gwon JO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김포 FC 엠블럼.svg 김포 FC
6조위제

VC
Wi Je JO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부산 아이파크
2조현택Hyun Taek CHO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울산 현대 엠블럼.svg 울산 현대
13MF강현묵Hyun Muk KANG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김천 상무 FC 로고.svg 김천 상무 FC
8권혁규Hyeok Kyu KWON파일:스코티시 프리미어십 로고.svg 스코티시 프리미어십파일:셀틱 FC 로고.svg 셀틱 FC
14백상훈Sang Hoon PAIK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FC 서울
7엄지성Ji Sung EOM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광주 FC 엠블럼.svg 광주 FC
19오재혁Jae Hyeok OH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
16이진용Jin Yong LEE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대구 FC 엠블럼.svg 대구 FC
20이현주Hyun Ju LEE파일:2. 분데스리가 로고.svg 2. 분데스리가파일:SV 베헨 비스바덴 로고.svg SV 베헨 비스바덴
17전병관Byung Kwan JEON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로고.svg 대전 하나 시티즌
11정상빈Sang Bin JEUNG파일:MLS 로고.svg 메이저 리그 사커파일: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
23홍윤상Yoon Sang HONG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
9FW김신진Shin Jin KIM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FC 서울
10허율Yool HEO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광주 FC 엠블럼.svg 광주 FC
명단 탈락 선수
-MF김주찬Ju Chan KIM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수원 삼성 블루윙즈
-박창환Chang Hwan PARK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서울 이랜드 FC
-황재환Jae Hwan HWANG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울산 현대 엠블럼.svg 울산 현대

8월 22일, 26인의 예비 명단을 발표했다. 국내파 선수들은 28일에 소집되어 9월 3일까지 훈련을 진행하며, 해외파 선수들은 9월 4일에 합류한다. 이 명단에서 3명의 선수를 제외한 23명이 최종 발탁된다.

8월 25일, 스토크 시티 FC 이적을 앞둔 배준호가 제외되고 황재환이 대체 발탁되었다.

8월 28일, 변준수, 강윤구가 부상으로, 김준홍클린스만호 소집으로 제외되고 이상혁, 홍윤상, 신송훈이 대체 발탁되었다.

9월 5일, 최종적으로 김주찬, 박창환, 황재환을 제외한 23인 엔트리로 아시안컵 예선을 치르게 되었다.


5.1.4.2. vs 카타르[20] (9월 6일) 0:2 패[편집]

파일:afc-u23-asian-cup_299x325.png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 예선 B조 1차전
2023년 9월 6일 (수요일) 20:00 (UTC+9)
창원축구센터 (대한민국, 창원)
주심: 압둘라 자말리 (쿠웨이트)
관중: 4,352명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빨간색 로고.svg
0 : 2
파일:카타르 축구 협회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득점 아이콘.svg38' 아흐메드 알라위
67' 타밈 만수르 알압둘라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국내 중계
파일:TV CHOSUN 로고.svg
캐스터}}}
박용식
해설자}}}
강성주
파일:쿠팡플레이 로고.svg

황선홍호의 파리올림픽으로 가는 가장 첫번째 관문이라 볼수있다. 그 상대는 카타르로, 내년 4월에 열릴 U-23 아시안컵[21]개최국이다. 카타르가 요즘 제 실력을 발휘못하고 상당히 암흑기에 빠진 팀이기에 손쉬운 승리가 예상되지만 방심은 금물이다. 상대국인 카타르는 U-23 아시안컵 개최국이기 때문에 카타르전 결과가 예선 순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하지만 그 결과는 상상을 초월하는 막장 경기력 끝에 0:2 참패로 끝났다. 아무리 주전 선수들이 거의 빠진 상태였다고는 하지만, 말 그대로 황선홍 감독이 도대체 뭘 하고 싶은 건지조차 알 수가 없을 정도로 승리는 커녕, 골은 물론이요 제대로 된 장면조차 뭐 하나 보여주지도 못하고 패배한 황당한 경기였다.

이제 아시안 게임이 고작 며칠 남은 상황에서 황선홍은 그나마 최소한의 갱생의 여지를 보이기는 커녕 오히려 시간이 지날수록 실시간으로 더 퇴보하는 듯한 기가 막힌 모습만 보여주는 상황이다.

축구계에서 경질을 당한 대부분의 감독의 경우 "이 사람은 이 점은 그나마 좋았으나 이러이러한 문제가 있어 경질되었다." 라는 식으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은데, 현재 황선홍은 단점만 수두룩하고 단 하나의 장점조차 찾을 수가 없는 수준이다.

당장 코앞인 아시안 게임에 대한 불안감은 걷잡을 수 없게 커졌고 이렇게 되면 아시안 게임은 둘째치고 최악의 경우 올림픽, 아니 올림픽을 나가기 위한 예선전을 위한 예선전에서 탈락하는 대형 참사가 벌어질 가능성도 진지하게 고려되는 게 현 상황이다.

정말 다행인 것은 이번 경기는 카타르가 개최국이라 친선 경기 즉 평가전 취급받는거라 예선 성적에 반영이 안된다는 것, 만약 카타르가 대회 개최국이 아니였다면, 카타르가 남은 두 나라를 이길 확률이 매우 높기에 설령 한국이 남은 두 팀을 이긴다 해도 만약 운이 없었으면 조 2위간 경쟁에서 밀려 아시안컵 예선 탈락이라는 대참사가 벌어질 수도 있었다. 그리고 미얀마와 키르기스스탄을 어찌어찌 이겨도 정신차리지 않으면 실제로 파국을 맞을 수 있으므로 감독을 경질하든 뭘 하든 조치를 취해야 할 상황까지 오고 말았다.

축구 팬들 역시 사실 이미 한참 늦었지만 더 늦기 전에 이제야 말로 결단을 내려야 한다며 폭발 직전까지 간 상태. 물론 자를거면 진작에 잘랐지, 가능성은 0에 가깝다. 황선홍과 그를 선임한 이들은 여전히 선수단이 황선홍에게 금메달을 안겨 주기를 바라고 있을 것이다. 물론 2018년 러시아 월드컵 당시 스페인 대표팀이 대회 직전 급하게 페르난도 이에로를 감독으로 앉힌 적 있지만...

사실 황감독만 사라지면 어떤 사람이 와도 금메달 딸텐데...거저 받을 금메달을 왜 날리려...


5.1.4.3. vs 키르기스스탄 (9월 9일) 1:0 승[편집]

파일:afc-u23-asian-cup_299x325.png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 예선 B조 2차전
2023년 9월 9일 (토요일) 20:00 (UTC+9)
창원축구센터 (대한민국, 창원)
주심: 장 레이 (중국)
관중: 7,021명
파일:키르기스스탄 축구 연합 로고 화이트.png
0 : 1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 (흰색 글자).svg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득점 아이콘.svg3' 홍윤상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국내 중계
파일:TV CHOSUN 로고.svg
캐스터}}}
박용식
해설자}}}
강성주
파일:쿠팡플레이 로고.svg

무조건 이겨야만 하는 경기이다. 이 경기에서 진다면 올림픽 진출도 사실상 끝났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러니까, 유럽 같은 일부 지역 빼고 월드컵 다음으로 매우 중요시하는 올림픽 축구에서, 그 올림픽으로 가기 위한 아시아예선 대회(본선) 탈락도 아니고 그 대회를 나가기 위한 1차 예선에서부터(...) 탈락할 가능성이 이미 커졌다는 얘기이다.

중앙아시아의 복병 키르기스스탄과의 대결이다. 키르기스스탄이 우즈베키스탄이나 타지키스탄에 밀려 가려졌을뿐, 저력은 있는팀이라 볼수있다. 실제로 대한민국은 최근 A대표의 아시안컵과 U-23이 출전하는 아시안 게임 당시 모두 키르기스스탄에 1:0으로 힘겹게 이긴적이 있을정도로 무시할만한 팀은 아니다.

그러나 카타르 전에서 보여준 황선홍의 저질 능력을 고려하면 이 경기도 승리를 장담할 수 없는 심각한 상황이 되었다. 상황에 따라 올림픽은 커녕 올림픽을 위한 예선전인 U-23 아시안컵도 나가지 못할 위기에 처한게 황선홍 감독의 현 주소다. 그나마 해외파인 권혁규정상빈이 이 경기부터 출전이 가능해지면서 최소한 해줘 축구라도 할 수 있는 자원들이 생겼다는 점이 위안이다.

결과는 전반 3분만에 정상빈의 돌파 이후 홍윤상이 선제골을 넣었고 , 이 득점을 지키면서 U-23 아시안컵 진출 실패라는 최악의 상황은 피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물론 이번 경기도 많은 면에서 노답인 경기였다. 사실상 홍윤상과 정상빈의 개인 기량이 초반에 통한 덕에 얻은 승리였을 뿐, 심지어 경기 막판에는 키르키스스탄을 상대로 1골차 리드를 지키려고 수비에 집중하는 상황까지 초래했다. 이러다 보니 한국 대표팀이 최악의 상황을 피했을 뿐, 황선홍에 대한 여론은 하나도 나아지지가 않았고 오히려 더 심각해졌다. 감독의 무전술과는 별개로 이태석을 비롯한 일부 선수들은 아쉬운 폼을 보여줬다.


5.1.4.4. vs 미얀마 (9월 12일) 3:0 승[편집]

파일:afc-u23-asian-cup_299x325.png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 예선 B조 3차전
2023년 9월 12일 (화요일) 20:00 (UTC+9)
창원축구센터 (대한민국, 창원)
주심: 마제드 모하마드 알샴라니 (사우디아라비아)
관중: 3,838명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빨간색 로고.svg
3 : 0
파일:attachment/Myanmar_Football_Federatio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5' 백상훈
85' 전병관
90+2' 오재혁
파일:득점 아이콘.svg-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국내 중계
파일:TV CHOSUN2.png
캐스터}}}
박용식
해설자}}}
강성주
파일:쿠팡플레이 로고.svg

미얀마는 2021년 미얀마 민주화 운동 이후 국내 정세가 매우 불안하여 축구 대표팀의 실력도 상당히 약해진 상태다. 미얀마 U-23팀의 가장 최근 경기인 2023 AFF U-23 챔피언십 동남아시아 대회에서 태국전 0:3 패, 캄보디아전 1:1 무, 브루나이전 4:1 승 1승 1무 1패로 조별 리그에서 일찌감치 탈락했다. 황선홍호가 상대하는 파리올림픽 1차 예선 B조팀 중 가장 약한 팀으로 평가된다. 아무리 황선홍호가 막장 중의 막장이라 해도 이 경기까지 질 확률은 높지 않다.

키르기스스탄은 1무 1패로 이번 예선을 마쳤고 대한민국은 1승, 미얀마가 1무인 상황이기 때문에 대한민국은 이 경기에서 비기기만 해도 본선에 진출한다. 그러나 본선 진출 여부와는 별개로 카타르전을 포함한 앞선 두 경기에서 졸전을 펼친 황선홍호이기에 유종의 미를 거두기 위해서라도, 최악으로 치달은 여론을 조금이나마 진정시키기 위해서라도 이번 경기에선 반드시 대승이 필요하다. 만약 또 1~2골차로 간신히 이기거나, 세부 전술 따위 없이 공격진의 개인 능력에 의존하는 축구를 한다면, 그리고 비긴다면 본선에 진출하더라도 본선에서의 성적에 먹구름이 낌은 물론 또 엄청난 비난을 감수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정말 만에 하나 이 경기를 패배해서 본선 진출에 실패한다면 대한민국 축구 역사상 최악의 암흑기로 빠져들 것이다.[22]

이 경기 이후 정확히 1주일 뒤에 아시안 게임 1차전 쿠웨이트전이 시작된다.

지난 경기와 마찬가지로 선수들의 경기 초반 앞서는 개인 능력으로 무난히 5분만에 골을 넣으며 시작했지만, 아니나 다를까 세부 공격 전술이 전혀 없기에 경기 양상이 키르기스스탄전과 똑같이 흘러가며 점유율은 높으나 공격에 실속이 전혀 없었다. 결국 전반은 1골로 마쳤고, 그래도 후반에도 경기 내내 밀어붙이다가 상대 체력이 거의 다 소진된 80분 이후에 두 골을 추가하면서 3:0으로 체면치레는 하면서 경기가 마무리되고 2024 AFC U-23 아시안컵 예선 탈락이라는 막장 상황은 피하게 되었다. 하지만 선수들과 감독 모두 본인들의 경기력에 만족을 못했는지 기쁜 표정을 짓지는 못했다.

하지만 지난 경기들과 달리 다득점은 성공했지만 여전히 전술의 완성도가 심각하게 떨어진다는 건 결국 3차전까지도 전혀 변하지 않은 채 마무리되었다. 그나마 미얀마가 다른 팀들보다 약체고 체력적으로 우리가 우위에 있었기 때문에 경기 막판까지 밀어붙이고 골을 넣을 수 있었던 것 뿐이다. 결국 끝까지 황선홍 감독을 위한 반전은 없었으며, 불안감만 한가득인 채로 드디어 아시안 게임에 돌입하게 되었다.

거기다 추가로 예선전이 모두 끝난 상황에서 한 가지 충격적인 사실이 하나 더 드러났다. 만약 카타르가 대회 개최국이 아니였다면 B조는 미얀마가 꼴찌가 되며, 규정에 따라 미얀마와의 기록을 순위 계산에서 배제하고 조정된 승점을 계산하면 1승 1패 1득점 2실점으로, 11개 팀들의 조 2위간 경쟁에서 상위 4개팀에 속하지 못해[* 심지어 그 순위도 11개팀 중 10등으로, 11개 팀 중 캄보디아를 빼면 꼴찌다.] 대회 예선에서 탈락이 확정되었을 것이다. 황선홍 감독이 그야말로 초대형 사고를 칠 뻔했으나 천운이 한국을 구한 셈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이것은 계속되는 경고 신호로 봐도 무방하며, 팀 운영의 큰 변화가 없다면 2024 파리 올림픽 진출 실패는 이미 확정된 것이라는 걸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나 다름없다.

여담으로 3년 전 도쿄올림픽 티켓이 걸려있었던 2020년 U-23 챔피언십때는 일본이 본선 조별 리그에서 1무 2패 조 4위라는 최악의 성적을 거뒀지만, 올림픽 개최국이었기에 축구종목에 자동 진출이었으므로 이번 황선홍호처럼 운이 좋았다고 볼 수 있다. 물론, 황선홍호는 올림픽 진출이 아니라 이제 U-23 아시아 대회의 본선에 올라갔을 뿐이다. 위에서 상술하였듯 본선에 갔다하더라도 특단의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현재 상태로는 본선 4강 3위[23]안에 들기는 매우 어려워 보인다.


5.1.5. 2023년 11월 친선 경기[편집]


2023년 6월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의 개최국인 중국 원정을 떠났던 것과 마찬가지로, 이번에는 2024 파리 올림픽의 개최국인 프랑스 원정을 떠나게 된다.

유럽에서 열리는 만큼 권혁규, 양현준, 이현주, 배준호 등 유럽파들의 차출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5.1.5.1. 소집 명단[편집]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흰색글씨.svg
2023년 11월 U-22 선수단 명단
No.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소속 리그 소속 클럽 U-23 출전(득점) [A]비고
GK문현호Hyun Ho MOON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충남 아산 FC 로고.svg 충남 아산 FC
백종범Jong Beom PAIK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FC 서울
신송훈Song Hoon SHIN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김천 상무 FC 로고.svg 김천 상무 FC
DF권혁규Hyeok Kyu KWON파일:스코티시 프리미어십 로고.svg 스코티시 프리미어십파일:셀틱 FC 로고.svg 셀틱 FC
김선호Sun Ho KIM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부천 FC 1995
김지수Ji Soo KIM파일:프리미어 리그 로고.svg 프리미어 리그파일:브렌트포드 FC 로고.svg 브렌트포드 FC
민경현Kyeong Hyeon MIN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인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인천 유나이티드 FC
변준수

C
Jun Soo BYEON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로고.svg 대전 하나 시티즌
서명관Myeong Kwan SEO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부천 FC 1995
장시영Si Young JANG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2파일:울산 현대 엠블럼.svg 울산 현대
조성권Sung Gwon JO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김포 FC 엠블럼.svg 김포 FC
조위제

VC
Wi Je JO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부산 아이파크
조현택Hyun Taek CHO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울산 현대 엠블럼.svg 울산 현대
MF강성진Sung Jin KANG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FC 서울
백상훈Sang Hoon PAIK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FC 서울
안재준Jae Jun AHN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부천 FC 1995
엄지성Ji Sung EOM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광주 FC 엠블럼.svg 광주 FC
오재혁Jae Hyeok OH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
이강희Kang Hee LEE파일:K리그2 로고.svg K리그2파일:경남 FC 로고.svg 경남 FC
전병관Byung Kwan JEON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로고.svg 대전 하나 시티즌
홍윤상Yoon Sang HONG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
황재원Jae Won HWANG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대구 FC 엠블럼.svg 대구 FC
FW정상빈Sang Bin JEONG파일:MLS 로고.svg 메이저 리그 사커파일: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
허율Yool HEO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파일:광주 FC 엠블럼.svg 광주 FC

경기가 유럽에서 열림에도 불구하고, 유럽파는 단 2명만 소집되었다. 황선홍 감독은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에 해외파를 소집할 수 있을지 불확실하기 때문에 이번 소집명단에 국내 리그 선수 위주로 선발하고 해외파는 최소화했다고 밝혔다.

10일, 김정훈, 김주환, 고영준이 부상으로 제외되고 대체자로 문현호, 김선호, 엄지성이 발탁되었다.

5.1.5.2. vs 르아브르 AC (11월 17일, 스타드 오세안) 0:0 무[편집]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흰색글씨.svg
파리 올림픽 U-23 축구 대표팀 친선 대회
2023. 11. 17.(금) 22:30 (UTC+9)
스타드 오세안 (프랑스, 노르망디 르아브르)
주심: -
중계방송사: -
파일:르아브르 AC 로고.svg0 : 0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 (흰색 글자).svg
르아브르 AC
-파일:득점 아이콘.svg-
경기 하이라이트

현지 프로 팀과 친선 경기를 가질 예정이다.

일부 매체에 의하면 KFA가 르아브르 AC와 친선경기를 가질 것이라고 발표했다고 한다.#

실제로 프랑스와의 친선전이 르아브르 AC의 홈구장인 스타드 오세안에서 하기에 꽤 일리가 있는 소식이라고 볼 수 있다.

르 아브르 공식 SNS에 올라온 글로 경기가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전반전은 0대0으로 종료되었다고 한다.

경기는 최종적으로 0대0으로 종료되었다. #

5.1.5.3. vs 프랑스 (11월 21일, 스타드 오세안) 0:3 승[편집]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흰색글씨.svg
파리 올림픽 U-23 축구 대표팀 친선 대회
2023. 11. 21.(화) 02:30 (UTC+9)
스타드 오세안 (프랑스, 노르망디 르아브르)
주심: 안드레이 플로린 치불렛 (루마니아)
중계방송사: 파일:skySports 로고.svg | 캐스터: 박봉서, 해설위원: 박문성
파일: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0 : 3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 (흰색 글자).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득점 아이콘.svg70', 79' 정상빈
90+4'홍윤상
경기 하이라이트

프랑스와는 2021년 7월 16일 도쿄 올림픽을 대비한 평가전에서 만난 이후 2년 만의 만남이다. 당시에는 1:2로 역전패했다.

프랑스는 현재 티에리 앙리가 감독을 맡아 올림픽을 준비 중인데, 황선홍티에리 앙리 모두 현역 시절에는 자국 최고의 공격수로 평가 받았으나 감독으로서는 자격 미달이라는 평가를 받은 상황에서 올림픽을 준비하는 상황. 그나마 황선홍은 아시안게임 금메달 획득으로 평가를 어느정도 회복했으나, 앙리는 최근 오스트리아와의 경기에서도 0:2로 패한 데다가 이 경기 직전 기자회견에서 리그1의 득점 부족을 비판했다가 몽펠리에의 미셸 데 자카리안 감독에게 '모나코에서 3개월만에 잘리고 대표팀에서는 양학 외에는 할 줄 아는것도 없는 놈이 헛소리 마라.' 라며 팩트 폭격을 맞았다(...)

여담으로 대한민국 U-23팀이 유럽국가와 붙은 원정평가전이 무려 2016년 리우 올림픽 신태용호 시절 스웨덴 U-23과 브라질에서 올림픽대비 평가전을 한 후 무려 7년만의 유럽팀과의 원정 평가전 경기이다. 특히 '유럽원정' 으로만 더 한정하면 대한민국 U-23 축구대표팀의 마지막 유럽원정 평가전이 무려 2015년 6월달 프랑스에서 열린 프랑스 U-21과의 친선경기가 마지막이었을정도.[24] 특히 옆나라 일본이 근 몇년간 연령별 대표팀을 전 대륙의 실력 있는 팀들과 계속 맞붙게 하는 것과 비교하면 황선홍 감독 말마따나 협회가 한참 더 노력해야 한다는 걸 간접적으로 보여준 셈이다.[25]

프랑스는 U-21 팀이지만 유럽 U-21 팀은 내년 올림픽에 나갈 선수들과 거의 겹친다. 게다가, 엄청난 인재풀을 가지고 있는 나라답게 선발 라인업의 수준이 어마무시하다.[26] 레스테스, 투레, 두쿠레는 각 팀의 주전이며, 우고추쿠, 바르콜라, 텔은 빅 클럽에서 로테이션으로 뛰고 있다. 특히 바르콜라, 텔의 경우 각각 이강인, 김민재의 팀 동료라서 대한민국 팬들에게도 익숙할 만한 이름이다. 대한민국의 경우 안재준, 황재원 등 아시안 게임 멤버 일부가 라인업에 포함된 가운데 엄지성, 변준수, 조위제 등 지난 U-23 아시안컵 예선 멤버들과 강성진, 이강희 등 뉴페이스가 조화를 이뤘다. 해외파인 권혁규, 정상빈, 김지수는 모두 교체 명단에 포함되었다.

  • 경기 실황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U-22 선발 명단 3-4-1-2
감독: [[티에리 앙리|{{{#fff 티에리 앙리}}}]]
GK
16. 기욤 레스트 파일:주장 아이콘.svg
CB
18. 주누엘 벨로시앙
}}}
RWB
14. 킬리안 실디야 61'
13. 브래들리 로코 61'
CM
20. 이스마엘 두쿠레
CM
5. 레슬리 우고추쿠
LWB
11. 브래들리 바르콜라
CAM
21. 마그네스 아클리우슈 61'
10. 라얀 셰르키 61'
CF
9. 아르노 칼리뮈앙도
CF
15. 마티스 텔 61'
7. 엘리예 와히 61'
CF
17. 안재준 68'
7. 홍윤상 68' 파일:득점 아이콘.svg 90+4'
LW
25. 엄지성 68'
8. 오재혁 68'
CAM
13. 강성진 82'
9. 허율 82'
RW
3. 전병관 HT'
23. 정상빈 HT' 파일:득점 아이콘.svg 70' 79'
}}}
CM
10. 이강희 68'
20. 권혁규 68'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72'
CM
2. 황재원
LB
14. 조현택
CB
19. 서명관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54' 86'
4. 변준수 86'
CB
15. 조위제 파일:주장 아이콘.svg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78'
RB
26. 민경현 82'
24. 김지수 82'
GK
21. 신송훈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대한민국 U-22 선발 명단 4-2-3-1
감독: [[황선홍|{{{#ffffff 황선홍}}}]]

전반전은 전체적으로 프랑스가 경기를 주도했다. 한 수 위인 피지컬과 기술을 앞세워 빅 찬스를 여러 번 만들어냈고 실제로 1~2골 정도는 실점해도 이상하지 않았으나 전부 골대를 맞추거나 아슬아슬하게 빗나가거나 신송훈 골키퍼의 선방으로 번번히 득점이 무산되었다. 그리고 대한민국은 프랑스를 잘 틀어막은 것까지는 좋았으나, 프랑스가 경기의 주도권을 잡으면서 유효 슈팅을 한 개도 날리지 못했다.

후반 들어서도 프랑스는 선수 교체로 분위기를 잡고 대한민국 진영을 두드렸으나 여전히 한 골도 넣지 못했고 오히려 시간이 지날수록 전반의 매서운 기세에 비해 계속 골이 안 터져서인지 점점 미스가 늘어나며 경기가 말리는 추세에 접어들었다. 그러다가 70분 경기의 판도를 완전히 뒤바뀌는 일이 터지는데, 교체 투입된 정상빈이 장거리 프리킥을 그대로 프랑스 골문에 꽂아버리며 대한민국이 1:0으로 앞서가기 시작했다. 프랑스는 적잖게 당황한 모습을 보이며 동점골을 위해 계속해서 공격을 시도했으나 전반에 비하면 형편없는 모습만 보이며 한국에게 손쉽게 틀어막혔고, 오히려 79분 평범한 크로스를 수비 둘과 골키퍼가 전부 흘려버리는 어이없는 삽질로 인해 정상빈이 빈 골문에 가볍게 밀어넣어 추가골을 넣었다. 거기다 추가시간 프랑스는 수비 진영에서 우왕좌왕하며 계속 공을 걷어내지 못하는 개그를 선보이다가 이 수비 미스로 기어이 홍윤상이 쐐기골까지 터트리며 완전히 무너졌다. 결국 대한민국이 원정에서 3:0으로 대승을 거두며, U-23 대표팀 역사상 처음으로 프랑스에 승리를 거뒀다.

프랑스 입장에선 말 그대로 홈에서 충격패였다. 다음 세대교체에 중요한 역할도 있었던 이날 경기는 특히 올림픽 출전에 해당하는 이 연령대는 다른 유럽에 비해 성적이 심각하게 좋지 않긴 하지만, [27] 그걸 감안해도 애초에 선수단 퀼리티가 너무 차이가 나는 상황이였다. 애초에 양 쪽 모두 1진급은 아니였지만, 1.5진이라 해도 프랑스는 홈팀이었고 대부분이 유럽 5대리그에서 준주전 급으로 뛰는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었고, 한국은 해외파 대부분이 빠진 상황에서 K리그 1,2부 선수들로 팀을 구성해 싸웠다. 그런데 이런 결과가 나온 것.

물론 프랑스는 한국을 전반과 후반 초반까지 내내 밀어붙였고 이때 한 골이라도 넣었다면 분위기가 달라질 여지는 있었다. 하지만 프랑스는 골을 넣지 못했고, 잘 버티던 한국이 기어이 선제골을 얻은 이후 한 골 내주고 멘탈이 터지며 어이없는 실수를 남발하는 프랑스에 2골을 더 때려박고 대승을 거둔 것이니 프랑스 입장에선 할 말도 없는 상황.

결국 황선홍 감독은 최소한 아시안 게임 금메달 이후 어느 정도 성장한 반면, 티에리 앙리는 여전히 축구인들의 말마따나 사실상 감독 자질이 없다는 걸 증명한 셈이다. 올림픽에서는 나름 실력이 되는 한국이지만, 어찌됬건 축구 강국을 자처하는 프랑스라는 나라가, 그것도 홈에서 0:3으로 개박살이 났으니 티에리 앙리는 언론에게 맹폭을 당하는 중이다(...)

아울러 프랑스는 저번 올림픽 당시에도 개최국 일본한테도 폭격 그자체를 맞으면서 0:4로 처참히 깨졌는데 이번엔 한국에게 그것도 안방인 홈에서 0:3으로 깨지면서 그야말로 성인대표팀 독일마냥, 프랑스는 올림픽대표팀 한일양국의 '맛집'이 되어버렸다.

당초에는 호주, 우즈베키스탄과의 국내 평가전이 예정되어 있었지만, 황선홍 감독의 강력한 요청으로 프랑스 원정으로 바뀐게 드러났다. 호주, 우즈베키스탄이 나쁜 팀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강한팀과 맞서 현지적응 및 함부로 살 수 없는 경험을 한 셈이다.

5.1.6. 2024 AFC U-23 아시안컵 본선[편집]


2023년 10월, U-24 대표팀을 이끌고 항저우 아시안 게임 축구 금메달 획득에 성공하면서 파리 올림픽 대표팀 인력 풀에서 상당 부분 변화가 생길 것이 불가피하다. 이 대회의 연령 제한이 2001년생까지로, 아시안 게임 금메달 멤버들 중에서는 골키퍼 김정훈, 수비수 황재원, 이한범, 박규현, 미드필더 고영준, 이강인, 공격수 안재준이 해당된다.

사실상 황선홍 감독에게 있어서 진짜 시험의 첫 단추가 될 대회이다. 아시안게임은 한국을 제외한 참가국들은 딱히 신경을 쓰지 않아[28] U-23 아시안컵 예선보다 무게감이 약한 스쿼드를 들고 나온 반면 한국은 거의 A 대표팀 수준의 정예 멤버를 구축해 전술이고 뭐고 체급으로 찍어 눌러 금메달을 얻었지만, U-23 아시안컵은 예선에서 이미 봤듯이 대부분의 나라들이 올림픽 티켓을 얻기 위해 눈에 불을 켜고 달려드는 대회이기 때문. 한국은 9회 연속 올림픽 진출에 성공한 만큼 이번 대회에서도 당연히 올림픽 티켓을 얻는 것이 1차 목표이며 황선홍호가 이번엔 어떤 모습을 보여줄 지도 관심사이다.

그리고 이 대회는 A매치 기간에 열리지 않는다. 따라서 해외파이자 소속팀 주전인 이강인, 박규현, 이현주, 조진호 및 소속팀 전력 내 자원인 오현규, 양현준, 이한범, 배준호 등은 차출이 절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29] 그나마 소속팀에서 경쟁자가 많아 주전급이 아닌 권혁규, 정상빈이나[30] U-23 내지는 B팀 소속인 김용학, 황인택, 김지수는 차출을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K리그 역시 시즌 중이기에 이미 아시안 게임 병역 특례를 받았거나 군필인 고영준, 김정훈, 안재준, 황재원은 각 소속팀의 차출을 받기 쉽지 않아 보이며 백종범, 이태석, 엄지성, 홍윤상, 허율, 김신진 등 미필인 국내파 선수 위주로 대회에 임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본선 조편성 결과 조별리그부터 올림픽 진출을 위한 4강까지 역대급 지옥불 난이도의 로드맵이 짜여지게 되었다. 이 어려운 상황 속에서 한국을 10회 연속 본선 진출에 성공시킨다면 다시 한번 황선홍 감독에 대한 평가가 급상승하겠지만, 만약 탈락한다면 아시안게임 금메달의 의미도 퇴색되며 9회 연속 올림픽 진출했던 한국을 떨어뜨린 졸장으로 다시 평가가 급락할 상황. 아시안게임에 이어 다시 한 번 평가의 기로에 놓인 상황이며, 심지어 아시안게임과 달리 AFC대회는 다른 나라들도 눈에 불을 키고 달려들고, 한국은 그때보다 전력이 약화되는 것을 피할 수 없기에 더 어려운 상황인 이 때 황선홍 감독이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이목이 집중된 상황이다.

6. 전적[편집]


일시장소상대국경기 결과점수득점자구분
2021. 10. 25.싱가포르, 잘란 베사르 스타디움필리핀 U-223:0이규혁
고재현
박정인
2022 AFC U-23 아시안컵 예선
2021. 10. 28.동티모르 U-226:0박정인 (3)
최준
오현규
김세윤
2021. 10. 31.싱가포르 U-225:1김찬
야코브 말러 (OG)
조상준
박정인
최준
2022. 06. 02.우즈베키스탄, 로코모티프 스타디움말레이시아 U-234:1이상민
김태환
조영욱(2)
2022 AFC U-23 아시안컵 본선
2022. 06. 05.베트남 U-231:1조영욱
2022. 06. 08.우즈베키스탄, 파흐타코르 스타디움태국 U-231:0고재현
2022. 06. 12.일본 U-230:3
2022. 09. 26.대한민국, 화성종합경기타운우즈베키스탄 U-231:1조현택친선 경기
2022. 11. 18.아랍에미리트, 에미리트 클럽 스타디움아랍에미리트 U-231:2강현묵
2022. 11. 21.2:0안재준
백상훈
2023. 03. 23.카타르, 알가리파 스타디움오만 U-223:0엄지성
김신진
안재준
도하컵 U-22 친선 대회
2023. 03. 26.카타르, 카타르클럽 스타디움이라크 U-221:0고영준
2023. 03. 29.카타르, 알두하일 스타디움아랍에미리트 U-223:0안재준
홍시후(2)
2023. 06. 15.중국, 진화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중국 U-243:1엄원상(2)
정우영
친선 경기
2023. 06. 19.0:1
2023. 09. 06.대한민국, 창원축구센터카타르 U-220:22024 AFC U-23 아시안컵 예선
2023. 09. 09.키르기스스탄 U-221:0홍윤상
2023. 09. 12.미얀마 U-223:0백상훈
전병관
오재혁
2023. 09. 19.중국, 진화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쿠웨이트 U-249:0정우영(3)
조영욱(2)
백승호
엄원상
박재용
안재준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본선
2023. 09. 21.태국 U-244:0홍현석
안재준
엄원상
이재익
2023. 09. 24.바레인 U-243:0이한범
백승호
고영준
2023. 09. 27.키르기스스탄 U-245:1백승호
정우영(2)
조영욱
홍현석
2023. 10. 01.중국, 황룽 스포츠 센터 경기장중국 U-242:0홍현석
송민규
2023. 10. 04.우즈베키스탄 U-242:1정우영(2)
2023. 10. 07.일본 U-242:1정우영
조영욱
2023. 11. 21.프랑스, 스타드 오세안프랑스 U-213:0정상빈(2)
홍윤상
친선 경기

7. 둘러보기[편집]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김학범호황선홍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01:49:49에 나무위키 황선홍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초 계약 기간은 2022년 9월에 진행할 예정이었던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까지였으나 대회가 1년 후로 미뤄지면서 자연스럽게 계약을 연장한 것으로 보인다. 기사(연합뉴스) [2] 엄밀히 말하자면 포항 감독 시절의 전술 스타일이다.[3] 2024 파리 올림픽 본선 진출권과 연계.[4] 카타르가 아시안컵 개최국이라 이 경기의 결과가 예선 순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사실상 평가전이다.[A] A B C D E F G H I 골키퍼인 경우, 실점[5] 대한축구협회의 강압으로 이루어진 경기이기도 하는데 차범근 감독이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강행되었다.[6] 실점 장면 직후 에펨코리아추격골 캡쳐본이 올라왔는데, 명백히 라인 밖에서 크로스를 올렸음을 확연히 볼 수 있다. 스포츠 아나운서인 곽민선도 경기 종료 후 대표팀 공식 인스타그램에 올라온 스코어보드에 3-0이라는 댓글을 달며 이 오심을 대놓고 디스했다. #[7] 이 이야기는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개막을 1주일 앞둔 한중전에서도 나왔던 이야기였다.[8] 공교롭게도 황선홍 감독은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개막을 1주일 앞두고 열린 중국과의 평가전에서 소림축구에 제대로 당해 프랑스 월드컵에서 0.001초도 그라운드를 밟지 못한 뼈아픈 기억이 있다. 당시 황선홍은 하석주와 함께 차범근호의 핵심 전력을 담당하던 선수였는데 대한축구협회가 강행한 중국전에서 부상을 당하는 바람에 빠졌고 하석주마저 멕시코전에서 선제골을 넣었으나 대한축구협회가 백태클 규칙룰을 설명하지않는 바람에 허무하게 퇴장당했고 결국 역전패당했다. 결국 대한축구협회가 차범근호를 망가뜨린 것이나 다름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책임을 차범근 감독한테 뒤집어씌워서 경질시켰다.[9] K리그 팬들이라면 김상식 재임 시절 전북 현대 모터스의 경기력을 생각하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10] 다만 2007 아시안컵에서 이라크의 조르반 비에이라 감독은 부임한 지 불과 2~3개월 만에 우승해버린 사례도 있기는 있다.[11] 김학범 역시 구시대적인 훈련 방식과 선수 혹사로 인해 현재는 국내에서 민심이 좋지 않은 감독이고 아시안 게임 금메달도 손흥민, 황의조, 김민재, 조현우라는 역대급 선수들의 하드캐리로 인해 딴 거지 중원 삭제 축구에 전술은 그리 좋지 않았다는 평가를 받는 감독이지만, 그래도 와일드 카드를 잘 고른 것도 엄연히 김학범의 능력이고, 무엇보다 한국을 대표하는 학구파 감독 중 1명이라 최소한 황선홍에 비하면 전술적 고민을 조금이라도 하는 감독이기 때문에 이런 소리가 나오는 것이다.[12] 감독이 선수단에게 금메달을 바라는 게 아니라 선수단이 감독에게 금메달을 안겨주기를 바라는 상황이라고 봐도 될 정도로 개막장으로 치닫았다.[13] 애초에 여러 스포츠 기자들 역시 기사를 보면 알수 있듯 얻은 것보다 잃은게 더 많다고 표현하며 팬들과 똑같은 생각을 하고 있는것이 드러났다. 심지어 유명 축구 유튜버이자 이 경기를 생중계로 지켜봤던 새벽의 축구 전문가도 황선홍 감독의 태도에 대해 줄곧 강도 높은 비판을 하기도 했다.[14] 홍명보는 2015 아시안컵, 슈틸리케는 2018 월드컵까지[15] 다만 홍명보는 자진사퇴 형식으로 물러난거긴 하다.[16] 심지어 일각에서는 한준희 부회장을 방패로 삼아 사과를 하게 시켰다는 말도 있다. 워낙 부패 할 대로 부패한 축협이니 그런 예상도 나올만도 하다.[17] 상술했듯 민족감정을 제외하고 보면 올림픽 출전권 타이틀도 없는 대회인데다 부상 당한 선수들도 없었지만 이번에는 선수들의 줄부상으로 아시안 게임은 물론이고 지금 당장 K리그 일정에도 영향이 커지게 생겼다. 게다가 파울루 벤투 감독 시절 A 대표팀의 카타르 월드컵 16강, 김은중 감독이 이끄는 U-20 대표팀의 아르헨티나 U-20 월드컵 4강, 변성환 감독이 이끄는 U-17 대표팀의 태국 U-17 아시안컵 준우승 및 2회 연속 U-17 월드컵 본선 진출 등, 선후배들이 골고루 성과를 내고 있는 상황 속에서 황선홍호만 부진이 이어지는 중이라 감독의 자질 논란이 더욱 눈에 띄는 부분도 있다.[18] 정작 어깨 부상을 당했던 조영욱은 같은 자리에서 거칠게 나올 것을 예상했다는 말을 했기 때문에 팀이 사실상 붕괴된 것으로 보일 정도로 팀 내부 분위기가 심각해져가고 있다.[19] 당시 엄지성은 귀를 다쳐 꿰맬정도의 부상을 입어 팀매니저와 함께 하루를 추가로 휴식한 후 3월 30일에 귀국했어야 했다.[20] 카타르가 아시안컵 개최국이라 이 경기의 결과가 예선 순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사실상 평가전이다.[21] 올림픽 진출 티켓이 걸린 대회[22] 가뜩이나 성인대표팀은 클린스만 감독 건으로 팀이 혼란에 빠져있는 상태이다. 만약 정말로 황 감독 본인도 큰 성과를 내지 못한다면, 팬들의 민심은 최악으로 치닫게 되는 건 물론이고 그 동안의 암흑기보다도 더한 최악의 사태가 터질 것이며, 대한민국 축구 이미지 조차도 크게 떨어질 것이다.[23] 아시아 지역 올림픽 직행 티켓수 3장. 4강 4위팀은 아프리카 4위팀인 기니와 피말리는 파리행 단두대 플레이오프 경기를 치러야 한다.[24] 결과는 1-1 무승부[25] 다만 A대표팀UEFA 네이션스리그 때문에 유럽 대표팀과 친선경기가 거의 불가능하다.[26] 아래 경기 실황에서 프랑스 라인업에 이름이 올라있는 선수들 대분이 나무위키에 문서로 편성되어 있다. 이는 문서로 이미 작성되어 있을만큼 어느정도 이름이 있다는 의미다.[27] 2년마다 열리는 UEFA U-21 챔피언십에서 1988년 우승, 2002년 준우승을 거둔 것을 빼면 단 한번도 결승에 올라가 본 적이 없고, 이 때문에 올림픽 축구에도 얼굴을 잘 비치지 못했다. 물론 올림픽은 월드컵과 달리 유럽팀 올림픽 진출자리가 월드컵에 비하면 약 절반정도가 부족한 것도 있으며 2020도쿄올림픽 본선 당시 유럽은 4개팀이 진출하였다. 그리고 지난 도쿄 올림픽 본선 진출이 21세기 첫 진출이였고 심지어 거기서도 최약체 남아공을 추가 시간 극장골로 4:3으로 간신히 잡았지만 멕시코와 일본에 각각 1:4, 0:4로 두들겨 맞기만 하고 탈락(13등)했다.[28] 그나마 우즈벡과, 한국처럼 군면제제도가 있는 이란 정도가 아시안게임 축구에 전력을 다하지만, 이번 항저우 때는 대회 바로직전, 더 중요한 U-23 아시안컵 1차예선이 있었기에 이 두 나라도 이번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1군 전력으로 나오진 않았다. 일본도 평소라면, 아시안게임 축구에 최소 다음 올림픽에 나갈 나름 U-21 연령의 1군으로 나오지만 앞서 말했듯 대부분의 국가들은 U-23 아시안컵 예선에 더 집중할수 밖에 없으므로 일본도 항저우 아시안게임때는 더 급이 낮은 선수들로 나왔었다.[29] 다만 올림픽 본선의 경우 리그 휴식기에 열리는 만큼 본선 진출에 성공한다면 와일드카드를 제외한 U-23 선수는 유럽파 차출이 가능하다. 특히 이강인의 경우 소속팀 연고지가 올림픽이 개최되는 파리이다. [30] 다만 권혁규의 경우 겨울 이적시장에서 유럽 타 팀으로의 임대 가능성이 존재하고, 정상빈의 경우도 거취를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라 내년 4월에 차출이 가능할지는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