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506

덤프버전 :



파일: IMG_2726 (1).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506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506 노선도.png
기점[출발]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신성초등학교)
[도착]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서울산업정보학교.삼성교)
종점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1가(을지로입구역.광교)
종점
첫차04:30기점
첫차05:45
막차22:30막차23:45
평일배차11~16분주말배차토요일 11~16분 / 공휴일 12~16분
운수사명한남여객운수인가대수19대(예비 2대)[1][2]
노선(→ 신성초등학교 →/← 서울산업정보학교.삼성교 ← 서울대학교 ← 서울산업정보학교.삼성교 ← ) - 미림여고.미림여자정보과학고 - 관악산휴먼시아아파트1단지입구 - 우림시장.난곡보건분소 - 난곡우체국사거리 - 신림사거리.신림역 - 봉천역 - 서울대입구역 - 봉천사거리.봉천중앙시장 - 숭실대입구역 - 상도역 - 상도터널 - 상도터널.노량진동 - 한강대교 - 신용산역 - 삼각지역 - 숙대입구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7번 승강장) → 시청앞 → 서울신문사 → 을지로입구역.광교 → 롯데영프라자 → 북창동.남대문시장 → 서울역버스환승센터(4번 승강장)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한남여객운수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4.1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151번 도시형버스(난곡 - 롯데백화점)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상도시장 - 종로1가' 구간이 '상도시장 - 동작구청 - 노량진역 - 본동가칠목'으로 변경되었고, 번호도 5520번으로 바뀌었다.

  • 도심으로 가던 노선이 사라지면서 많은 민원이 발생해 2004년 8월 28일에 개편 전 노선으로 환원되었고, 동시에 간선버스로 전환되면서 번호도 506번으로 바뀌었다.

  • 2005년 2월 3일에 노량진역 대신 상도터널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08년 7월 12일에 난곡에서 신림2동(현 서림동)까지 연장되었다.

  • 2017년 12월 31일에 종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과 함께 가로변 정류소가 모두 폐쇄되면서 종로1가를 정차하지 않게 되었고 종점도 을지로입구역.광교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문

  • 2022년 4월 18일을 기해 평일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69분에서 175분으로 늘어났으며, 평일에 1일 3회씩 운행해오던 단축운행차량 2대가 N75번으로 이동했다. 이에 따라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105회에서 99회로 감회되었고, 평일 배차간격 역시 9~11분에서 10~13분으로 늘어났다.관련 공문1관련 공문2

  • 2022년 8월 8일을 기해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75분/169분/164분에서 188분/180분/170분으로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운행횟수가 평일/토요일 5회, 공휴일 3회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으로 평일/토요일의 최소 배차간격이 10분에서 11분으로 늘어났으며, 최대 배차간격은 평일/토요일/공휴일 모두 16분으로 통일되었다. 관련 공문

  • 2022년 12월 1일을 기해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었으며, 이와 동시에 평일에 1대 지정되었던 예비투입차량이 평일은 2대, 토요일은 1대로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가 평일/토요일은 각각 1/2회씩 증회되었으며, 공휴일은 1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최소/최대 배차간격에 대한 변동은 없다. 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난곡에 있던 차고지가 시종점이었고 전체적인 선형이 괜찮았으나, 난곡GRT 공사로 차고지가 없어져서 신림2동차고지까지 노선이 연장되어 버린 바람에 연장 구간인 '난곡동차고지 - 신림2동차고지'는 굴곡이 심하다.

  • 신림역 - 노들역 - 강북 도심 연결 경로는 152번과 504번이 가장 최단거리이고, 그다음이 506번이며, 500번의 경로가 가장 길다.

  • 501번, 750번과 함께 숭례문 - 신용산역 구간을 지나는 노선 버스 중에서 상도터널을 지나가는 몇 안 되는 버스 중 하나다. 이들 세 노선은 '갈월동 - 관악중앙시장(서울대입구역 북쪽)' 구간이 겹친다. 501번과는 중복 구간이 더욱 길다. 단 도심의 편도회차 구간은 종각역에서 우회전하는(종로 상에는 무정차. 광교(02246)에 정차.) 이 노선이 한 블럭 더 간 종로2가사거리에서 우회전하는 501번에 비해 짧다.

  • 기점부터 난곡까지는 무난하지만 출퇴근 시간의 난곡로가 교통 정체로 시달린다. 남부순환로로 빠져나오면 다시 신림사거리에서 급격히 교통량이 늘어나 막힌다. 도심 방향 진행시 서울대입구역 사거리 좌회전도 카오스이다. 여기는 동서방향 남부순환로의 교통량이나 도로의 위상이 남북방향 관악로보다 높아서, 동서방향의 직진 신호를 길게 주기 위하여 좌회전 신호를 매우 짧게 주기 때문이다. 대개 신호등 2~3번만에 겨우 좌회전한다. 나머지 구간은 그런대로 무난하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506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13,925명-
2014년14,962명△ 1,037
2015년15,068명△ 106
2016년14,859명▽ 209
2017년14,632명▽ 227
2018년14,305명▽ 327
2019년14,366명△ 61
2020년11,347명▽ 3,019
2021년11,694명△ 347
2022년12,115명△ 421
※ 하차 인원 미포함


4.2. 노선[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506번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해운센터.롯데영프라자
02141
을지로입구역.광교
02246
북창동.남대문시장
02127
서울신문사
02137
숭례문
02008
시청앞
02128
이상 회차 구간
서울역버스환승센터
02004
서울역버스환승센터.강우규의거터
02007
갈월동
03012
갈월동
03011
숙대입구역
03010
숙대입구역
03009
삼각지역
03008
삼각지역
03007
용산우체국
03006
용산우체국
03005
신용산역
03004
신용산역
03003
한강대교북단.LG유플러스
03002
한강대교북단.LG유플러스
03001
노들섬
03340
노들섬
03341
상도터널노량진동
20157
상도터널노량진동
20156
상도터널상도동
20158
상도터널상도동
20159
상도역
20160
상도역
20161
상도동중앙하이츠빌.상도전통시장
20162
상도동중앙하이츠빌.상도전통시장
20163
숭실대입구역
20165
숭실대입구역
20166
봉현초등학교
20167
봉천고개.관악현대아파트
20168
성현동동아아파트
21136
관악푸르지오아파트
21133
봉원중학교.행운동우성아파트
21137
봉원중학교.행운동우성아파트
21132
봉천사거리.위버폴리스
21368
봉천사거리.봉천중앙시장
21131
서울대입구역5번출구
21104
-
KT관악지점
21105
KT관악지점
21120
봉천역.관악초등학교
21106
봉천역.관악초등학교
21119
KT&G관악지점
21107
KT&G관악지점
21118
관악우체국.에이치플러스양지병원
21261
관악우체국.에이치플러스양지병원
21262
신림사거리.신림역
21108
신림사거리.신림역
21117
남부초등학교
21109
남서울중학교.성보중고등학교
21116
호림박물관
21110
호림박물관
21361
-난곡입구
21115
신림청소년독서실.신림체육센터
21219
신림청소년독서실.신림체육센터
21204
난곡우체국사거리
21218
난곡우체국사거리
21205
신일교회앞
21217
신일교회앞
21206
세이브마트앞
21216
세이브마트앞
21207
남강중고등학교입구
21215
남강중고등학교입구
21208
우림시장.난곡보건분소
21214
우림시장.난곡보건분소
21209
난우중학교입구
21213
난우중학교입구
21210
신림복지관앞
21212
신림복지관앞
21211
서울난향초등학교.난향동주민센터
21370
난곡종점
21809
관악산휴먼시아.신림푸르지오2차
21265
난향동주민센터
21268
관악산휴먼시아아파트1단지입구
21266
관악산휴먼시아아파트1단지입구
21267
삼성산주공아파트
21174
삼성산주공아파트
21171
산장아파트
21175
산장아파트
21170
삼성산성지
21176
삼성산성지
21169
신우초등학교
21177
신우초등학교
21168
미림여고.미림여자정보과학고
21178
미림여고.미림여자정보과학고
21167
미림고개.고시촌입구
21179
미림고개
21166
서울대벤처타운역
21180
삼성동주민센터
21165
대학동고시촌입구
21157
신성초등학교
21144
서울산업정보학교.삼성교
21158
-
관악산입구.관악아트홀.중앙도서관
21159
-
서울대학교
21127
-
신림중.삼성고.관악아트홀.중앙도서관
21142
-
서울산업정보학교.삼성교
21143
-
서림동차고지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4:38:01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506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요일 17대 / 공휴일 14대 운행[2] 예비차는 평일에 정상투입차량으로 운행되며, 토요일에는 2대 중 1대가 정상투입차량으로 운행된다.[3] 숙대입구역 하차 후 도보[4] 을지로입구역.광교 하차 후 도보.[5] 서울신문사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