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덤프버전 : (♥ 0)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조국(동음이의어) 문서
조국(동음이의어)번 문단을
조국(동음이의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조국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파일:법무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초대
이인
제2대
권승렬
제3대
이우익
제4대
김준연
제5대
조진만
제6대
서상환
제7대
조용순
제8대
이호
제9대
홍진기
제10대
권승렬
장도영 내각
송요찬 내각
김현철 내각
제11대
조재천
제12대
이병하
제13대
고원증
제14대
조병일
제15대
장영순
김현철 내각
제16-18대
민복기
제19대
권오병
제20대
이호
제21대
배영호
제22대
신직수
제23대
이봉성
제24·25대
황산덕
제26대
이선중
제27대
김치열
제28대
백상기
제29·30대
오탁근
제31대
이종원
제32대
정치근
제33대
배명인
제34대
김석휘
제35대
김성기
제36·37대
정해창
제38대
허형구
제39대
이종남
제40대
김기춘
제41대
이정우
제42대
박희태
제43대
김두희
제44대
안우만
제45대
최상엽
제46대
김종구
제47대
박상천
제48대
김태정
제49대
김정길
제50대
안동수
제51대
최경원
제52대
송정호
제53대
김정길
제54대
심상명
제55대
강금실
제56대
김승규
제57대
천정배
제58대
김성호
제59대
정성진
제60대
김경한
제61대
이귀남
제62대
권재진
제63대
황교안
제64대
김현웅
제65대
박상기
제66대
조국
제67대
추미애
제68대
박범계
제69대
한동훈
제70대
박성재
임시정부 법무부장








대한민국 제66대 법무부장관
초대 조국혁신당 대표
조국
曺國 | Cho Kuk
파일:조국의원후보.jpg
출생1965년[1] 4월 6일 (59세)
부산직할시 서구 동대신동
(現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거주지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 두산아파트[2]
본관창녕 조씨[3]
현직제22대 국회의원
조국혁신당 대표
조국혁신당 인재영입위원장
재임기간문재인 정부 초대 민정수석비서관
2017년 5월 11일 ~ 2019년 7월 26일
제66대 법무부장관
2019년 9월 9일 ~ 2019년 10월 14일
서명
파일:조국 서명.svg
링크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본적경상남도 의창군 웅동면 마천동
(現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마천동)
부모아버지 조변현(1935 ~ 2013)[1]
어머니 박정숙[2]
형제자매남동생 조권(1967년생)[3][4]
배우자정경심
자녀장녀 조민
장남 조원[5]
학력혜광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 / 석사[6])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 / 박사과정 수료)
UC 버클리 로스쿨 (법학 / LL.M.)[7]
UC 버클리 로스쿨 (법학 / J.S.D.[8])[9]
병역육군 소위 복무만료 (석사장교)
종교불교
신체180cm[10], 73kg, O형
소속 정당
파일:조국혁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지역구비례대표
의원 선수1
의원 대수22
소속 위원회국방위원회
약력울산대학교 법학과 전임강사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조교수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해임]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 (문재인 정부)
법무부장관 (제66대 / 문재인 정부)
초대 조국혁신당 대표
조국혁신당 인재영입위원장
파란불꽃선거대책위원회 상임선거대책위원장
제22대 국회의원 (비례대표 2번 / 조국혁신당)
약칭
[1] 曺弁鉉, 보명(譜名)은 규변(圭弁)이다. 2013년 별세.[2] 朴貞淑[3] 曺權, 보명(譜名)은 권현(權鉉)이다.[4] 채용비리 등으로 징역 3년을 확정받고 수감되었다. #[5] 미국명 브라이언 조 (Brian Cho).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국적을 가진 복수국적자이다.[6] 석사 학위 논문 : 소비에트 사회주의(社會主義) 법・형법이론(法·刑法理論)의 형성(形成)과 전개(展開)에 관한 연구(硏究) :1917-1938 (1989), 지도교수 이수성[7] 법학사 또는 법조인 전용 법학전문석사 학위. 1년 과정[8] 박사 학위 논문: Exclusion of illegally obtained evidence in search-and-seizure and interrogation (1997)[9] 학술박사(Ph.D.)가 아니라 미국 로스쿨에 있는 2년 과정의 단기연수로 취득할 수 있는 법학 전문박사 학위, 즉 Doctor of the Science of Law(S.J.D.)이다. 다만 미국 로스쿨은 박사과정의 경우 대부분 전문박사 과정만을 운영하고 예일 대학교 로스쿨 등 극히 일부 대학에서 학술박사(Ph.D.) 과정을 운영하고 있기에 J.S.D. 혹은 S.J.D.도 학술박사로 간주하는 편이다. 경력법조인 코스가 아닌 학자로서 법학 교수로 임용되는 데에도 지장이 없다. 장승화 교수, 송옥렬 교수 등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의 다른 미국 로스쿨 박사 출신 교수들도 대부분 J.S.D. 또는 S.J.D. 출신이다. 다만 두 교수는 조국과 다르게 사법시험 합격자로 법조인이라 학자 출신보다는 학위가 덜 중요하긴 하다.[10] #[해임] 2024년 3월 20일 교육부 교원소청심사위원회에서 '해임' 의결. 자녀 입시 비리 등의 혐의를 받는 데 대해 서울대학교가 2023년 6월 최고 수위 징계인 '파면'을 내리자 이에 불복해 교육부에 교원소청심사를 청구했으며, 9개월여 만에 한 단계 낮은 '해임' 징계로 조정되었다. 이에 대해서도 불복하여 행정소송을 제기하겠다고 밝혔다.
1. 개요
2. 약력
8. 저술 활동
8.1. 저서
8.2. 역서
8.3. 공저
9. 어록
10. 소속 정당
11. 선거 이력
1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법학자 출신 정치인.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하던 중 문재인 정부 시기 민정수석비서관, 법무부장관으로 봉직했다. 현재는 조국혁신당 대표이자 제22대 비례대표 국회의원이다.


2. 약력[편집]


  • 1986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학사
  • 1988 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 준비위원회 위원
  • 1989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 석사
  • 1990 대한민국 육군 보병 소위 임관 및 전역(석사장교)
  • 1990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조교
  • 1991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 박사 과정 수료
  • 1992 울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법학과 전임강사[4]
  • 1994 태광그룹 일주학술문화재단 해외박사과정 장학생
  • 1995 미국 UC 버클리 로스쿨 법학전문석사(LL.M.)
  • 1997 미국 UC 버클리 로스쿨 법학전문박사(J.S.D.)
  • 1998 영국 리즈 대학교 Centre for Criminal Justice Studies, 방문연구원
  • 1998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Centre for Socio-Legal Studies, 방문연구원
  • 1999 울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법학과 조교수
  • 2000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조교수
  • 2000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 부소장
  • 2000 민주화운동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 자문위원
  • 2001 대법원 양형제도연구위원회 위원
  • 2001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조교수
  • 2002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소장
  • 2002 Global Forum on Fighting Corruption and Safeguarding Integrity, 워크숍 담당자
  • 2003 대법원 법관인사제도개선위원회 위원
  • 2003 경찰청 경찰혁신위원회 위원
  • 2003 여성부 성매매방지대책자문단 자문위원
  • 2003 국무조정실 성매매방지대책자문단 위원
  • 2003 국제검사협회 서울총회 자문단 위원
  • 2003 정암 형사법 학술상[5]
  • 2004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부교수
  • 2004 대검찰청 인권존중을 위한 수사제도•관행개선위원회 위원
  • 2004 대검찰청•경찰청 수사권조정자문위원회 위원
  • 2004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학생담당부학장
  • 2004 한국의 미래 열어갈 100인 수상[6]
  • 2005 미국 하버드-옌칭 연구소 방문학자
  • 2005 한국을 이끌 60인[7]
  • 2006 법무부 감찰위원회 위원
  • 2006 기초학문융성 우수학술도서[8]
  • 2007 참여연대 운영위원회 부위원장
  • 2007 대법원 양형위원회 전문위원
  • 2007 법무부 검찰인권평가위원회 평가위원
  • 2007 서울대학교 대외협력본부 부본부장
  • 2007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위원
  • 2008 대검찰청 검찰정책자문위원회 위원
  • 2008 우수연구상[9]
  • 2009 대법원 양형위원회 위원
  • 2009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10]
  • 2010 10년 뒤 한국을 빛낼 100인[A]
  • 2011 10년 뒤 한국을 빛낼 100인[A]
  • 2012 10년 뒤 한국을 빛낼 100인[A]
  • 2015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
  • 2017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
  • 2019 제66대 법무부장관[11]
  • 2024 조국혁신당 대표
  • 2024 제22대 국회의원(비례대표)


3. 생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조국/생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대권주자로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조국/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SNS 활동[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조국/SNS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비판 및 논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조국/비판 및 논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조국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조국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저술 활동[편집]



8.1. 저서[편집]


  • 《형사법의 성편향》. 박영사. 2001년 3월 1일. (ISBN 8989355109)
  • 《양심과 사상의 자유를 위하여》. 책세상. 2001년 8월 30일. (ISBN 8970132791)
  • 《성매매》. 사람생각. 2004년 2월 1일. (ISBN 898868639X)
  •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 박영사. 2005년 3월 20일. (ISBN 8910512873)
  • 《유죄답변협상의 도입방안에 대한 연구》. 관악사. 2006년. (ISBN 8991280501)
  • 《성찰하는 진보》. 지성사. 2008년 3월 24일. (ISBN 978897889172)
  • 《보노보 찬가(정글자본주의 대한민국에서 인간으로 살아남기)》. 생각의나무. 2009년 5월 11일. (ISBN 9788984989498)
  • 《조국 대한민국에 고한다》. 21세기북스. 2011년 1월 3일. (ISBN 9788950927929)
  • 《지금부터 바꿔야 하는 것들(정글 대한민국 개조론)》. 보아스. 2012년 11월 12일. (ISBN 9788996616795)
  • 《조국의 만남(우리시대의 최전선을 만나다)》. (주)쌤앤파커스. 2013년 3월 20일. (ISBN 9788965701378)
  • 《왜 나는 법을 공부하는가》. 다산북스. 2014년 6월 15일. (ISBN 9791130602882)
  • 《절제의 형법학》. 박영사. 2014년 12월 25일. (ISBN 9791130326641)
  • 《조국의 시간》. 한길사. 2021년 5월 31일. (ISBN 9788935668663)
  • 《가불 선진국(연대와 공존, 사회권 선진국을 위한 제언)》. 메디치미디어. 2022년 3월 25일. (ISBN 9791157062560)
  • 《조국의 법고전 산책》. 오마이북. 2022년 11월 9일. (ISBN 9788997780518)
  • 《디케의 눈물(대한검국에 맞선 조국의 호소)》. 다산북스. 2023년 8월 30일. (ISBN 9791130645469)


8.2. 역서[편집]


  • 《실천법학입문》. 학민사.1991년 10월 1일. (ISBN 8971930330)
  • 《인권의 좌표》. 명인문화사.2010년 3월 29일. (ISBN 9788992803175)


8.3. 공저[편집]


  • 《진보집권플랜》. 오마이북, 2010년 11월 5일. (ISBN 9788996430520)
  • 《불량 사회와 그 적들(좋은 시민들이 들려주는 우리 사회 이야기)》. 알렙. 2011년 4월 25일. (ISBN 9788996517122)
  •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공부》. 상상너머. 2011년 11월 17일. (ISBN 9788996632047)
  • 《그 남자 문재인》. 함께 만드는 세상. 2012년 9월 15일. (ISBN 9788996489825)
  • 《사회권의 현황과 과제》. 경인문화사. 2017년. (ISBN 9788949942568)
  • 《경제민주화의 이론과 과제》. 경인문화사. 2017년. (ISBN 9788949942742)


9. 어록[편집]


알았으면 공범이고 몰랐으면 무능이다.


불은 가장 뜨거울 때 파란색이 됩니다. 우리가 가장 뜨거운 파란 불이 되어 검찰독재 정권을 태워버립시다.

2024년 3월 3일, 조국혁신당 창당대회에서 #


3년은 너무 길다.


느그들 쫄았제?

2024년 3월 15일, YTN 박지훈의 뉴스킹에서


고마, 치아라 마!

(표준어: "그만, 치워라!!")

2024년 3월 20일, 부산 유세 현장에서



10.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파일:조국혁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4 - 현재창당
정계 입문


11.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24제22대 국회의원 선거비례대표
파일:조국혁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6,874,278 (24.25%)당선 (2번)초선

역대 선거 벽보


12. 별명[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조국/별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3. 여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조국/개인적 면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4.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최고의결기구 (전국대의원대회)
'''

전국대의원대회
의장'''
서왕진'''

전국대의원대회
부의장'''
집행기구 (당무위원회·대표단 회의)
'''

당대표
(당무위원회 의장)
'''
조국
공동대표원내대표황운하
부대표
사무국
사무총장황현선
정책위원회
'''

정책위원회 의장
'''
서왕진
독립기구
교육위원장'''

정책연구소장
'''
'''

예산결산위원장
'''
'''

중앙당후원회장
'''
조정래 ·
문성근
특별기구
'''

인재영입위원장
'''
조국
선거기구
'''

후보심사위원장
'''
파일:국회휘장.svg 원내기구 (의원총회)
원내대표황운하
'''

원내수석부대표
'''
원내부대표
[각주]







조국 사태
[ 펼치기 · 접기 ]
연루자조국 일가조국 · 정경심 (배우자) · 조민 (딸) · 조원 (아들) · 조권 (동생) · 조범동 (5촌 조카)
입시비리 관련최강욱 · 최성해 · 노환중 · 오거돈 · 장영표 · 한인섭
사모펀드 관련김경록
청와대 관련윤규근 · 유재수 · 백원우 · 박형철 · 송철호 · 송병기 · 한병도 · 황운하 · 임종석
수사팀검찰 지휘부윤석열 · 한동훈 · 배성범
의혹 및 논란조국 및 일가 관련사모펀드 · 웅동학원 · 딸 관련 (단국대 · 공주대 · 동양대 · 장학금 · 허위 스펙) · 아들 관련 (최강욱의 허위 인턴증명서 발급) · 과거 SNS 및 내로남불 · 기타 논란
청와대 관련특별감찰반 비위 논란 (유재수 감찰 무마 · 울산시장 선거개입 의혹 조국 무혐의 처분)
재판재판
반응각계 반응반응 · 여론조사 · 별명 · 인사청문회 · 홍준표 조국 과잉수사 발언 논란
조국 옹호자김민웅 · 전우용 · 최민희 · 김남국 · 김용민 · 황희석 · 유시민 · 김어준
조국 비판자진중권 · 서민 · 김경율 · 권경애
집회조국 규탄 집회 · 조국 수호 집회 (비판과 논란)
도서조국백서 · 조국흑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7 12:11:26에 나무위키 조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공식적인 생년은 1965년으로 초, 중, 고, 대학을 1963년생과 같이 다니고 장교수첩에는 1963년생이라고 적혀 있지만 본인은 스스로를 1965년생이라고 하며 1963년생이 아니라고 주장한 바 있다.#[2] 2022년 3월 관악구 봉천동으로 이사했다. 과거에는 서초구 방배동 삼익아파트에서 거주했다.[3] 태복경공파(太僕卿公派) 26세 ○현(鉉) 항렬로, 족보에도 항렬에 맞춰 국현(國鉉)이란 이름으로 올라 있지만 실제 이름은 항렬자 없는 외자다. 일가족 모두가 족보에는 항렬에 맞춘 이름을 올리고 실제 쓰이는 이름은 다르게 지었다.[4] 현재 기준으로 조교수에 상응[5] 한국 형사법학회 수여[6] 한겨레신문 수여[7] 경향신문 수여[8] 대한민국 학술원 수여[9]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수여[10] 2024년 3월 27일 서울대학교 교원소청심사위에서 교수직 해임을 의결하였다.[A] A B C 동아일보 수여[11] 문재인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