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카날로아

덤프버전 :

로드 카날로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JRA상 연도대표마

[ 펼치기 · 접기 ]
>
케이슈샤상
1954
하쿠료
1955
오토키츠 >

1956
메이지 히카리

1957
하쿠치카라

1958
온워드 데어

1959
윌 딜
1960
코다마
1961
호마레보시 >

1962
온슬로트

1963
류 포렐 · 메이즈이

1964 · 1965
신잔

1966
코레히데

1967
스피드 심볼리

1968
아사카 오

1969
타케시바 오
1970
스피드 심볼리
1971
토메이
유슌상
1972
이시노 히카루
1973
타케 호프 >

1974
키타노 카치도키

1975
카부라야 오

1976
토쇼 보이

1977
텐 포인트

1978
카네 미노부

1979
그린 그래스
1980 · 1981
호요 보이
1982
히카리 듀얼 >

1983
미스터 시비

1984 · 1985
심볼리 루돌프

1986
다이나 걸리버
JRA상
1987
사쿠라 스타 오
1988
타마모 크로스 >

1989
이나리 원
1990
오구리 캡
1991 토카이 테이오

1992
미호노 부르봉

1993
비와 하야히데

1994
나리타 브라이언

1995
마야노 탑건

1996
사쿠라 로렐

1997
에어 그루브

1998
타이키 셔틀

1999
엘 콘도르 파사
2000
티엠 오페라 오
2001
정글 포켓 >

2002 · 2003
심볼리 크리스 에스

2004
젠노 롭 로이

2005 · 2006
딥 임팩트

2007
어드마이어 문

2008 · 2009
보드카
2010
부에나 비스타
2011
오르페브르 >

2012
젠틸돈나

2013
로드 카날로아

2014
젠틸돈나

2015
모리스

2016 · 2017
키타산 블랙

2018
아몬드 아이

2019
리스 그라슈
2020
아몬드 아이
2021
에프포리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background:#268300; font-size: .7em;"
2022 이퀴녹스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JRA상 최우수 단거리마

[ 펼치기 · 접기 ]
>>>
케이슈샤상
최량 스프린터
1955
토세이
1956
오토키츠 >

1957
랩소디

1958
히시 마사루

1959
하쿠 쿠라마
1960 · 1961
헬리오스
1962
카네츠 세키 >

1963
메이즈이

1964
토스트

1965
키스톤

1966
히시 마사히데

1967
온워드 힐

1968
셰스키

1969
하쿠 에이호
1970
타마미
1971
에리모 실버
유슌상
스프린터상
1981
사쿠라 신게키
최우수 스프린터
1983~1985
니혼 필로 위너
1986
닛포 테이오
JRA상
1987
닛포 테이오
1988
사커 보이 >

1989
뱀부 메모리

1990
뱀부 메모리

1991
다이이치 루비

1992
니시노 플라워
최우수 단거리마
1993
야마닌 제퍼
1994
사쿠라 바쿠신 오 >

1995
히시 아케보노

1996
플라워 파크

1997 · 1998
타이키 셔틀

1999
에어 지하드
2000
다이타쿠 야마토
2001
트로트 스타 >

2002
어드마이어 코진

2003 · 2004
듀랜달

2005
해트 트릭

2006 · 2007
다이와 메이저

2008
슬립리스 나이트

2009
로렐 게레이로
2010
킨샤사노 키세키
2011
카렌짱 >

2012 · 2013
로드 카날로아

2014
스노우 드래곤

2015
모리스

2016
미키 아일

2017
레드 팔크스

2018
파인 니들

2019
인디 챔프
2020 · 2021
그란 알레그리아
2022
세리포스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신세기의 명마 베스트 100

[ 펼치기 · 접기 ]
※ 2021년 JRA가 일본의 경마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2001년 ~ 2020년에 활약한 '신세기의 명마 베스트 100 100두'를 선정
1위
딥 임팩트
2위
아몬드 아이
3위
오르페브르
4위
키타산 블랙
5위
보드카
6위
콘트레일
7위
골드 쉽
8위
티엠 오페라 오
9위
젠틸돈나
10위
로드 카날로아
11위
킹 카메하메하
12위
다이와 스칼렛
13위
오쥬 쵸산
14위
쿠로후네
15위
부에나 비스타
16위
데어링 택트
17위
리스 그라슈
18위
소다시
19위
키즈나
20위
세자리오
[ 21~100위 ]
21위
하츠 크라이
22위
심볼리 크리스 에스
23위
럭키 라일락
24위
크로노 제네시스
25위
모리스
26위
그란 알레그리아
27위
아그네스 타키온
28위
저스터웨이
29위
빅투아르 피사
30위
키세키
31위
두라멘테
32위
아그네스 디지털
33위
아파파네
34위
사토노 다이아몬드
35위
스테이 골드
36위
다이와 메이저
37위
정글 포켓
38위
에피파네이아
39위
피에르망
40위
드림 저니
41위
맨해튼 카페
42위
사투르날리아
43위
메이쇼 삼손
44위
월드 프리미어
45위
카네 히키리
46위
와그네리안
47위
나카야마 페스타
48위
네오 유니버스
49위
스윕 토쇼
50위
에이신 플래시
51위
어드마이어 그루브
52위
젠노 롭 로이
53위
히시 미라클
54위
탭 댄스 시티
55위
마카히키
56위
듀랜달
57위
레이 데 오로
58위
타니노 김렛
59위
버밀리언
60위
하프 스타
61위
아에롤리트
62위
마츠리다 고흐
63위
홋코 타루마에
64위
논코노 유메
65위
페노메노
66위
파인 모션
67위
인디 챔프
68위
메이쇼 도토
69위
렛츠 고 돈키
70위
카렌짱
71위
살리오스
72위
원 앤 온리
73위
마리알라이트
74위
컴퍼니
75위
놈코어
76위
레인보우 라인
77위
스틸 인 러브
78위
다논 더 키드
79위
러브즈 온리 유
80위
디어드러
81위
코파노 리키
82위
블래스트 원피스
공동 83위
로고타입 · 스와브 리처드
공동 85위
어드마이어 문
공동 85위
어드마이어 마스
87위
골드 알뤼르
88위
미키 퀸
89위
업 투 데이트
90위
러블리 데이
91위
에포카 도로
92위
스노우 드래곤
93위
알 아인
94위
스크린 히어로
95위
윈 브라이트
96위
이슬라 보니타
97위
모즈 애스콧
98위
야마닌 슈크르
공동 99위
에스포와르 시티 · 다논 프리미엄
설명 및 분류 · 드림 호스 2000



2013년 JRA상 연도대표마
파일:1200px-Lord_Kanaloa_Hankyu_hai_2013_(IMG1).jpg
이름ロードカナロア
Lord Kanaloa
龍王
출생2008년 3월 11일 (16세)
성별수컷
털색갈색 (鹿毛, 카게)
아비킹 카메하메하
어미레이디 블라섬(レディブラッサム)
외조부스톰 캣(Storm Cat)
생산자케이아이 팜
마주㈜로드 호스 클럽
모집 정보 및 규모2,625만 엔(1구 5.25만 엔 × 500구 계좌)
조교사야스다 타카유키 (릿토)
성적19전 13승 (13-5-1-0)
17전 11승[중앙]
2전 2승[HKG]
총상금8억 5020만 800엔
6억 6995만 8000엔[중앙]
1710만 홍콩 달러[HKG]
주요
우승
G1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2012, 2013)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스프린트(2012, 2013)
타카마츠노미야 기념(2013)
야스다 기념(2013)
G3케이한배(2011)
실크로드 스테이크스(2011)
한큐배(2013)
주요 수상2012년, 2013 JRA상 최우수 단거리마
레이팅WBRRS120(2012) / S128(2013)[1]
타임폼133[2]
주요 자마아몬드 아이 (2015)
스텔비오 (2015)
다논 스매시 (2015)
사투르날리아 (2016)
파일:호주 국기.svg Tagaloa (2017)
판탈라사 (2017)
다논 스콜피온 (2019)
상세 정보파일:netkeiba_logo.png | JBIS

1. 개요
2. 혈통
3. 생애
4. 종마 생활
4.1. GI/JpnI 경주 우승마
5. 여담
6. 경주 성적



1. 개요[편집]


파일:카날로아.jpg파일:Lord_Kanaloa_Portrait.jpg
그 빠름, 바다를 건너다.
その速さ、海を渡る。
용왕이 사는 곳
龍王の棲むところ
히어로 열전 No.752017년 명마의 초상

용왕이 사는 곳

이 장소는 누구에게도

뺏기고 싶지 않다고 생각했다.

정상에서 바라본 풍경이

이렇게나 아름다울 줄이야.

내어주라고 독촉하는 소리는

모두 쏘아 떨어뜨려 주마.

바다 건너편에 우뚝 솟은 산도

도리어 정복해 주마.

들어라, 나의 포효를.

여기는 용왕이 사는 곳이다!

JRA 명마의 초상

JRA 현창마. 사쿠라 바쿠신 오와 함께 일본 경마 역사상 최강의 스프린터중 하나로 평가받는 경주마로, 2012~2013년 홍콩 스프린트 2년 연속 우승으로 유명하다. 이름은 하와이 신화의 해신이자 저승세계의 신인 카날로아에서 따왔다.


2. 혈통[편집]


1대2대3대
킹 카메하메하
キングカメハメハ
2001
킹맘보
Kingmambo
1990
파일:미국 국기.svg
미스터 프로스펙터
Mr. Prospector
미에스크
Miesque
맨패스
Manfath
1991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라스트 타이쿤
Last Tycoon
파일럿 버드
Pilot Bird
레이디 블라섬
レディブラッサム
1996
스톰 캣
Storm Cat
1983
파일:미국 국기.svg
스톰 버드
Storm Bird
털링구아
Terlingua
새러토가 두
Saratoga Dew
1989
파일:미국 국기.svg
코머런트
Comorant
슈퍼 루나
Super Luna
* 노던 댄서 5×5×4 12.5%
* 세크리테리엇, 시리언 시 M4×M5 9.375%
아버지는 2010-2011년 JRA 리딩 사이어였던 킹 카메하메하이며, 2019년 사망했다. 이후 비 선데이 사일런스계 혈통에서 킹 카메하메하의 자마인 로드 카날로아가 그 역할을 물려받았다.

외조모 새러토가 두는 미국에서 G1 2승을 기록하고 샤다이 팜에 수입된 번식암말이다. 모계 6대모 섬싱로열(Somethingroyal)은 경주마와 종마로 대활약한 서 게일로드(Sir Gaylord)와 세크리테리엇의 모마이며, 섬싱로열의 모계 후손 중에 니시노 플라워도 있다.

3. 생애[편집]








2013년 야스다 기념 영상

일명 '용왕'. 19전 13승, 연대율 90%대[3], G1 6승. 홍콩 스프린트를 2년 연속으로 우승했다.[4] 용왕이라는 별명은 홍콩 스프린트에 출장했을 때 현지에서 번역된 이름[5]이 그대로 별명이 된 것으로, 그 별명에 부끄럽지 않을 만큼의 활약을 한 괴물 스프린터다. 21세기 론진 월드 스프린터 레이팅 2위. 참고로 1위는 당연히 블랙 캐비어[6]

2012, 2013 홍콩 스프린트 영상

현창마의 문이 단거리마에겐 매우 좁은데도 로드 카날로아는 그 좁은 문을 들어갔다.[7] 이렇게 된 배경에는 완벽에 가까운 일본 내 성적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홍콩 스프린트 연패의 비중이 매우 컸다. 홍콩은 호주와 함께 단거리 특화 국가로서 단거리 경기의 위상이 매우 높다. 타 일본 조교마들이 홍콩 대회를 우승기록을 채우는 동안 홍콩 스프린트는 일본마들에게 우승을 허락하지 않았다. 로드 카날로아는 일본 조교마 사상 첫 우승을 이루어냈고, 연패까지 이루어냈다.


4. 종마 생활[편집]


연도교배료
(만 엔)
조건교배
두수
자마
두수
Sire
순위
계양처샤다이 스탤리언 스테이션 (2014~)
2014500[A]250--
2015[B]276188-
2016[B]267197-
2017[B]25016240
2018800[B]2941767
20191500[B]2452193
20202000[A]1791832
20211500[A]1551252
2022[A]1311152
20231200[A]118--
[중앙] A B [HKG] A B [1] 일본 역대 론진 레이팅 역대 5위[2] 일본 역대 타임폼 레이팅 순위 3위[3] 2착 5회에 3착 1회로 한 번도 4착 아래로 들어온 적이 단 1번도 없다.[4] 단거리 국제 경주에서 우승한 일본의 말로는 영국의 줄라이컵 우승자 아그네스 월드도 있다.[5] '카날로아(Kanaloa)’는 고대 하와이 신화에 등장하는 바다의 신이다.[6] 통산 25전 25승에 G1 15승이라는 어처구니 없는 기록을 남긴 호주의 암말. 이게 수백년 전 기록도 아니고 2006년생이다. 로드 카날로아와 활동시기가 2년 정도 겹치는데 일본과 홍콩에서 뛴 로드 카날로아와는 달리 블랙 캐비어는 호주와 유럽 쪽에서 뛰었기 때문에 직접 붙은 적은 없다.[7] 사실 이것도 첫 2년동안 오르페브르, 젠틸돈나에게 밀리고 이제 자기 차례인가 싶었을 때 4표차이로 아깝게 떨어졌던 우여곡절이 있었다. 이 때문에 로드 카날로아조차 현창마가 되지 못한다면 앞으로도 단거리마는 현창마 되지 말라는 소리냐는 반발이 생겨 4년차에야 붙은 것이다.[A] A B C D E 수태 확인 후[B] A B C D E 전납, 불수태시 전액 반환
[출처]

2013년에 은퇴한 후 종마로 전업했다. 킹 카메하메하를 이어 비 선데이 사일런스계의 유력 종마로 활약하고 있으며, 일본 경마를 지배하는 선데이 사일런스의 피가 한 방울도 섞이지 않은 덕분에 배합 상대로서도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어 많은 교배 신청을 받는 중이다.

초년도 산구부터 일본 경마 최초로 G1 9승을 달성한 아몬드 아이, 마일 챔피언십을 우승한 스텔비오를 배출하고, 2년차 산구에서 호프풀 스테이크스와 사츠키상을 우승한 사투르날리아, 3년차에는 호주에서 블루 다이아몬드 스테이크스를 우승한 타갈로아(Tagaloa), 두바이 터프와 사우디 컵을 우승한 판탈라사를 배출하는 등 종마로서도 쾌진격 중이다. 로드 카날로아 자신은 스프린터였지만, 그 자마들은 자신의 주종목이던 단거리뿐 아니라 클래식 디스턴스(2400m)에서도 활약하고 있다. 다만, 아몬드 아이, 사투르날리아 같은 아웃라이너를 빼고 보면 전체적인 자식들의 적성의 평균치는 단거리에 가깝다고 한다, 또한 로드 카날로아의 자마들은 대부분 조숙 성향보다는 아버지를 닮아서인지[8] 만성형이 많은 편이다.[9]

경주마로 활약하던 당시, 같은 야스다 타카유키 조교사 아래 소속되어 있던 1년 연상의 카렌짱을 짝사랑했다는 에피소드가 유명했다. 실제 두 마리를 담당했던 조교사도, 두 마리만 남으면 로드 카날로아는 카렌짱을 의식하거나 관심을 보였지만 카렌짱은 로드 카날로아에게 관심을 안 보였다고 증언했다. 훗날 이 둘 사이에서 '카렌 모에'라는 이름의 암말이 탄생했다. 카렌 모에는 부모처럼 단거리 경주마로 활약중이다. 카렌 모에는 최소 3착은 하는 등 하위권에 든 적이 없긴 하지만 승리도 잘못하는 애매한 성적을 내고 있어서 부모가 모두 최강의 스프린터라는 혈통상의 기대에는 미치지 못한 편이다.[10]

  • 이 커플링에는 재밌는 뒷이야기가 있는데, 카렌짱이 이전에 같이 있던 야스다 타카유키 마방의 우두머리였기 때문인지 원래는 순한 성격인 로드 카날로아가 카렌짱과 교배한 뒤로는 갑자기 자기 서열이 높아진 것 마냥 다른 말들에게 텃세를 부리기 시작했다. 마치 카렌짱이 옛 마방에서 하던 것처럼 다른 말이 마방에 먼저 들어가면 성질을 부리기도 했다고, 마방 관계자들이 다른 말이 들어가는걸 아예 못 보게 숨기는 방법으로 화를 낼 타이밍을 주지않고, 로드 카날로아가 제일 마방에 늦게 돌아가게 만들자 다시 본래의 유순한 성격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 그러나 실제로 용왕의 성격이 변한 것은 2019년으로 카렌짱과 어울리던 2015년과는 4년이나 거리가 난다면서 부정하는 이야기도 있다. 이 말에 따르면 마침 2019년은 부마인 킹 카메하메하와 당시 종마로서 최고의 인기를 누리던 딥 임팩트가 사라진 시기로, 자기 서열이 상승했다는 것을 감지하여 거만해졌다는 이야기.

한 해에 기본 200회 이상 교배하고 있기 때문에, 뒤를 이어줄 종마가 나오지 않으면 제 명에 못 살 가능성이 매우 높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같은 킹 카메하메하 후계 종마로 부담을 나눠갖던 두라멘테가 2021년 8월 9살이라는 이른 나이로 요절하는 바람에 로드 카날로아에게는 위기가 닥친 상태. 피곤에 찌든 로드 카날로아의 근황

2021년에는 연대율 100%의 뛰어난 암말 경주마로 유명한 다이와 스칼렛과의 교배로 수말을 낳았는데, 딸부자였던 다이와 스칼렛의 자마들 중 첫 수말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해에는 교배수가 155회로 줄어들었는데, 자마 사투르날리아가 이번에 샤다이 스탈리온 스테이션에 입성했기 때문이다. 사투르날리아는 초년도 교배료 600만 엔에 역대 3위인 205회를 교배했다.

2022년 8월 17일에 타이키 셔틀이 사망하면서, 2022년 기준 생존 중인 현창마 중에서 최연장자가 됐다.[11] 20세기 말에 들어서부터 벌어진 현창마 선정 관련 논란 등으로 인해 현창마에 뽑힌 말들 수가 적었던 것에, 일부 현창마들[12]이 각각 타이키보다도 먼저 세상을 떠난 것이 원인.


4.1. GI/JpnI 경주 우승마[편집]


  • 굵게 표시된 것은 GI 경주.

2015년산
2016년산
2017년산
  • Tagaloa - 파일:호주 국기.svg 블루 다이아몬드 스테이크스(2020), 파일:호주 국기.svg CS 헤이즈 스테이크스(2021)
  • 판탈라사 - 후쿠시마 기념(2021), 나카야마 기념(2022),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두바이 터프(2022),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 컵(2023)
2019년산
2020년산


5. 여담[편집]




6. 경주 성적[편집]


경주일경마장
경기명
등급
트랙
배당인기착순기수1착마
(2착마)
2010년 (2세)
12.5코쿠라2세 신마잔디 1200m1.211착후루카와 요시히로(시엘 에 메르)
2011년 (3세)
1.5나카야마주니어 컵OP잔디 1600m2.112착에비나 마사요시데르마 두르가
1.29교토3세 500만 이하잔디 1400m1.812착후쿠나가 유이치래틀스네이크
4.16코쿠라드라세나상500만잔디 1200m1.311착키타무라 유이치(애스터 윙)
5.14교토아오이 스테이크스OP잔디 1200m2.411착(사쿠라 벨)
11.6교토쿄라쿠(京洛) 스테이크스OP잔디 1200m2.911착후쿠나가 유이치(쿄와 매그넘)
11.26교토케이한배GIII잔디 1200m1.611착(그랑프리 엔젤)
2012년 (4세)
1.28교토실크로드 스테이크스GIII잔디 1200m1.411착후쿠나가 유이치(에이신 덕 맨)
3.25주쿄타카마츠노미야 기념GI잔디 1200m2.413착카렌짱
6.17하코다테하코다테 스프린트 스테이크스GIII잔디 1200m1.312착드림 발렌티노
9.9한신센토어 스테이크스GII잔디 1200m2.212착이와타 야스나리에피세 아롬
.9.30나카야마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GI잔디 1200m4.421착[레코드](카렌짱)
12.9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샤틴홍콩 스프린트G1잔디 1200m4.131착(세리즈 체리)
2013년 (5세)
2.24한신한큐배GIII잔디 1400m1.611착이와타 야스나리(마진 프로스퍼)
3.24주쿄타카마츠노미야 기념GI잔디 1200m1.311착[레코드](드림 발렌티노)
6.2도쿄야스다 기념GI잔디 1600m4.011착(쇼난 마이티)
9.8한신센토어 스테이크스GII잔디 1200m1.412착하쿠산 문
9.29나카야마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GI잔디 1200m1.311착(하쿠산 문)
12.8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샤틴홍콩 스프린트G1잔디 1200m1.811착(솔 파워)[13]
[출처] #[8] 로드 카날로아는 4살이던 2012년에 첫 G1을 땄으며, 그 후 G1 6승을 달성했다.[9] 대표적으로 아몬드 아이와 판탈라사, 그리고 퍼스트 포스, 아몬드 아이의 경우는 말할 것도 없고, 판탈라사는 5살이던 2022년과 6살인 2023년에 두바이 터프와 사우디컵을 우승해, 단번에 JRA 역대 수득 상금 랭킹 3위에 올랐으며, 퍼스트 포스는 5살이던 2021년 CBC상을 우승하고, 그 후 부진하다가, 2023년 타카마츠노미야 기념에서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우승을 차지했다.[10] 결국 중상 0승의 커리어로 은퇴했다.[11] 같은 08년생 현창마인 오르페브르가 생존 중이지만 로드 카날로아는 3월생, 오르페브르는 5월생으로 생일이 2개월 빠르다.[12] 타이키 셔틀과 로드 카날로아 사이에 존재했다 먼저 사망한 현창마로 엘 콘도르 파사, 티엠 오페라 오, 딥 임팩트, 보드카가 있다.[레코드] A B [13] 영국에서 생산된 아일랜드의 경주마. 2013, 2014 킹스 스탠드 스테이크스를 비롯해 단거리 G1 6승을 이뤘다. 2014년 아일랜드 올해의 말, 동년 카르티에상 최우수 스프린터 수상.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fff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

(GI)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1967
온워드 힐
1968
스즈 하야테 >

1969
타케시바 오
1970
타마미
1971 켄사치 오

1972
노보루 토코

1973
쿄에이 그린

1974 · 1975
사쿠라 이와이

1976
점보 킹

1977 · 1978
메이와 키미코

1979
서니 플라워
1980
사쿠라 갓
1981
사쿠라 신게키 >

1982
브로케이드

1983
신 울프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I 지정 후
1984
해피 프로그레스
1985
마루타카 스톰 >

1986
도칸 테스코
중앙 GII 승격 후
1987
킹 플로릭
1988
다이나 액트리스 >

1989
위닝 스마일
중앙 GI 승격 후
1990
뱀부 메모리
1991
다이이치 루비 >

1992
니시노 플라워

1993 · 1994
사쿠라 바쿠신 오

1995
히시 아케보노

1996
플라워 파크

1997
타이키 셔틀

1998
마이네르 러브

1999
블랙 호크
2000
다이타쿠 야마토
2001
트로트 스타 >

2002
빌리브

2003
듀랜달

2004
칼스톤 라이트 오
국제 GI 승격 후
2005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사일런트 위트니스
2006
파일:호주 국기.svg 테이크오버 타겟 >

2007
애스턴 마짱

2008
슬립리스 나이트

2009
로렐 게레이로
2010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울트라 판타지
2011
카렌짱 >

2012 · 2013
로드 카날로아

2014
스노우 드래곤

2015
스트레이트 걸

2016 · 2017
레드 팔크스

2018
파인 니들

2019
타워 오브 런던
2020
그란 알레그리아
2021
픽시 나이트 >

2022
장다름

2023
마마 코차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타카마츠노미야 기념|{{{#fff 타카마츠노미야 기념

(GI)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







3세 이상, 2000m (연령 표기는 현재 기준)
1971
슌사쿠 오
1972
조세츠 >

1973
타케덴 버드

1974
하이세이코

1975
잇토

1976
후지노 파시아

1977
토쇼 보이

1978
야마닌 고로

1979
네하이 제트
1980
린도 플레번
1981
하기노 탑 레이디 >

1982
카즈시게

1983
하기노 카무이 오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 지정 후
1984
쿄에이 레어
1985
메지로 몽 스니 >

1986
럭비 볼

1987
랜드 히류

1988
오구리 캡

1989
메지로 아르당
1990
뱀부 메모리
1991
다이타쿠 헬리오스 >

1992
미스터 스페인

1993
롱샹 보이

1994
나이스 네이처

1995
마치카네 탄호이저
중앙 GI 승격 후, 1200m
1996
플라워 파크
1997
신코 킹








1998
신코 포레스트
1999
마사 럭키
4세 이상
2000
킹 헤일로
2001
트로트 스타 >

2002
쇼난 캄프

2003
빌리브

2004
서닝데일

2005
어드마이어 맥스

2006
오레와 맛테루제
국제 GI 지정 후
2007
스즈카 피닉스
2008
파인 그레인 >

2009
로렐 게레이로
2010 · 2011
킨샤사노 키세키
2012 카렌짱

2013
로드 카날로아

2014
코파노 리처드

2015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에어로벨로시티

2016
빅 아서

2017
세이운 코세이

2018
파인 니들

2019
미스터 멜로디
2020
모즈 슈퍼플레어
2021
다논 스매시 >

2022
나란 훌레그

2023
퍼스트 포스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야스다 기념|{{{#fff 야스다 기념

(GI)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3세 이상 (연령 표기는 현재 기준)
1951
잇세이
1952 · 1953
스위 수 >

1954
후소

1955
쿠리 치카라

1956
요시후사

1957
헤키라쿠

1958
랩소디

1959
히시 마사루
1960
온워드 벨
1961
호마레보시 >

1962
토콘

1963
야마노 오

1964
시모후사 호마레

1965
파나소닉

1966
히시 마사히데

1967
뷔이송

1968
셰스키

1969
하드 웨이
1970
메지로 아사마
1971
하버 게임 >

1972
라팔

1973
하쿠 호쇼

1974
쿄에이 그린

1975
사쿠라 이와이

1976
니시키 에이스

1977
스쿼시 솔론

1978
닛포 킹

1979
로열 신잔
1980
블루 알레츠
1981
타케덴 >

1982
스위트 네이티브

1983
키요 히다카
4세 이상, 중앙 GI 지정 후
1984
해피 프로그레스
1985
니혼 필로 위너 >

1986
갤럽 다이나

1987
프레시 보이스

1988
닛포 테이오

1989
뱀부 메모리
1990
오구리 캡
1991
다이이치 루비 >

1992 · 1993
야마닌 제퍼

1994
노스 플라이트

1995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하트 레이크
3세 이상
1996
트로트 썬더
1997
타이키 블리자드 >

1998
타이키 셔틀

1999
에어 지하드
2000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페어리 킹 프론
2001
블랙 호크 >

2002
어드마이어 코진

2003
아그네스 디지털
국제 GI 승격 후
2004
츠루마루 보이
2005
아사쿠사 덴엔 >

2006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불리시 럭

2007
다이와 메이저

2008 · 2009
보드카
2010
쇼와 모던
2011
리얼 임팩트 >

2012
스트롱 리턴

2013
로드 카날로아

2014
저스터웨이

2015
모리스

2016
로고타입

2017
사토노 알라딘

2018
모즈 애스콧

2019
인디 챔프
2020
그란 알레그리아
2021
다논 킹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background:#268300; font-size: .7em;"
2022 · 2023 송라인

파일:Hong Kong Jockey Club logo.svg '''[[홍콩 스프린트|{{{#fff 홍콩 스프린트

(G1)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fff"
[ 펼치기 · 접기 ]
1999
페어리 킹 프론
국제 G3 승격 후
2000
파일:호주 국기.svg 팰블론
국제 G2 승격 후
2001
파일:호주 국기.svg 팰블론2연패
국제 G1 승격 후
2002
올 스릴스 투
2003 · 2004
사일런트 위트니스 >

2005
내추럴 블리츠

2006
앱솔루트 챔피언

2007
세이크리드 킹덤

2008
인스파이어레이션

2009
세이크리드 킹덤
201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제이 제이 더 제트 플레인
2011
럭키 나인 >

2012 · 2013
파일:일본 국기.svg 로드 카날로아

2014
에어로벨로시티

2015
피니어포비아

2016
에어로벨로시티

2017 · 2018
미스터 스터닝

2019
비트 더 클락
2020
파일:일본 국기.svg 다논 스매시
2021
스카이 필드 >

2022
웰링턴

2023
럭키 스와이니스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케이한배|{{{#fff 케이한배

(GIII)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1956
미나토 류
1957
넘버 이치반 >

1958
탓테루

1959
와카노 킹
1960
야마닌 모어
1961
메이든스 레이디 >

1962
타카시게

1963
코라이 오

1964
야마닌 루비

1965
야마히로

1966
밸리모스 니세이

1967
네이티브 러너

1968
히로 다이코쿠

1969
쿠리카시와
1970
세븐 오
1971
타이 세프트 >

1972
롱 원

1973
시바타케

1974
이스트 리버

1975
에리모 칸세이

1976
코이치 사부로

1977
실버 랜드

1978
마치카네 타이테이

1979
타마모 리맨드
1980
타니노 테스코
1981 · 1982
노트 다이버 >

1983
에리모 로라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I 지정 후
1984
카츠라기 에이스
1985
마루부츠 서펜 >

1986
싱글 로망

1987
마루카 세이코

1988
토쇼 레오

1989
니혼 필로 브레이브
1990
롱 무테키
1991
이쿠노 딕터스 >

1992
미스터 스페인

1993
롱샹 보이

1994
네하이 시저

1995
단츠 시애틀

1996
댄스 파트너

1997
에리모 댄디

1998
브라보 그린

1999
로사도
2000
조텐 브레이브
2001
텐잔 세이자 >

2002
사이드와인더

2003
치어즈 브라이틀리

2004
다이와 엘 시엘로

2005
컴퍼니

2006
앰버잭
국제 G3 지정 후
2007
산 아듀
2008
웨스턴 댄서 >

2009
프리미엄 박스
2010
스프링 송
2011 로드 카날로아

2012
하쿠산 문

2013
어스 소닉

2014
암 발 블라이벤

2015
사토노 루팡

2016 · 2017
네로

2018
다논 스매시

2019
라이트 온 큐
2020
피아노 로마노
2021
에이틴 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background:#268300; font-size: .7em;"
2022 토신 마카오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실크로드 스테이크스|{{{#fff 실크로드 스테이크스

(GIII)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중앙 GIII 중상으로 창설
1996
플라워 파크
1997
에이신 베를린 >

1998
시킹 더 펄

1999
마이네르 러브
2000
브로드 어필
2001
트로트 스타 >

2002
게일리 플래시

2003
티엠 선데이

2004
킨랜드 스완

2005
프레셔스 카페

2006
타마모 핫플레이
국제 G3 지정 후
2007
엠 오 위너
2008
파인 그레인 >

2009
어번 스트리트
2010
얼티마 툴레
2011 조 카푸치노

2012
로드 카날로아

2013
드림 발렌티노

2014
스트레이트 걸

2015
암 발 블라이벤

2016 · 2017
댄스 디렉터

2018
파인 니들

2019
다논 스매시
2020
어 윌 어 웨이
2021
시바지 >

2022
메이케이 옐

2023
나무라 클레어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한큐배|{{{#fff 한큐배

(GIII)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1957
타카쿠라 오
1958
야마닌 >

1959
호마레 류
1960
민슈
1961 카이사르

1962
미스 케이코

1963
고카이

1964
패스포트

1965
밸리모스 니세이

1966
하츠라이 오

1967
니혼 필로 에이스

1968
아포 온워드

1969
타카노 키넨
1970
히로즈키
1971
토메이 >

1972
패스트 뱀부

1973
사카에카호

1974
케이류 신게키

1975
실버 네로

1976
야마닌 파버

1977
센터 굿

1978
쓰리 파이어

1979
리드 스왈로
1980
테루노 에이트
1981
사츠키 레인보우 >

1982
뱀브턴 할리

1983
해피 프로그레스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I 지정 후
1984
구아슈 아웃
1985
샤다이 소피아 >

1986
롱 하야부사

1987
세인트 카이사르

1988
산킨 하야테

1989
호리노 라이덴
1990
센료 야쿠샤
1991
조 로어링 >

1992
호쿠세이 시불렛

1993
레거시 필드

1994
골드 마운틴

1995
바디가드

1996
토와 위너

1997
신코 포레스트

1998
마사 럭키

1999
쿄에이 마치
2000
블랙 호크
2001
다이타쿠 야마토 >

2002
어드마이어 코진

2003
쇼난 캄프

2004
서닝데일

2005
킨랜드 스완

2006
블루 샷건
국제 GIII 지정 후
2007
프리사이스 머신 · 에이신 도버
2008
로렐 게레이로 >

2009
비비 굴단
2010
에이신 포워드
2011 산 카를로

2012
마진 프로스퍼

2013
로드 카날로아

2014
코파노 리처드

2015
다이와 마조레

2016
미키 아일

2017
토킹 드럼

2018
다이애나 헤일로

2019
스마트 오딘
2020
베스트 액터
2021
레시스텐시아 >

2022
다이어토닉

2023
아구리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아오이 스테이크스|{{{#fff 아오이 스테이크스

(OP)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
아오이상
오픈 승격 후
1985
롱 퀵
1986
리드 트리플 >

1987
마루부츠 론리

1988
그레이트 몬테
아오이 스테이
크스
1989
오사이치 조지
1990
다이타쿠 헬리오스
1991
텐잔 하고로모 >

1992
엘리자베스 로즈

1993
후지 원 맨 크로스

1994
마루카 오칸

1995
이사미 사쿠라

1996
더 골드

1997
스타 프로그래머

1998
메이쇼 아야메

1999
쿨 네주
2000
브레이크타임
2001
칼스톤 라이트 오 >

2002
단츠 저지

2003
몽파르나스

2004
마이네르 제스트

2005
심볼리 그랑

2006
윈 레전드

2007
카노야 자쿠라

2008
밀리언 웨이브

2009
에이신 타이거
2010
케이아이 데이지
2011
로드 카날로아 >

2012
마코토 나와라타나

2013
티하프

2014
리얼 비너스

2015
저스트 두잉

2016
낙 비너스

2017
아린나
중상 승격 후
2018
골드 퀸
2019
디언들 >

2020
비앙페

2021
레이 할리아
국제 G3 지정 후
2022
윈 마블
2023
모즈 메이메이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카렌짱 문서의 r2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카렌짱 문서의 r2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위닝 포스트/경주마 소개 문서의 r30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위닝 포스트/경주마 소개 문서의 r30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18:12:42에 나무위키 로드 카날로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