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성씨) (r1판)

편집일시 :


한국의 성씨
[ 펼치기 · 접기 ]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1. 개요
2. 유래
3. 본관
3.1. 경주 배씨[1]
3.3. 분성 (김해)
3.4. 달성 (대구)[2]
3.5. 흥해 배씨[3]
3.6. 곤산 (곤양)
3.7. 협계 배씨
3.8. 그 외
4. 배(裵)씨 인물 일람
4.1. 시조와 중시조
4.2. 역사인물
4.3. 실존 인물
4.4. 배씨 성(姓)가명(예명)으로 하는 유명인
4.5. 가상 인물
5. 외국의 배씨
6. 기타



1. 개요[편집]


우리나라 배(裵)씨는 문헌에 총 59본관[4]이 있으며, 성씨 인구순위는 26위로 2015년 기준 400,641명이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배씨 대종회 기록에 의하면 배씨의 뿌리는 2천여 년 전 신라 건국 초기의 시대로 올라간다. 배씨는 한국의 대표 성씨로 일찍이 삼한갑족(三韓甲族)으로 일컬어졌다. 고을 이름 비(非) 인명용 중국한자는 裴로 쓴다. 설문해자는 배(裵)는 긴 옷을 입은 모습이다. 의(衣)로 구성되고 비(非→배)가 소리라고 한다.

2. 유래[편집]


시조는 신라 초의 6부 촌장 중의 한 분인 금산가리촌(金山加利村)의 촌장 지타(祗沱)[5]이다. 삼국사기에는 배씨 득성조(得姓祖)인 지타에 관련된 기록이 전하지만, 지타 이후 기록이 실전되어, 고려 개국공신 배현경(裵玄慶)을 중시조로 받들고 있다. 배현경의 현손인 가락군(駕洛君) 배사혁(裵斯革)에게 네 아들이 있었는데, 첫째 배원룡(裵元龍)은 분성 배씨(盆城裵氏)[6], 둘째 배천룡(裵天龍)은 성산 배씨(星山裵氏)[7], 셋째 배운룡(裵雲龍)은 달성 배씨(達城裵氏)[8], 넷째 배오룡(裵五龍)은 흥해 배씨(興海裵氏)로 각각 분적하였고, 달성 배씨에서 곤산 배씨(昆山裵氏)[9]가, 흥해 배씨에서 협계 배씨(俠溪裵氏)가 분적한 것으로 문헌에 나타나 있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시조 지타(祗沱)는 신라 6부 중 하나인 금산가리촌(金山加利村)의 촌장으로서 6부의 촌장들과 함께 혁거세를 추대한 신라 개국 원훈이다. 서기 32년 신라 유리왕은 금산가리촌(金山加利村) 가리부(加利部)를 한지부(漢祗部)로 고치고 배(裵)씨 성을 사성하였다.후손인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 개국무열공(開國武烈公) 배현경(裵玄慶)고려 개국공신으로서 왕건(王建)을 추대하여 궁예를 몰아내고 고려를 세우게 하였다. 태조(고려) 왕건 즉위 후 1등공신이 되었고, 태조를 도와 후삼국 통일에 많은 활약을 하였다.배현경(裵玄慶)의 처음 이름은 백옥(白玉) 또는 백옥삼(白玉衫)으로 성씨가 없었으나, 고려 태조 왕건에게 배(裵)씨 성을 사성받았다.성산백(星山伯) 정절공(貞節公) 배극렴(裴克廉)공양왕[10]폐하고 이성계를 추대하여 조선(朝鮮)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1392년 이성계의 혁명을 도와 개국공신 1등에 오르고 조선 최초의 영의정이 되었다.이처럼 배씨는 신라, 고려, 조선으로 이어지는 왕조의 시작 때마다 개국 공신을 내어 가문의 번영을 이룬 특색이 있다.

3. 본관[편집]


[ 펼치기 · 접기 ]
사로 6촌신라 6부성씨시조
알천 양산촌급량부이씨알평
돌산 고허촌사량부최씨소벌도리
취산 진지촌본피부정씨지백호
무산 대수촌점량부손씨구례마
금산 가리촌한기부배씨지타
명활산 고야촌습비부설씨호진
삼국사기 기준.# 삼국유사에서는 돌산 고허촌(사량부) 소벌도리를 정씨로 취산 진지촌(본피부) 지백호를 최씨로 기록했다. 또한 6촌의 순서도 셋째가 무산 대수촌(점량부), 넷째가 취산 진지촌(본피부)이라고 기록했다.#




신라 6성
慶州 裵氏 (月城 裵氏)>
경주 배씨 (월성 배씨)
관향경상북도 경주시성주군
비조지타(祗陀)
도시조배현경(裴玄慶)
중시조배원룡(裵元龍)
배천룡(裵天龍)
배운룡(裵雲龍)
배오룡(裵五龍)
배맹달(裵孟達)
주요 본관경주 배씨
분성 배씨(김해 배씨)
성산 배씨(성주 배씨)
달성 배씨(대구 배씨)
흥해 배씨
곤산 배씨(곤양 배씨)
협계 배씨
인구400,641명(2015년)

1. 개요
2. 유래
3. 본관
3.1. 경주 배씨[11]
3.3. 분성 (김해)
3.4. 달성 (대구)[12]
3.5. 흥해 배씨[13]
3.6. 곤산 (곤양)
3.7. 협계 배씨
3.8. 그 외
4. 배(裵)씨 인물 일람
4.1. 시조와 중시조
4.2. 역사인물
4.3. 실존 인물
4.4. 배씨 성(姓)가명(예명)으로 하는 유명인
4.5. 가상 인물
5. 외국의 배씨
6. 기타





3.1. 경주 배씨[14] [편집]


집성촌경기도 성남시
경기도 평택시
경기도 안성시
인천광역시 강화군
경상북도 경주시
서울특별시
강원도 원주시
시조배현경(裵玄慶)
인구수12,118명
계파처사공파(處士公派)
성산 복야공파(星山 僕射公派)
화순 진사공파(和順 進士公派)
함흥 교서공파(咸興 校書公派)
협계 합문사인공파(俠溪 閤門舍人公派)
남해 감사공파(南海 監司公派)[15]
역사인물배충과(의서습독관)
배련(화원)[16]
배유화 (의금부 도사)[17]
배소흥(사헌부 지평)
배구운(사헌부 감찰)

경주배씨 항렬표[18]

行列字行列字行列字
15찬(燦)종(種)16기(基)식(埴)17호(鎬)경(鏡)
18수(洙)19상(相)20희(熙)
21재(在)22종(鐘)23한(漢)
24병(柄)25현(炫)26

무과급제자성명성명
배경도(裵景度)배곤(裵袞)배룡(裵龍)
배명후(裵命厚)배산복(裵山福)배업룡(裵業龍)
배천남(裵天男)배필창(裵必昌)배한흥(裵漢興)
배험련(裵險連)배홍엽(裵弘燁)배홍적(裵弘迪)

3.2. 성산 (성주)[편집]


집성촌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도남동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송촌리
경상북도 금릉군 조마면 신안동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쌍계동
경상북도 고령군 덕곡면 본리동
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둔마리
전라북도 김제시 백구면 마산리
강원도 철원군 원남면 죽대리
함경남도 영흥군 억기면 양중리, 향하리
시조배위준(裵位俊)[19]
인구수148,672명
계파화당공파(花堂公派)
안렴공파(按廉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
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
달성파(達城派)
재신공파(宰臣公派)
역사인물배인경(추밀원사)
배극렴(문하좌시중)
배천의(사천현감)
배경성(통훈대부)
배윤저(통정대부)
배덕형(동몽교관)
배성호(통정대부)

성주배씨 항렬표[20]

行列字行列字行列字
26동(東)상(相)병(秉)락(樂)27환(煥)휴(烋)찬(燦)희(熙)28효(孝)중(重)경(坰)재(在)
29호(鎬)흠(欽)종(鍾)탁(鐸)30태(泰)영(泳)한(漢)호(浩)31식(植)근(根)주(柱)표(杓)
32노(魯)용(容)연(然)병(炳)33곤(坤)규(圭)달(達)기(基)34현(鉉)용(鏞)용(鎔)진(鎭)
35원(源)해(海)담(湛)경(逕)36영(榮)정(禎)병(柄)종(棕)37현(炫)훈(熏)렬(烈)황(煌)
38규(奎)장(墇)치(埴)재(載)39석(錫)주(鑄)옥(鈺)현(鋧)40수(洙)기(淇)윤(潤)락(洛)
41환(桓)락(極)근(槿)권(權)42희(熹)돈(焞)영(煐)형(炯)43원(垣)훈(塤)준(埈)증(增)

문과급제자성명성명
배윤(裵閏)배추(裵樞)배한(裵瀚)
배덕문(裵德文)배응경(裵應褧)배상익(裵尙益)
배정휘(裵正徽)배무화(裵舞和)배윤명(裵胤命)
배한(裵閑)배헌장(裵憲璋)

3.3. 분성 (김해)[편집]


집성촌경상남도 산청군 생초면 평촌리
경상남도 산청군 생초면 상촌리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부윤리
경상남도 합천군 야로면 정태리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쌍계리
창원시 웅동면 두동리
경상남도 하동군 북천면 옥정리
경상남도 합천군 야로면 정대리
경상북도 경산시 남산면 경리
경상북도 포항시 기계면 오덕리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선창리
시조배원룡(裵元龍)[21]
인구수101,649명
계파귀연공정배파(龜淵公廷裵派)
진사공정미파(進士公廷亹派)
진사공정현파(進士公廷顯派)
목사공수파(牧使公守派)
역사인물배원룡(고려, 분성군파 파조)
배종주(고려 전리판서)
배 단(고려, 평장사)
배공보(고려, 판도사사상호군)
배광우(조선, 좌승지)
배맹후(조선, 이조참의)
배득신(조선, 공조참판)
배동도(조선, 좌승지)
배문보(고성군수)
배경남(좌별도장)

분성배씨 항렬표[22]

行列字行列字行列字
24종,용(鍾,鏞)25한,순(漢,淳)26병,병​​(柄,秉)
27열,환(烈,煥)28재,규(在,圭)29용,호(鎔,鎬)
30홍,문(洪,汶)31표,근(杓,根)32병,형(炳,炯)
33배,곤(培,坤)34은,진(銀,鎭)35낙,우(洛,雨)
36상,낙(相,樂)37훈,섭(薰,燮)

3.4. 달성 (대구)[23][편집]


집성촌대구광역시 북구 읍내동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영오리
전라북도 순창군 유등면 외이리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광승리
전라남도 무안군 청계면 청천리
전라남도 무안군 청계면 태봉리 청천리
전라남도 광산군 동곡면 황용리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구산리
시조배운룡(裵雲龍)
인구수61,104명
역사인물배정지(고려 밀직부사)
배천경(고려 동경윤)
배익신(청송 부사)
배윤박(수계가선대부)
배세관(행금천찰방)
배광집(군자감정)
배광윤(가선대부)

달성배씨 항렬표[24]

行列字行列字行列字
30漢(한),潤(윤),淇(기)31植(식),模(모),權(권)32煥(환),炳(병),啓(계)
33斗(두),奎(규),星(성)34錫(석),鎭(진),鍾(종)35洙(수),​泰(태),淳(순)
36東(동),相(상),秉(병)37烈(렬),黙(묵),熙(희)38世(세),時(시),達(달)
39鉉(현),鏞(용),鎬(호)40泳(영),濟(제),彦(언)41秀(수),祐(우),綵(채)
42昌(창),日(일),冕(면)43箕(기),表(표),赫(혁)44璋(장),錦(금),琦(기)
45海(해),浩(호),鴻(홍)46炳(병),桂(계),根(근)47燁(엽),燮(섭),謙(겸)
48聖(성),在(재),基(기)49欽(흠),鐸(탁),銓(전)50源(원),洪(홍),洛(락)

3.5. 흥해 배씨[25] [편집]


집성촌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인면 삼분리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매곡동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석평리
황해도 은율군 장연면 율리
황해도 신천군 문무면 추릉리
황해도 재령군 삼강면 청룡리
시조배경분(裵景分)
인구수34,259명
역사인물배상도(보문각직제학)
배둔(황해도 관찰사)
배효숭(여흥 부사)
배효건(옥과 현감)
배천석(충좌위부사과)
배삼익(황해도 관찰사)
배삼근(정릉 참봉)
배상지(판사복시사)
배광우(위위승 동정)
배약경(위위승 동정)
배유손(보승 별장)
배영지(밀직사사)
배전(군부판서)[26]
배권(형조 좌랑)
배환(병조 참의)
배남(사헌부 감찰)
배용길(충청도 도사)[27].
배경(호조 좌랑)
흥해배씨 항렬표[28]

行列字行列字行列字
25연(淵)영(泳)26근(根)직(稷)동(東)영(榮)병(秉)27환(煥)희(熙)섭(燮)열(烈)
28재(在)기(基)29일(鎰)종(鍾)30수(洙)
31모(模)주(柱)32노(魯)문(文)훈(薰)렬(烈)

과거급제자성명성명
과거 급제자배용길(裵龍吉)배상규(裵相奎)
배 남(裵 楠)배 소(裵 素)배효숭(裵孝崇)
배상현(裵象鉉)배윤명(裵胤命 )배 둔(裵 屯)
배덕문(裵德文)배 강(배 강)


3.6. 곤산 (곤양)[편집]


집성촌경상북도 칠곡군
경상남도 사천군
시조배맹달
인구수9102명
역사인물배맹달(병조판서)
배숙흥(진주병마 절도사)
배사종(양지현감)
배치례(병조참판)
배인길(첨사)
배영균(용양위 부호군)
배영성(병마동첨절제사)
배은성(병조정랑)

3.7. 협계 배씨[편집]


집성촌황해북도(黃海北道) 신계군(新溪郡)
시조배진(裵縉)
인구수65명
역사인물배경성(裵景誠)
배충우(裵忠佑)


3.8. 그 외[편집]



  • 선산 배씨 - 인구4278명
  • 나주 배씨 - 인구3789명, 주요인물-배의곤(裵義坤)
  • 상주 배씨 - 인구2933명
  • 수원 배씨 - 인구2555명
  • 개성 배씨 - 인구2244명, 주요인물-배찬옥(裵贊玉)
  • 밀양 배씨 - 인구2216명
  • 풍성 배씨 - 인구1885명
  • 고령 배씨 - 인구1742명, 주요인물- 배정휘
  • 청주 배씨 - 인구1443명
  • 경남 배씨 - 인구1342명
  • 금성 배씨 - 인구1146명
  • 안동 배씨 - 인구1018명, 주요인물-배신룡(裵信龍)
  • 함흥 배씨 - 인구271명, 배덕수(裵德秀)조선 중기 교서관
  • 화순 배씨 - 인구234명, 배련(裵練)고려시대 국자감진사


4. 배(裵)씨 인물 일람[편집]



4.1. 시조와 중시조[편집]


[ 펼치기 · 접기 ]
사로 6촌신라 6부성씨시조
알천 양산촌급량부이씨알평
돌산 고허촌사량부최씨소벌도리
취산 진지촌본피부정씨지백호
무산 대수촌점량부손씨구례마
금산 가리촌한기부배씨지타
명활산 고야촌습비부설씨호진
삼국사기 기준.# 삼국유사에서는 돌산 고허촌(사량부) 소벌도리를 정씨로 취산 진지촌(본피부) 지백호를 최씨로 기록했다. 또한 6촌의 순서도 셋째가 무산 대수촌(점량부), 넷째가 취산 진지촌(본피부)이라고 기록했다.#




*배지타 - 배씨의 시조, 신라 개국공신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고려 삼한공신
[ 펼치기 · 접기 ]
개국공신
1등
홍유배현경신숭겸복지겸
2등
견권능식권신염상
김락연주마난
3등
2천여 명(사서에 전하지 않음)
삼한공신
유금필 · 박술희 · 최지몽 · 왕식렴 · 박양유 · 김견술 · 서필
이상 배향공신#고려

강공훤 · 강궁진 · 권행 · 금용식 · 김극렴 · 김선평 · 김유렴 · 김인윤 · 김일긍 · 나총례 · 류차달 · 박지윤 · 소격달 · 왕경 · 염형명 · 원극유 · 윤신달 · 이금서 · 이능일 · 장정필 · 최정헌 · 허선명
그 외 다수

*배현경 - 배씨의 중시조, 고려 개국공신


4.2. 역사인물[편집]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개국공신
[ 펼치기 · 접기 ]
1392년 8월 20일 태조에 의해 책록
좌명개국공신 (1등)
김사형남 은1,2남 재배극렴
오몽을1이 제1, 2이지란이 화
장사길정도전1, 3정 총정 탁
정희계조 박4조인옥조 준
김인찬5이방간6, 7이방원6이방의6
협찬개국공신 (2등)
박 포8유 창윤 호이민도
장 담9정용수10조 기조 반
조영규조 온홍길민조 견11
황희석12
익대개국공신 (3등)
고 여김 균김 로손흥종13
심효생1안경공오사충유원정
이 근1이백유이 부이 서
이 직14장지화1함부림황거정13
민여익11임언충11장사정11, 15조영무11
한상경11한 충11
1 1409년 1차 왕자의 난으로 인한 제명
2 1421년 태종 때 복권
3 1865년 고종 때 복권
4 1409년 친척의 아들을 정종의 아들로 속인 혐의로 인한 제명
5 1392년 9월 16일 태조에 의해 책록
6 1398년 2월 15일 정종에 의해 책록
7 1416년 2차 왕자의 난으로 인한 제명
8 1400년 2차 왕자의 난으로 인한 제명
9 1422년 2차 왕자의 난으로 인한 제명
10 1418년 조사의의 난으로 인한 제명, 1437년 세종 때 복권
11 1392년 9월 27일 태조에 의해 책록
12 1392년 11월 19일 태조에 의해 책록
13 1411년 이숭인, 이종학을 죽인 혐의로 인한 제명
14 1415년 민무회, 민무휼의 옥으로 인한 제명, 1422년 세종 때 복권
15 1417년 회안군의 첩과 간통한 혐의로 인한 제명


*배극렴 - 고려 문하시중, 조선 개국공신, 조선 문하좌시중[29]

4.3. 실존 인물[편집]


* 배국환 - 前 기획재정부 차관 * 배기선 - 국회의원 * 배기운 - 제16·19대 국회의원 * 배기원 - 前 대법관 * 배덕광 - 제19·20대 국회의원 * 배명국 - 제11·12·14대 국회의원 * 배명인 - 前 국가안전기획부장, 前 법무부장관 * 배성동 - 제11·12대 국회의원 * 배성범 - 前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장 * 배순훈 - 前 정보통신부장관 * 배영식 - 제18대 국회의원 * 배영호 - 前 법무부장관, 前 국회사무총장 * 배정현 - 前 대법관, 前 대법원장 권한대행 * 배종무 - 제15대 국회의원 * 배준영 - 제21대 국회의원 * 배진교 - 제21대 국회의원 * 배재정 - 제19대 국회의원 * 배현진 - 제21대 국회의원, 前 아나운서 * 배덕진 - 前 체신부장관 * 배상욱 - 前 체신부장관 * 배의환 - 前 한국은행 총재 * 배수곤 - 前 금융감독원장 * 배문환 - 前 육군 수도군단장 * 배상면 - 국순당 창업주 * 배창수 - SECO 창업주 * 배종렬 - 한양그룹 창업주 * 배정일 - 남광토건 창업주 * 배상명 - 교육인, 상명대학교 설립자

역사인물공직자인물(직업)
배중손 - 고려 무신배규한 - 정치인배종찬 - 인사이트케이 연구소장
배상갑 - 독립운동가배은희 - 국회의원배준오 - 기업인
배학보 - 독립유공자배용주 - 前 경찰공무원배흥준 - 기업인
배정자 - 친일반민족행위자배헌 - 제헌 국회의원배상현 - 기업인
배국태 - 대한제국 한성부판윤배성례 - 대통령 비서실 홍보수석배상민 - 기업인, 롯데지주 사장
배설 - 조선 무신배상갑 - 제7·8대 부산광역시장배기식 - 기업인
배중세 - 독립유공자배현국 - 군인배종한- 기업인, 이담엔터테인먼트 대표
배치문 - 독립유공자배석홍 - 前 소방공무원배조웅 - 기업인, 국민레미콘 대표
배달근 - 대한제국 관료배중혁 - 제헌 국회의원배재훈 - 기업인, 前HMM 대표
배흥립 - 조선 무신배기동 - 국립중앙 박물관장배보찬 - 기업인
배성룡 - 독립운동가배덕곤 - 前 소방공무원배두용 - 기업인, LG전자 대표
배민수 - 삼애농업기술학원 설립자배한철 - 정치인배호열 - 기업인
배부 - 신라 상대등배태수 - 前 부산교통공사사장배정현 - 기업인
배길도 - 제6·7대 국회의원배상윤 - KH그룹
배철현 - 고전문학 학자
배종호 - 정치인
배종범 - 정치인
배은희 - 제2대 국회의원
배길랑 - 국회의원
배일도 - 국회의원
배관구 - 정치인
배혁 - 공직자

인물(직업)스포츠인아나운서
배그린 - 배우배정대 - kt wiz 외야수배기완 - 아나운서
배윤정 - 안무가배혜윤 - 농구선수배재학 - 기자, 앵커
배순탁 - 방송인배민서 - NC 다이노스 투수배지현 - 아나운서
배호근 - 배우배영수 - 롯데 자이언츠 1군 투수코치배성재 - 아나운서
배동성 - 코미디언배성근 - 前 롯데 자이언츠 내야수, 투수배창복 - 아나운서
배수영 - 설치미술가배영섭 - 삼성 라이온즈 1군 타격보조코치배수연 - 기상캐스터
배준서 - 태권도 선수배혜지 - 기상캐스터
배지환 - 피츠버그 파이리츠 내야수, 외야수배소빈 - 기상캐스터
배유나 - 배구선수배수경 - 아나운서
배병두 - KBO 리그 심판위원배수빈[30] - 강원MBC 아나운서
배준호 - 축구선수

배우아이돌가수/뮤지컬
배인혁 - 배우배인순 - 펄 시스터즈의 멤버배성우 - 방송인, 예명 탁재훈
배유람 - 배우배진영 - 보이그룹 CIX의 멤버배유빈 - 가수, 예명 은이
배윤경 - 배우배주현 - 걸그룹 Red Velvet의 멤버, 예명 아이린배이삭 - 래퍼, 이루펀트 멤버, 예명 키비 (Kebee)
배용준 - 배우배수민 - 걸그룹 STAYC의 멤버배유미 - 밀크의 前 멤버, 가수 뮤지컬 배우
배수빈 - 1994년생 배우, 예명 채수빈배진솔 - 걸그룹 NMIXX의 멤버. 예명 배이배철수 - 가수, 방송인
배정남 - 모델 겸 배우배준영 - 보이그룹 더보이즈의 멤버, 예명 제이콥배수정 - 가수
배두나 - 배우배진예 - 걸그룹 라붐의 멤버배진영 - (펀치)가수
배정화 - 배우배제욱 - 보이그룹 비아이지의 멤버. 예명 벤지배승길 - 뮤지컬 배우
배현성 - 배우배유빈 - 걸그룹 오마이걸의 멤버배소연 - 가수
배해선 - 배우배승민 - 보이그룹 골든차일드의 멤버배호 - 가수
배종옥 - 배우배우희 - 배우, 걸그룹 달샤벳의 前멤버배다해 - 가수
배누리 - 배우배성연 - 걸그룹 프리스틴의 前 멤버배기성 - 그룹 의 멤버
배유리 - 배우배현준 - 보이그룹 ATBO의 멤버배나라 - 뮤지컬 배우
배성우 - 배우배현영 - 걸그룹 퀸즈아이의 멤버. 예명 해나
배수지 - 배우, 걸그룹 미쓰에이의 前 멤버배호영 - 보이그룹 VERIVERY의 멤버
배다빈 - 배우
배용수 - 1941년생 배우

성우희극인프로게이머
배한성 - 성우배일집 - 희극인배정민 - 프로게이머
배정미 - 성우배정근 - 희극인배지훈 - 프로게이머
배진홍 - 성우배영만 - 희극인배준식 - 프로게이머
배영규 - 성우배삼룡 - 희극인배재민 - 프로게이머, 예명 Knee
배성빈 - 프로게이머
배성웅 - 프로게이머, 예명 The Jungle
배민성 - 프로게이머


프로듀서/작가영화인교육인
배경수-책임프로듀서배창호 - 영화감독배기범 - 인터넷 강사
배세영- 작가배종대 - 영화감독배지희 - 인터넷 강사
배유미 - 드라마 작가배영한 - 영화감독배성민 - 인터넷 강사
배진렬 - 프로듀서배장윤 - 인터넷 강사
배숙현 - 프로듀서


인물/직업인물/직업인물(직업)
배준걸 - 만화가* 배한준 - 래퍼, 소울다이브 멤버* 배현호 - 야구선수
* 배수현 - 치어리더배승희 - 법조인* 배은지 - 기업인
* 배재환 - NC 다이노스 소속 야구선수배한진 - 법조인배기선 - 정치인
배슬기 - 방송인* 배승후 - 배틀그라운드 감독* 배경민 - 배우
* 배명인 - 33대 법무부 장관* 배명국 - 국회의원* 배종대 - 고려대학교 교수
배진교 - 국회의원배현준 - 배우* 배홍석 - 배우
* 배정대 - 야구선수배영선 - 배우, 예명 배소빈[31]배기종 - 축구선수
* 배영수 - 前 야구선수, 현 두산베어스 불펜 투수코치배정대 - 야구선수* 배제성 - 야구선수
* 배성서 - 前 야구감독* 배요한- 야구선수* 배지현 - MBC스포츠 플러스 아나운서
* 배수경 - 배우* 배효성 - 축구선수* 배건우 - 유튜버
* 배금택 - 만화가배성종- 배우* 배해민 - 축구선수
* 배수연 - 시인배민정 - 배우배대열 - 프로게이머
*배주영 - 디자이너* 배소현 - 골프선수* 배성범 - 前  법무연수원장
* 배민희 - 배우* 배명훈 - 소설가* 배수아 - 문학가
배성빈 - 프로게이머* 배중식 - 배우* 배한봉 - 작가
* 배소민 - 가수 상상밴드의 멤버* 배윤규 - 배우* 배해진 - 모델
* 배하연 - 기업인* 배은주 - 가수* 배혜진 - 배우
* 배천석 - 축구선수* 배명직 - 명장,기업인* 배소은 - 배우
* 배길태 - 농구선수* 배은영 - 배우* 배주영 - 성우
* 배윤영 - 모델* 배효원- 배우* 배준성 - 프로게이머
* 배영빈 - 야구선수* 배진수 - 웹툰작가* 배강욱 - 기업인
* 배수연 - 프로듀스 48 출연자* 배호영 - 프로게이머* 배강률 - 농구선수
* 배강희 - 배우* 배장호 - 야구 선수* 배재경 - 양궁선수
* 배세현 - 축구선수* 배창현 - 야구* 배상호 - 야구선수
* 배제욱 - 가수* 배민서 - 농구선수* 배태형 - 프로게이머
* 배지혁 - 프로게이머* 배준영 - 국회의원* 배영빈 - 야구 선수
* 배국환 - 前  기획재정부 제2차관* 배두훈 - 뮤지컬 배우* 배정아 - 배우
* 배하은 - 가수* 배하경 - 성우* 배한솔 - 배우
* 배성근 - 야구선수* 배희한 - 무형문화재* 배지연 - 가수
* 배연주 - 배드민턴 선수* 배제성 - 야구선수* 배연희 - 가수
* 배선희 - 배우* 배효주 - 뉴스엔 기자


4.4. 배씨 성(姓)가명(예명)으로 하는 유명인[편집]


  • 배설(裵說) - 대한제국 시대 대한매일신보 재한(在韓) 영국 언론인. 영국 성씨 베델(베셀, Bethell)을 음역한 이름.
  • 배수빈 (본명: 윤태욱)
  • 배연정 (본명: 홍애경)
  • 배일호 (본명: 김종원)
  • 배칠수 (본명: 이형민) - 배철수 성대모사로 인방을 할 때 썼던 이름이 그대로 예명이 되었다.
  • 배위량 (본명: 윌리엄 마튼 베어드), 숭실대학교 창립자
  • 배지성 (본명: 조 바이든), 미합중국 제46대 대통령,지구의 별이란 뜻.[32]
  • 배현정 (본명: 마리헬렌 브라쇠르) - 의사


4.5. 가상 인물[편집]



5. 외국의 배씨[편집]


중국은 물론 베트남에도 배씨가 있다. 중국의 배씨(발음 Pei)는 진(秦) 환공[38]의 아들인 후자침(后子鍼)을 시조로 삼으며[39], 중국 중세의 문벌 귀족이었던 성씨[40]로 산시 성(山西省)에 주로 분포한다 .배씨는 중국에서 不또는 非로 달리 표시해서 중국의 배씨와 달리 표시한다. 일본의 배씨는 佛또는 非로 중국 사서에 표시하고 있다. 베트남에서는 Bùi라고 발음하며 베트남 성씨 순위 9위로 전체 인구의 2%를 차지한다.

6. 기타[편집]


오늘날 한국에서는 주로 裵를 쓰지만, 근대 이전, 특히 조선 초기까지는 裴를 썼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오늘날에도 裴를 정자체로 사용한다. 특히 중국에서는 그냥 裴만 쓴다.[41] 중국 유래의 성씨가 아니라고 중국 위키에 따로 명기가 되어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태조 왕건은 고려 개국 후 배현경에게 경주 배씨(慶州 裵氏)를 사성하였고 ,조선 중종에는 배충과에게 경주처사(慶州處士)의 호(號)가 내려졌다.후손들은 경주를 본관으로 하고 있다.[2] 대구광역시 달성(達城)은 현재 대구광역시 일원의 옛 지명으로 삼한시대에는 달구화 또는 달구벌이라 불렀다. 6세기 경에는 신라에 귀속되었다[3] 흥해배씨는 고려조에 검교장군에 오른 배경분(景分)을 일세조로 계대하며, 그의 6세손 전(詮: 전리판서 영지의 아들)이 충혜왕(忠惠王) 때 호군을 거쳐 군부판서로 조적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功)을 세워 일등좌명공신에 책록되고 흥해군에 봉해졌으며 흥해를 본관(本貫)으로 삼게 되었다[4] 화순 배씨(和順裵氏) 시조 배련(裵練) 있으며, 남해 배씨(南海裵氏) 시조 배순(裵循) 등이 있다.[5] 只他라고도 한다.[6] 분성은 현재의 김해 지역이다.[7] 성주 배씨라고도 한다. 성산은 현재의 성주이다.[8] 달성은 현재의 대구이다.[9] 곤산은 현재의 곤양이다.[10] 배상공(裵尙恭)은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벼슬이 공조 전서(工曹典書)에 이르렀는데 이때 이성계(李成桂)가 공양왕(恭讓王)을 폐(廢)하고 왕위(王位)에 오르려 하므로 이를 개탄(慨嘆)하고 물러나 안동(安東)에 내려와서 전원생활을 하였다[11] 태조 왕건은 고려 개국 후 배현경에게 경주 배씨(慶州 裵氏)를 사성하였고 ,조선 중종에는 배충과에게 경주처사(慶州處士)의 호(號)가 내려졌다.후손들은 경주를 본관으로 하고 있다.[12] 대구광역시 달성(達城)은 현재 대구광역시 일원의 옛 지명으로 삼한시대에는 달구화 또는 달구벌이라 불렀다. 6세기 경에는 신라에 귀속되었다[13] 흥해배씨는 고려조에 검교장군에 오른 배경분(景分)을 일세조로 계대하며, 그의 6세손 전(詮: 전리판서 영지의 아들)이 충혜왕(忠惠王) 때 호군을 거쳐 군부판서로 조적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功)을 세워 일등좌명공신에 책록되고 흥해군에 봉해졌으며 흥해를 본관(本貫)으로 삼게 되었다[14] 태조 왕건은 고려 개국 후 배현경에게 경주 배씨(慶州 裵氏)를 사성하였고 ,조선 중종에는 배충과에게 경주처사(慶州處士)의 호(號)가 내려졌다.후손들은 경주를 본관으로 하고 있다.[15] 분성(盆城), 성산성주(星山星州), 달성(達城), 흥해(興海), 곤산(昆山)을 제외한 분파[16] 조선전기 금강산도, 세한삼우도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17] 전라도사 배상익(裵尙益)의 아들이며,조선후기 팔사유고를 저술한 학자[18] 기원전 57년,수도 금성이었고,경주(慶州)는 경상북도 남동부에 위치한 지명[19] 배위준의 현손 배인경이 충선왕때 흥안(성산) 부원군에 봉해졌기에 성주(星州)배씨라 하였다[20] 성산은 성주의 옛지명으로 경상북도남서쪽에 위치한 성주의 옛 지명이다.[21] 배사혁의 첫째 아들로 고려 공민왕때 병부상서를 지냈고 분성군에 봉해졌다. 후손들이 배원룡을 시조로 하고 본관(本貫)을 분성으로 하였다.[22] 분성은 경상남도 김해시 일대의 옛 지명으로 낙동강 하구 남서쪽에 위치하여 가락국의 문화중심지였다.[23] 대구광역시 달성(達城)은 현재 대구광역시 일원의 옛 지명으로 삼한시대에는 달구화 또는 달구벌이라 불렀다. 6세기 경에는 신라에 귀속되었다[24] 달성 배씨의 시조는 배운룡(裵雲龍)이고 시조(始祖) 배현경(裵玄慶)의 손자의 손자 배사혁의 셋째 아들이다.[25] 흥해배씨는 고려조에 검교장군에 오른 배경분(景分)을 일세조로 계대하며, 그의 6세손 전(詮: 전리판서 영지의 아들)이 충혜왕(忠惠王) 때 호군을 거쳐 군부판서로 조적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功)을 세워 일등좌명공신에 책록되고 흥해군에 봉해졌으며 흥해를 본관(本貫)으로 삼게 되었다[26] 궁비(宮婢)의 소생. 충혜왕의 총애로 호군이 되어 기무를 장악했으며 뒤에 군부 판서에 올랐다. 1339년(충숙왕 복위 8) 조적의 난 때 왕을 호종, 그 공으로 1등공신이 되어 흥해군에 봉해졌다.[27] 자는 명서, 호는 금역당, 관찰사 삼익의 아들. 1585년(선조 18) 성균관에 입학,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대장 김해(金垓)의 휘하에서 부장(副將)으로 활약했다[28] 흥해(興海)는 경상북도 포항시 흥해읍 일대의 옛 지명[29] 문하좌시중은 문하좌정승을 거쳐 좌의정으로 변한다. 이런 점에서 태조 때 문화좌시중을 지낸 배극렴은 초대 좌의정이라고 할 수 있다. 영의정은 태종 때에 가서야 생긴다.[30] 한끼줍쇼에 출연한적이 있는 KG그룹의 첫째 며느리로 결혼 이후로는 아나운서를 은퇴하였다.[31] 채영인에서 변경[32] 한미동맹협회가 작명하여 선물한 이름이다.[33] 본명은 하로나다.[34] 배 좌수의 딸이니까 자연스럽게 풀네임은 배장화, 배홍련이 된다[35] 신작에서는 연그린으로 로컬라이징 되었다.[36] 팬들이 지은 성씨[37] 본명을 한국식으로 바꾼 별명이다.[38] 재위 기원전 603~577[39] 환공의 재위 기간으로 미루어 보아 한국보다 약 6세기 가량 앞선다.[40] 하동 배씨(河東裴氏)로 시칭(時稱)되었다[41] 조씨 또한 그렇다. 정자체: 曹(조조, 차오루가 쓰는 글자), 국내용: 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