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군/아시아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명군

14. 미얀마[1]
26. 관련 문서


1. 한국[편집]


나라왕호재위기간비고
고조선위만BC 194년~미상
부여대소왕미상~22년
금관가야수로왕42년~199년
고구려동명성왕BC 37년~BC 19년
유리명왕BC 19년~18년
대무신왕18년~44년
태조대왕53년~146년
신대왕165년~179년
고국천왕179년~197년
산상왕197년~227년
동천왕227년~248년
중천왕248년~270년
서천왕270년~292년
미천왕300년~331년[2]
소수림왕371년~384년
고국양왕384년~391년
광개토대왕391년~412년[3]
장수왕412년~491년
문자명왕491년~519년
안장왕519년~531년
안원왕531년~545년[4]
평원왕559년~590년
영양왕590년~618년
백제온조왕BC 18년~28년
다루왕28년~77년
고이왕234년~286년
비류왕304년~344년
근초고왕346년~375년
근구수왕375년~384년
비유왕427년~455년
동성왕479년~501년[5]
무령왕501년~523년
성왕523년~554년[6]
위덕왕554년~598년
무왕600년~641년
신라혁거세 거서간BC 57년~4년
남해 차차웅4년~24년
유리 이사금24년~57년
탈해 이사금57년~80년
파사 이사금80년~112년
일성 이사금134년~154년
아달라 이사금154년~184년
벌휴 이사금184년~196년
조분 이사금230년~247년
미추 이사금261년~284년
내물 마립간356년~402년
실성 마립간402년~417년
눌지 마립간417년~458년
자비 마립간458년~479년
소지 마립간479년~500년
지증왕500년~514년
법흥왕514년~540년
진흥왕540년~576년
진평왕579년~632년
진덕왕647년~654년
태종654년~661년
문무왕661년~681년
신문왕681년~692년
효소왕692년~702년
성덕왕702년~737년
효성왕737년~742년
경덕왕742년~765년
열조785년~798년
흥덕왕826년~836년
문성왕839년~857년
발해고왕698년~719년
무왕719년~737년
문왕737년~793년
선왕818년~830년
대이진830년~857년
대건황857년~871년
후백제견훤892년 또는 900년[7] ~ 935년
고려태조918년~943년
광종949년~975년
성종981년~997년
현종1009년~1031년[8]
덕종1031년~1034년
정종1034년~1046년
문종1046년~1083년
선종1083년~1094년
숙종1095년~1105년
예종1105년~1122년
조선태조1392년~1398년
태종1400년~1418년
세종1418년~1450년
문종1450년~1452년
성종1469년~1495년
효종1649년~1659년
현종1659년~1674년
숙종1674년~1720년
영조1724년~1776년
정조1776년~1800년[9]


2. 일본[편집]


나라왕호재위기간비고
천황덴지 덴노668년~672년
덴무 덴노673년~686년
간무 덴노781년~806년
고산조 덴노1068년~1073년
메이지 덴노1867년~1912년[10]

  • 원칙적으로는 천황만이 군주지만 가마쿠라 시대 이후 유명무실한 존재였기 때문에 일본 막부의 쇼군도 전제군주자로 치부한다.



3. 중국[편집]


나라왕호재위기간비고
하나라우왕미상
상나라탕왕기원전 1600년~기원전 1589년
양왕기원전 1250년~기원전 1192년
주나라무왕기원전 1046년~기원전 1043년
주공단기원전 ????년~기원전 ????년[11]
성왕기원전 1042년~기원전 1021년
강왕기원전 1021년~기원전 996년
춘추
전국
진(秦)진목공기원전 659년~기원전 621년
진헌공기원전 384년~기원전 362년
진효공기원전 361년~기원전 338년
혜문왕기원전 337년~기원전 311년
무왕기원전 310년~기원전 307년
소양왕기원전 306년~기원전 251년
진시황기원전 247년~기원전 220년
제나라제태공?~기원전 1005년
제환공기원전 685년~기원전 643년
제경공기원전 598년~기원전 584년
제위왕기원전 378년~기원전 343년[12]
제선왕기원전 342년~기원전 324년
진(晋)진무공기원전 715년~기원전 677년
진헌공기원전 676년~기원전 651년
진문공기원전 636년~기원전 628년
진도공기원전 572년~기원전 558년
조나라조양자기원전 475년~기원전 425년
조무령왕기원전 328년~기원전 299년
조혜문왕기원전 298년~기원전 266년
위나라위문후기원전 445년~기원전 396년
한나라한소후기원전 362년~기원전 333년
연나라소공석기원전 1046년~기원전 996년
연장공기원전 690년~기원전 658년
연소왕기원전 313년~기원전 279년
초나라초무왕기원전 740년~기원전 690년
초문왕기원전 689년~기원전 675년
초성왕기원전 671년~기원전 626년
초장왕기원전 613년~기원전 591년
초혜왕기원전 488년~기원전 432년
오나라합려기원전 514년~기원전 496년
월나라구천기원전 496년~기원전 464년
정나라정장공기원전 743년~기원전 701년
위(衛)위강숙기원전 ?
위문공기원전 659년~기원전 635년
전한고제기원전 202년~기원전 195년
문제기원전 180년~기원전 157년
경제기원전 156년~기원전 141년
무제기원전 141년~기원전 87년
선제기원전 74년~기원전 48년
후한광무제25년~57년
명제57년~75년
장제75년~88년
북조후조석륵319년~333년[13]
성한이웅304년~334년
북위태무제423년~452년
효문제471년~499년
북주무제560년~578년
남조동진명제323년~325년[14]
유송문제424년~453년[15]
소량무제502년 ~ 549년
수나라문제581년~604년
태종626년~649년
헌종805년~820년
선종846년~859년
후당명종926년~933년
후주세종954년~959년
북송
남송
태조960년~976년
태종976년~997년
진종997년~1022년
인종1022년~1063년
효종1162년~1189년
요나라태조916년~926년
태종927년~947년
성종982년~1031년
금나라태조1115년~1123년
태종1123년~1135년
세종1161년~1189년
애종1224년~1234년
서하경종1038년~1048년
숭종1086년~1139년
인종1139년~1193년
명나라홍무제1368년~1398년
영락제1402년~1424년
홍희제1424년~1425년
선덕제1425년~1435년
홍치제1487년~1505년[16]
청나라천명제1616년~1626년
숭덕제1626년~1643년[17]
강희제1661년~1722년
옹정제1722년~1735년
건륭제1735년~1796년[18]


4. 베트남[편집]


나라왕조왕호재위기간비고
남월(남비엣)찌에우 왕조무제기원전 207년~기원전 139년
한 지배기쯩 자매40년~42년
교주사섭 가문사왕187년~226년
안남응오 왕조전오왕939년~944년
대구월(다이꼬비엣)딘 왕조선황제968년~979년
전 레 왕조태조980년~1005년
리 왕조태조1009년~1028년
태종1028년~1054년
대월(다이비엣)성종1054년~1072년
인종1072년~1128년
신종1128년~1138년
영종1138년~1175년
쩐 왕조태종1225년~1258년
성종1258년~1278년
인종1278년~1293년
영종1293년~1314년
후 레 왕조태조1428년~1433년
성종1460년~1497년
정주 정권세조1545년~1570년
완주 왕조태조1558년~1613년
떠이선 왕조태조1788년~1792년
응우옌 왕조성조1819년~1841년
함의제1884년~1885년[19]


5. 류큐[편집]


왕조왕호재위기간비고
슌텐 왕조슌텐1187년 ~ 1237년[20]
슌바준키1237년 ~ 1248년[21]
에이소 왕조에이소1260년 ~ 1299년[22]
에이지1268년 ~ 1313년[23]
츄잔삿토1350년 ~ 1392년[24]
쇼하시1422년 ~ 1429년[25]
제1 쇼씨 왕조1429년 ~ 1439년
제2 쇼씨 왕조쇼신1477년 ~ 1527년[26]
쇼타이1848년 ~ 1872년[27]


6. 태국[편집]


왕조왕호재위기간비고
수코타이 왕조스리 인드라딧야1238년~1270년
람캄행1279년~1298년[28]
아유타야 왕국[29]라마티보디 1세1349년~1369년
나레쑤언1590년 10월 26일~1605년 4월 25일
나라이1656년 7월 29일~1688년 7월 11일
짜끄리 왕조라마 1세1782년 4월 6일~1809년 9월 7일
쭐랄롱꼰(라마 5세)1868년 10월 1일~1910년 10월 23일


7. 캄보디아[편집]




8. 참파[편집]


제13왕조포 비나수오르(제봉아)1360~1390


9. 몽골[편집]


나라왕조왕호재위기간비고
흉노난제씨 왕조두만선우기원전 220년대[30]~기원전 209년
묵돌선우기원전 209년~기원전 174년
노상선우기원전 174년~기원전 161년
위구르 제국약라갈씨 왕조쿠틀룩 빌게 퀼 카간742년~747년
카를륵 카간747년~759년
알프 쿠틀룩 빌게 카간780년~789년
카마그 몽골보르지긴 왕조보돈차르
예수게이1160년~1171년
몽골 제국칭기즈 칸1206년~1227년
쿠빌라이 칸1260년~1294년
투그테무르 자야아투 칸1328년~1329년, 1329년~1332년
다얀 칸1480년~1517년
아이신기오로 왕조(청나라)아군다 우루시예그치 나이람다고 복다 칸1626년~1643년
엥케 아무굴랑 칸1661년~1722년
나이랄투 툽 칸1722년~1735년
젭춘담바 후툭투 신정 체제복드 칸1911년~1924년
준가르초로스 왕조카라쿠라 홍타이지
바토르 홍타이지
갈단 칸1676년~1697년
체왕 랍탄 홍타이지


10. 중앙아시아[편집]


나라왕호재위기간비고
돌궐묵철가한691년~716년
서요덕종1132년~1143년
티무르 제국티무르1370년~1405년
샤 루흐1409년~1447년
히바 칸국아스판디야로프 칸1910년~1918년


11. 인도[편집]


난다 왕조마하파드마 난다
마우리아 왕조찬드라굽타 마우리아
빈두사라
아소카
쿠샨 왕조쿠줄라 카드피세스
비마 타크투
비마 카드피세스
카니슈카 1세
후비슈카
바수데바 1세
굽타 왕조찬드라굽타 1세
사무드라굽타
찬드라굽타 2세
쿠마라굽타
할지 왕조알라우딘 할지
팔라 제국데바 팔라
촐라 왕조라자 라자 촐라 1세
라젠드라 촐라
마이소르 왕국하이데 알리 칸
티푸 술탄
무굴 제국악바르 대제[31]
샤 자한
아우랑제브[32]
바하두르 샤 1세


12. 네팔[편집]




13. 부탄[편집]


왕축 왕조[33]


14. 미얀마[34][편집]


버간 왕조아노야타
챤치타[37]
따웅우 왕조버인나웅
아나욱펫룬
따룬
꼰바웅 왕조알라웅파야
신뷰신
보도파야
  • 소수민족 왕조
한타와디 왕국[38]와레루[39]
라자다릿
신 소부
담마제디
빈야 란 2세
아라칸 왕국[40]민 사우 몬
민 바지
민 티카[41]

15. 말레이시아[편집]


국가왕조왕호재위기간비고
사라왁 왕국브룩 왕조제임스 브룩1842년~1868년


16. 이란[편집]


왕조왕호재위기간비고
엘람슈트룩 나흐훈테기원전 1184년~기원전1155년
메디아키악사레스기원전 625년~기원전 585년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아케메네스기원전 680년~기원전 655년[42]
키루스 2세기원전 559년~기원전 530년
캄비세스 2세기원전 530년~기원전 522년[43]
다리우스 1세기원전 522년~기원전 486년
아르게아스 왕조알렉산드로스 대왕기원전 330년~기원전 323년
셀레우코스 제국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기원전 311년~기원전 281년
안티오코스 3세 메가스기원전 223년~기원전 187년
파르티아아르사케스 1세기원전 247년~기원전 211년
미트리다테스 1세기원전 171년~기원전 132년
미트리다테스 2세기원전 124/123년~기원전 91년
사산 왕조 페르시아샤푸르 1세242년~272년
샤푸르 2세309년~379년
바흐람 5세421년~438년
야즈데게르드 2세438년~457년
호스로 1세531년~579년
호라즘 왕조잘랄 웃 딘 밍부르누1199년~1231년
일 칸국훌레구1256년~1265년
아르군 칸1284년~1291년
가잔 칸1295년~1304년
올제이투 칸1304년~1316년
백양 왕조카라 오스만1378년~1434년
우준 하산 이븐 알리1466년~1478년
사파비 제국아바스 1세1588년~1629년
잔드 왕조카림 칸1750년~1779년
카자르 왕조아가 모하마드 칸1794년~1797년[44]


17. 아프가니스탄[편집]


왕조왕호재위기간비고
가즈니 왕조술탄 마흐무드998년~1030년
고르 왕조이슈즈 웃 딘 후세인 1세1117년~1146년
알라 앗 딘 후세인 2세1149년~1161년
기야스 웃 딘 무함마드1163년~1203년
무함마드 고리1203년~1206년
길자이 왕조미르 바이스 칸1709년~1715년
두라니 왕조아흐마드 샤 두라니1747년~1722년
바라크자이 왕조아마눌라 칸1919~1929
모하마드 자히르 샤1933년~1973년


18. 요르단[편집]


왕조왕호재위기간비고
하심 왕조후세인 1세1952년~1999년


19. 이라크[편집]




20. 이슬람 제국[편집]




21. 오만[편집]




22. 이스라엘[편집]


국가왕호재위기간비고
이스라엘 왕국다윗BC 1010/1003~BC 970유다 왕으로 7년 재위 후 이스라엘 왕으로 즉위
솔로몬BC 970~BC 931
북이스라엘 왕국오므리BC 884~BC 873
아합BC 876~BC 854
여로보암 2세BC 786~BC 746
남유다 왕국웃시야BC 783~BC 742'아사랴'라고도 함
므낫세BC 687~BC 643
요시야BC 640~BC 609
하스몬 왕조시몬BC 142~BC 135
요한 힐카누스BC 134~BC 104
헤로데 왕조헤로데 대왕BC 37~BC 4
예루살렘 왕국보두앵 4세1174~1185


23. 튀르키예[편집]


국가왕명재위기간비고
히타이트피타나
아니타
라바르나 1세
하투실리 1세
수필룰리우마 1세
셀주크 제국알프 아르슬란1064~1072
말리크 샤 1세1072~1092
룸 셀주크메수드 1세1116~1156
카이쿠바드 1세1220~1227
오스만 제국오르한1323/1324-1362
무라트 1세1362-1389
메흐메트 1세1413-1421
무라트 2세1421-1444, 1446-1451
메흐메트 2세1444-1446, 1451-1481
바예지트 2세1481-1512[45]
셀림 1세1512-1520
쉴레이만 1세1520-1566
무라트 4세1623-1640
아흐메트 3세1703-1730
마흐무트 2세1808-1839
압뒬메지트 1세1839-1861


24. 아르메니아[편집]




25. 조지아[편집]




26. 관련 문서[편집]


  • 전성기/목록/국가: 그 나라의 전성기와 명군의 등장 시기는 강한 상관관계가 있다. 다만 명군이 나와서 전성기가 된 것도 있고, 전성기 타이밍에 왕이 되어 명군으로 포장된 케이스도 있을 것이다.
[1] 미얀마버마족 못지않게 소수민족의 비중과 세력이 상당하고 차별성을 지니기에 버마족 왕조와 소수민족 왕조를 따로 다루도록 한다.[2] 노비 출신(몰락 왕족).[3] 말이 필요없는 한국사 역사상 최대, 최고의 정복군주.[4] 비록 말기에 내전이 터져 위태로웠지만 적어도 그 전까진 국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기에 명군으로 볼 수 있다. 물론 암군으로도 볼 수 있고.[5] 말년에는 암군으로 전락.[6] 신라와의 전쟁에서 전사.[7] 892년 또는 889년에 이미 칭왕하였으나 정식 후백제 건국은 900년에 이뤄졌다.[8] 한국의 유일한 사생아 출신의 왕[9] 한국사 최후의 명군이자 성군[10] 다만 일본 제국 시기 덴노라서 한국 등 피지배국에서의 평가는 좋지 않다.[11] 주읍 군주 및 노 공작[12] 전씨의 찬탈 이후[13] 노예 출신[14] 암군들이 넘쳐나는 사마씨 왕조의 유일한 명군이니까 문제다. 결국 왕돈의 난을 다 진압한 뒤 병에 걸려 사망했다.[15] 폭군들이 넘쳐나는 유송의 유일한 명군이니까 문제다. 결국 아들에게 시해당했다.[16] 한족 최후의 명군이자 성군.[17] 다만 한족 민족주의자들에게는 명나라의 멸망 원인을 제공한 원흉으로 취급되며, 만주족 사이에서도 후손인 자신들이 나라 없는 민족으로 전락하는 원인을 제공한 인물로 부정적 재평가를 하는 경우가 생겨나고 있다.[18] 다만 말년에 암군으로 타락한 점이 지적되고 있다.[19] 재위 중 특별한 업적은 없지만 베트남 식민통치시기인 당시에 몸소 프랑스에 항거해 3년이나 맞서 싸운 점으로 인해서 명군으로 평가받는다.[20] 다만 전설상의 인물이라는 설도 있다.[21] 다만 전설상의 인물이라는 설도 있다.[22] 본래 신하였으며 쿠데타가 아닌 양위로 왕위에 올랐다.[23] 에이소 왕조를 번영시켰다. 다만 그의 죽음 이후 류큐는 3개로 쪼개진다.[24] 류큐가 전성기를 누릴 수 있었던 이유인 명나라와의 외교 관계를 성립했다.[25] 류큐를 통일한 명군 중 명군. 다만 류큐 왕국의 1대 왕은 쇼하시가 옹립한 그의 아버지였기에 역사에 무지한 사람들이 착각하기도 한다.[26] 류큐 역사상 최고의 명군으로 꼽힌다.[27] 고종(대한제국) 등 다른 망국의 마지막 군주와 다르게 이하 후유 등의 역사학자들에게 명군으로 평가받는다. 왕국 시절 쇼타이 왕의 신하였던 기샤바 조겐의 류큐견문록만 봐도 알 수 있다.[28] 다만 전설상의 인물이라는 설도 있다.[29] '아유타야 왕조'라고 안 부르는 이유는 아유타야 왕국 문서 참고[30] 기원전 220년대 중 한 해로 추정된다.[31] 일례로 만교(萬敎) 서미트는 유명하다.[32] 단 재위 초반부 한정.[33] 1대 우겐 왕축에서부터 현 국왕인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모두가 명군이자 성군이다. 사실상 유송북한백두혈통과는 완벽한 안티테제. 자세한 것은 왕축 왕조항목 참조[34] 미얀마버마족 못지않게 소수민족의 비중과 세력이 상당하고 차별성을 지니기에 버마족 왕조와 소수민족 왕조를 따로 다루도록 한다.[35] 소오 루라고 부르며 버간의 2대 황제이다.[36] 챤치타의 어릴 적 소꿉친구였다고 한다.[37] 짠싯타라고도 불렸으며 버간 왕조의 3대 황제였는데 초대 황제 아노야타의 친구였으며 아노야타의 아들[35]이 반란군에 살해당하자 난을 진압하고 아노야타의 아내이자 태후였던 아가 마떼비[36]황후로 맞아 재혼했다.[38] 바고 왕국이라고도 부르며 몬족이 세운 국가였다.[39] 인생이 파란만장한데 빈농에다가 소년소녀가장 출신이며 나라를 세우는 과정에서도 여러 경쟁자들과 싸우면서 위기도 여러차례 겪을 정도로 험난한 젊은시절을 보냈다. 이후 왕이 된 후에 버간 왕조버마족 중심 법체계를 벗어나 몬족 실정에 맞는 와레루 법전을 만들었는데 당시 기준으로도 체계적이고 시대를 앞선 법으로 평가받으며 영미법과 더불어 현재의 미얀마 헌법에 꽤나 많은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40] 므락우 왕국이라고도 부르며 아라칸족이 세운 국가였다.[41] 위에서 말한 민 바지의 아들로 한 일화에서 싯따웅 사원을 지은 아버지를 이기기 위해 사원을 지었는데 그 사원이 꼬따웅 사원이며 이것때문에 하늘이 아버지를 이겨먹으려는 아들에 분노해서 천벌으로 번개를 내려 사원을 부쉈다는 말이 있는데 일설로는 2차 세계 대전 버마 전선에서 영국군일본군의 전쟁 때문에 파괴되었다는 설도 있다.[42] 다만 전설상의 인물이라는 설도 있다.[43] 업적과 별개로 폭군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다만 기록이 부족한지라 폭군이라는 평가에도 논란이 많다.[44] 암군들이 넘쳐나는 카자르 왕조의 유일한 명군이니까 문제다.[45] 1509년 콘스탄티노플 지진 이전까지 한정이나 치세 막바지의 일이므로 명군으로 분류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21:56:59에 나무위키 명군/아시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