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452

덤프버전 :





파일:452_2256.png


파일:452_6509.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452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452 노선도.png

기점
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복정역환승센터)
종점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중앙대학교)
종점

첫차
04:00
기점

첫차
05:40
막차
23:30
막차
01:10
평일배차
8~12분
주말배차
토요일 8~12분 / 공휴일 10~13분
운수사명
남성버스
인가대수
34대(예비 1대)[1]
노선
복정역환승센터 - 남위례역 - 한국폴리텍대학 - 남한산성입구 - 을지대학교 - 남한산성입구역.법원검찰청 - 단대오거리역 - 신흥역.종합시장 - 성남시의료원 - 통계청.태평역 - 가천대역.가천대학교 - 동서울대학교 - 삼일자동차학원 - 세곡푸르지오 - 헌인릉 - 서초포레스타입구 - 양재꽃시장 - 양재역 - 강남역 - 신논현역 - 논현사거리.논현역 - 고속터미널 - 신반포역 - 구반포역 - 동작역.국립현충원 - 흑석동명수대현대아파트 → 흑석역.흑석동빗물펌프장 → 중앙대학교 → 흑석역.명수대현대아파트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남성버스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6.9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916번 심야좌석버스(성남시 신흥동 - 영등포)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9412번으로 변경되었다.

  • 양지동 차고지 철거로 인해 송파공영차고지에 입주하게 되어 2005년 8월 20일 남한산성입구를 경유해 송파공영차고지로 연장되면서 서울에서 출발하는 유일한 광역버스가 되었다.

  • 2006년 12월 20일에 간선버스로 형간전환되었고 번호도 462번으로 바뀌었다. 4423번이 22대, 9412번이 35대로 합쳐서 57대였으나 이 중에서 10대를 타 노선에 분배했다. 공식적으로는 통합이지만 4423번의 단독구간인 교대역 구간은 계승하지 않았다.

  • 2017년 2월에 성남시 구간을 단축하려고 했으나 '흑석동 - 영등포시장'구간에 640번이 있어서 '흑석동 - 영등포시장'이 단축될 예정이었다가 취소되고 2대가 320번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

  • 2018년 2월 초 현재 작년 단축안과 같은 방식으로의 단축이 재논의되었으며 640번을 강남역으로 연장시키는 조건 하에 단축하는 방안이 가결되었다. 단축 구간 내의 수요가 노선 전체의 24%나 되는데도 강행했다. 장거리노선 단축이 워낙 시 차원에서 강력하게 추진하는 정책이고, 640번이 흑석동 - 영등포시장 구간을 대체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 2018년 3월 16일에 단축안에 강한 반발이 있었는데도 영등포로터리의 상습 정체로 인한 운행시간 증가, 중복 노선 정리 등을 명분삼아 '흑석동 - 영등포시장' 구간이 단축되어 5524번과 같은 형태로 중앙대병원에서 회차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4대가 감차되어 320번3012번에 각각 2대씩 증차분으로 이동하였다. 노선 번호 역시 452번으로 변경되었다. 기점인 송파공영차고지 기준 막차시각을 00:00에서 무려 60분이나 앞당긴 23:00로 조정해 버리면서 성남과 영등포를 오가던 심야버스의 역사는 22년 만에 종료되었다.
[ 단축 전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462 노선도.png


  • 2018년 4월 12일에 송파차고지 막차시각이 23:30으로 30분 늦춰졌고,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200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230분으로 30분 늘어나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10회/9회/8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증가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2019년 10월 28일을 기해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1일 총 운행횟수가 각각 3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본래 평일의 경우 6분,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7분이던 최소 배차간격이 평일의 경우 7분,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8분으로 늘어났다.관련 공문

  • 2021년 2월 3일부터 송파공영차고지 앞 도로개량공사로 인해 기점이 복정역 환승센터로 변경되었다.

  • 2022년 7월 11일을 기해 여러가지 도로 공사에 의한 운전자 휴게시간 추가 확보 필요성을 이유로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230분에서 250분으로 늘어났다. 이에 따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고, 본래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32회/124회/112회였던 1일 총 운행횟수가 10회/9회/8회씩 감회되어 122회/115회/104회로 조정되었으며, 전일에 걸쳐 최소배차간격과 최대배차간격이 모두 1분씩 늘어나게 되었다. 이번 운행계통 변경은 본 공문에 명시된 내용에 따르면 한시적 변경 조치이지만, 특정 일자로 적용 시한이 명시되어있지 않으므로 무기한 변경으로 간주되어도 무방한 조치이다.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서울시 노선 중 금광동 일대와 헌릉로 전 구간을 다니는 유일한 노선이며, 주 수요 구간은 성남시내 구간수요와 성남-강남이다. 통행 방향의 특성상 은행동, 산성역 쪽에서 송파공영차고지로 오는 수요도 상당하고 대부분 송파공영차고지에서 강남, 잠실로 나가는 다른 노선으로 환승하여 간다. 과거 영등포까지 가던 시절에는 가천대-영등포, 강남대로-영등포, 흑석동-영등포로 매우 다양했으며 심야수요까지 책임졌기 때문에 수요가 상위권에 속했다. 또한 헌릉로나 동작동 국립현충원 인근, 강남대로, 성남시 구간 중 구)성남시청-태평역 구간 수정로의 정체로 배차가 벌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보니 태평역-남한산성입구 구간에서는 성남 240번이 이 노선의 해당 구간 수요를 분산하고 있다.


  • 5524번과는 흑석역 안쪽의 중앙대 회차구간 - (현충로) - 동작역 구간이 같다. 흑석역이 급행이 정차하지 않아서 배차간격이 길고, 중앙대 권역 안쪽과는 거리가 다소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동작역으로 바로 가서 동쪽(강남, 송파 방향)의 9호선 급행이나, 4호선(사당 방향)을 바로 탈 수 있게끔 돕는다.

  • 막차가 송파공영차고지에서 자정에 출발했고, 노선이 상당히 길어서 영등포역 경유가 01:25~40경이라, 심야버스로서의 기능도 충실했다. 나갈때는 성남에서는 대리기사와 구시가지 소재 대학교인 을지대, 가천대, 동서울대학을 제외하면 승객은 별 볼일 없다가 강남에 오면 승객이 많았다. 즉 전체적인 수요는 영등포↔강남과 강남↔성남으로 9403번과 같이 성남 본시가지의 심야수요를 책임졌다. 그런데도 영등포역~노량진 구간이 단축됨과 동시에 심야운행도 폐지되었다. 서울특별시 버스정책과 노선팀의 4권역 담당 주무관은 "시내버스는 본래 심야운행으로 운행되지 않는다."라는 이유로 조정하는 것이라는 답변을 남겨 야간에 이용하는 승객들의 악감정을 샀다. 그래서 저 답변을 남긴 민원을 처음에 제출한 시민이 462번의 시초가 본래 심야좌석버스 916번인 점, 706번이 단축되어 773번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심야운행을 계속 하는 점, 2017년 5월 첫차/막차시간 조정 후 수요감소를 겪은 9403번의 사례, 502번의 심야운행, 402번의 심야운행, 201번의 심야운행 등을 근거로 해당 발언에 대해 반박하자, 김모 주무관은 질문과 안 맞는 동문서답을 하여 또다시 큰 빈축을 샀다. 심야좌석버스 출신같은 역사성은 노선 존치의 중요 시초로 존재감이 큰 나머지 근거는 충분히 제기할 만했고, 사실상 이 버스들이 심야버스 역사의 막을 올린 것이나 다름없는 것이 사실이다. 또 노선 조정 단행 전에 이 노선과 유사한 심야버스 추가 신설하는 조치가 있었다면 애초에 문제되지도 않았을 사안이다. 시내버스는 심야운행을 하지 않는다는 담당 주무관의 발언을 보면, 서울특별시 측에서는 올빼미 버스 몇 개 운행 개시했다고 늦은 시간까지 다니던 일반노선들의 독자적 심야수요를 대놓고 무시하고 있는 듯하다.

  • 회차지에서 막차를 놓치면 평일에는 강남역까지 이용할 수 있는 대체 수단이 있다. 현충로상의 '흑석역.명수대현대아파트' 정류소로 이동하면, 01:50~02:00경에 이음 2번의 막차를 이용할 수 있다.

  • 영등포 구간 노선 단축 후 수요가 감소했다. 이 게시글에 따르면 462번 시절 일 평균 23,000명을 태우던 것이 단축 후 17,000명 정도로 무려 22%나 감소했다. 대체노선인 360번640번은 합해서 1,000명밖에 안 늘었고 서울 지하철 9호선은 오히려 수요가 감소했다. 결국 단축 후 어느 노선으로도 대체가 안 됐다는 이야기가 된다. 한편 기존에 이 노선이 맡던 강남대로서울고속버스터미널 등지에서의 노량진 방면 심야 수요는 구로동 방향 막차가 00:30경 논현역을 지나는 6411번에 어느 정도 넘어갔다고 한다.

  • 송파구 방향 노선 운행 시에는 동서울대학교-복정초등학교-복정동 행정복지센터 노선을 거치지만 반대편인 중앙대학교 방향 노선에는 복정초등학교 정류장이 없다. 복정동 행정복지센터 다음 정류장이 바로 동서울대학교 정류장이다.

  • 단축 후에도 여전히 긴 편에 속하는지라 중앙대 종점에서 잠시 대기후 출발하는 경우도 있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452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23,597명
-
2014년
22,982명
▽ 615
2015년
22,984명
△ 2
2016년
22,287명
▽ 697
2017년
21,266명
▽ 1,021
2018년
17,788명
▽ 3,478
2019년
18,173명
△ 385
2020년
14,598명
▽ 3,575
2021년
14,204명
▽ 394
2022년
16,488명
△ 2,284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의정부시

수락리버


구리/남양주

201구리

202담터

1155담터

수락리버: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담터: 남양주방면 담터고개(구리시 소재)만 정차, 서울방면 담터고개는 서울시 소재.


3, 4권역 | 하남, 성남
성남시


하남시

341초이

370초이

3217위례


초이: 초이동 / 위례: 하남시위례도서관


4, 5권역 | 과천, 안양, 군포, 의왕
과천/안양/군포/의왕


과천/안양/군포


안양/군포

안양시 단독

152교대

6515교대

500석수

5618석수


과천시 단독

서초08잔디

서초20잔디

교대: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디: 잔디마을만 정차 / 의왕시 경유 노선은 군포시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5, 6권역 | 광명, 부천
광명시

철산리버

부천시

철산리버: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7권역 | 고양, 양주, 파주
고양시

동산동

덕은동


대덕동


파주/양주

704송추

773교하

774파주읍

9714교하

동산동: 한국지역난방공사(舊 동산동) 정류장만 정차 / 덕은동: 덕은동종점 정류장만 정차 / 대덕동: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4:37:18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45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요일 31대 / 공휴일 28대 운행[2] 한국폴리텍대학 하차 후 도보[3] 논현역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