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은혜 (r4판)

편집일시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신데렐라 일레븐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유은혜(신데렐라 일레븐) 문서
유은혜(신데렐라 일레븐)번 문단을
유은혜(신데렐라 일레븐)#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정부상징.svg
파일:부총리 겸.svg
파일:교육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교육부장관 (1990~2001)
31대
윤형섭
32대
조완규
33대
오병문
34대
김숙희
35대
박영식
36대
안병영
37대
이명현
38대
이해찬
39대
김덕중
40대
문용린
41대
송자
42대
이돈희
교육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장관 (2001~2008)
43대
한완상
44대
이상주
45대
윤덕홍
46대
안병영
47대
이기준
48대
김진표
49대
김병준
50대
김신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2008~2013)
51대
김도연
52대
안병만
53대
이주호
54대
서남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2013~현재)
55대
서남수
56대
황우여
57대
이준식
58대
김상곤
59대
유은혜
파일:교육부 MI 가로형.png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회휘장(9대-19대).pn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제18대
백성운
제19대
유은혜
선거구 개편
유은혜[A]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기 고양시 병)
선거구 개편
유은혜[A]
제20대
유은혜
제21대
홍정민




[A] A B 제20대 국회에서 고양시 일산동구 선거구가 고양시 병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출생1962년 10월 2일[1] (61세)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거주지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산동 중산마을 7단지
본관기계 유씨
현직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국가인적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재임기간제59대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2018년 10월 2일 ~ (문재인 정부 만료로 인하여 강제종료]]) 2022년 5월 9일 [2]서명파일:유은혜_서명.png
SNS파일:트위터 아이콘.svg[3]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18년]]]
[ 펼치기 · 접기 ]

형제자매1남 4녀 중 넷째
배우자장안식
자녀슬하 1남 1녀
학력송곡여자고등학교 (졸업)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 / 학사)
이화여자대학교 (공공정책학 / 석사)
종교천주교 (세례명: 아녜스)
신체174cm[1], B형
소속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의원 선수2
의원 대수19, 20
경력제19대,20대 국회의원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사회분과 위원
김근태 국회의원 보좌관
열린우리당 부대변인
민주당 수석부대변인
성균관대학교 총동창회 상임이사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변인
더불어민주당 대변인

[1] 신발을 감안해도 175cm인 이낙연과 약간 차이가 있으며,# 여성 중에서 굉장히 장신이다.

1. 개요
4. 여담
5. 선거 이력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정치인, 현재 문재인 정부의 두 번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를 지내고 있다. 민평련계로 분류되지만 19대 대선 경선에서 문재인 후보의 유세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등 친문으로도 분류된다.


2. 생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유은혜/생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논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유은혜/논란 및 비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여담[편집]


  •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과는 공통점이 많으며 상당히 친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두 의원 모두 62년생이라는 점, 일산이 지역구라는 점, 문재인 정부에서 의원과 장관을 겸직하고 있다가 21대 총선 불출마 선언을 했다는 점 등 공통점이 여럿 있다. 덕분에 두 사람은 20대 총선에서 공동으로 공약을 발표하고 공동유세를 하기도 했다. 그리고 김현미 장관이 청년 주거 문제를 점검하기 위해 현장에 나갔을 때엔 일부 주민들이 김현미를 교육부장관으로 알고 건의/비판을 했는데, 김 장관이 그걸 유 장관에게 전달했다고 한다.#

5.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08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ta-hash-start=w-ee57534b6283d20f8e089075ae8d976b[[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4,313,645 (25.17%)낙선 (19번)[5]
2012제19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고양 일산동)
ta-hash-start=w-fe9ba234704f9db9852cdaa2fdc36df0[[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60,236 (51.59%)당선 (1위)초선
2016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고양 병)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62,886 (47.73%)당선 (1위)재선


6. 둘러보기[편집]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




[1] 음력 1962년 9월 4일[2] 만약에 문재인 정부가 종료가 안 되었다면 유은혜 장관의 임기는 계속 되었을 것이다.[3] 2018년 이후로 트윗이 올라오지 않고 있다.[4] 2018년 이후로 게시물 업데이트 전면 중단[[[2018년]]] 이후로 동영상이 올라오지 않고 있다.[5] 당시 비례대표 18번까지 당선됐다. 딱 1번 차이로 낙선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