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드니 푸아티에

덤프버전 :

시드니 푸아티에의 주요 수훈 및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영국 기사 서임자 (남성)
British Knights
[ 펼치기 · 접기 ]
같이 보기: 기사 서임자 (여성)
GBE 파일:Grand Cross of the Order of the British Empire_.jpg
찰스
스콧 셰링턴

(1922)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

(1946)
KBE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7b160a24b08857219efc111189b9773d.jpg
프레더릭 벤팅
(1934)
에드먼드 힐러리
(1953)
게오르그 솔티
(1971)
시드니 푸아티에이
(1974)
찰리 채플린
(1975)
앨프리드 히치콕
(1980)
밥 호프
(1998)
앤드루 와일스
(2000)
로저 무어
(2003)
팀 버너스리
(2004)
조너선 아이브
(2012)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아이작 뉴턴
(1705)
찰스 라이엘
(1848)
찰스 휘트스톤
(1868)
조지프 리스터
(1883)
아서 코난 도일
(1902)
W. S. 길버트
(1907)
프랜시스 골턴
(1909)
프레더릭
G. 홉킨스

(1925)
무하마드
자파룰라 칸

(1935)
오언 리처드슨
(1939)
알렉산더 플레밍
(1944)
랠프 리처드슨
(1947)
로런스 올리비에
(1947)
존 길구드
(1953)
칼 포퍼
(1965)
알프 램지
(1967)
쉬리다스 람팔
(1970)
제임스 블랙
(1981)
마이클 아티야
(1983)
클라이브
싱클레어

(1983)
렉스 해리슨
(1989)
V. S. 나이폴
(1990)
더크 보가드
(1992)
로저 펜로즈
(1994)
팀 라이스
(1994)
캐머런 매킨토시
(1996)
리처드 브랜슨
(2000)
숀 코너리
(2000)
톰 커트니
(2001)
믹 재거
(2002)
벤 킹슬리
(2002)
리들리 스콧
(2003)
조너선 색스
(2005)
케네스 브래너
(2012)
안드레 가임
(2012)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14)
패트릭 헤드
(2015)
마크 라일랜스
(2017)
제임스
래트클리프

(2018)
톰 무어
(2020)
마이클 호턴
(2021)
마틴 에이미스
(2023)
C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데이비드 린
(1953)
마이클
레드그레이브

(1959)
알렉 기네스
(1959)
스탠리 매튜스
(1965)
맷 버스비
(1968)
알렉 이시고니스
(1969)
에른스트
곰브리치

(1972)
리처드 애튼버러
(1976)
존 밀스
(1976)
월터 윈터보텀
(1978)
데이비드
애튼버러

(1985)
윌리엄 골딩
(1988)
피터 유스티노프
(1990)
이안 맥켈런
(1991)
안소니 홉킨스
(1993)
데릭 제이코비
(1994)
바비 찰튼
(1994)
사이먼 래틀
(1994)
조지 마틴
(1996)
마이클 갬본
(1998)
아서 C. 클라크
(1998)
엘튼 존
(1998)
이안 홈
(1998)
존 엘리엇
가디너

(1998)
톰 피니
(1998)
나이젤 호손
(1999)
알렉스 퍼거슨
(1999)
프랭크 윌리엄스
(1999)
마이클 케인
(2000)
폴 스미스
(2000)
바비 롭슨
(2002)
앨런 파커
(2002)
앨런 베이츠
(2003)
그레고리 윈터
(2004)
트레버 브루킹
(2004)
제임스 다이슨
(2007)
크리스토퍼 리
(2009)
브래들리 위긴스
(2013)
존 허트
(2015)
칼 젠킨스
(2015)
로드 스튜어트
(2016)
레이 데이비스
(2017)
빌리 코놀리
(2017)
배리 깁
(2018)
마이클 페일린
(2019)
데이비드 수셰이
(2020)
샘 멘데스
(2020)
스티브 맥퀸
(2020)
로저 디킨스
(2021)
조너선 프라이스
(2021)
존 부어만
(2022)
브라이언 메이
(2023)
O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어니스트 섀클턴
(1909)
로렌스 브래그
(1941)
리처드 돌
(1971)
잭 브라밤
(1978)
지미 새빌
(1990)
클리프 리처드
(1995)
트레버 맥도날드
(1999)
스털링 모스
(2000)
재키 스튜어트
(2001)
톰 존스
(2006)
테리 프래쳇
(2009)
패트릭 스튜어트
(2010)
밴 모리슨
(2015)
앤디 머리
(2017)
가즈오 이시구로
(2018)
마이클 모퍼고
(2018)
M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폴 매카트니
(1997)
제프 허스트
(1998)
니콜라스 윈턴
(2003)
닉 팔도
(2009)
링고 스타
(2018)
케니 달글리시
(2018)
루이스 해밀턴
(2021)



[ 펼치기 · 접기 ]
20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27/1928년1928/1929년1929/1930년1930/1931년
워너 브라더스찰리 채플린없음
1931/1932년1932/1933년1934년1935년1936년
월트 디즈니없음셜리 템플데이비드 와크 그리피스시간의 행진
1936년1937년
W. 하워드 그린
해럴드 로슨
에드가 버겐W. 하워드 그린현대미술관 영화도서관맥 세네트
1938년
J. 아서 볼월트 디즈니디아나 더빈
미키 루니
고든 제닝스 외 10인올리버 T. 마쉬
앨런 데이비
1938년1939년
해리 워너더글러스 페어뱅크스주디 갈랜드윌리엄 카메론 멘지스영화구호기금
1939년1940년1941년
테크니컬러 USA밥 호프네이선 레빈슨월트 디즈니
윌리엄 가리티
존 N. A. 호킨스
RCA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와 그의 동료들
1941년1942년
레이 스콧영국 정보부샤를 부아예노엘 코워드메트로 골드윈 메이어
1943년1944년1945년
조지 팔밥 호프마가렛 오브라이언리퍼블릭 스튜디오
대니얼 J. 블룸버그
리퍼블릭 스튜디오 사운드 부서
월터 웡거
1945년1946년
내가 사는 집 (영화)페기 앤 가너해롤드 러셀로런스 올리비에에른스트 루비치
1946년1947년
클로드 자먼 주니어제임스 바스켓윌리엄 니콜라스 세릭
앨버트 E. 스미스
조지 커크 스푸어
빌과 쿠 (영화)구두닦이 (영화)
1948년1949년
월터 웡거무슈 빈센트 (영화)시드 그라우만아돌프 주커진 허솔트
1949년1950년
프레드 아스테어세실 B. 드밀자전거 도둑 (영화)루이스 B. 메이어조지 머피
1950년1951년1952년
말라파가의 벽 (영화)진 켈리라쇼몽 (영화)메리안 C. 쿠퍼밥 호프
1952년1953년
해럴드 로이드조지 미첼조셉 M. 쉔크금지된 게임 (영화)20세기 폭스
1953년1954년
벨 & 하웰 컴퍼니조셉 브린피트 스미스부스 & 롬 컴퍼니대니 케이
1954년
켐프 니버그레타 가르보존 휘틀리빈센트 윈터지옥문 (영화)
1955년1956년1957년
사무라이 i: 미야모토 무사시 (영화)에디 캔터영화 및 텔레비전 기술자 협회길버트 M. 앤더슨찰스 브래킷
1957년1958년1959년1960년
B. B, 카헤인모리스 슈발리에버스터 키튼리 드 포레스트게리 쿠퍼
1960년1961년
스탠 로렐헤일리 밀스윌리엄 L. 헨드릭스프레드 L. 메츨러제롬 로빈스
1962년1963년1964년1965년1966년
없음윌리엄 J. 터틀밥 호프야키마 카넛
1966년1967년1968년1969년
Y. 프랭크 프리먼아서 프리드존 챔버스오나 화이트케리 그랜트
1970년1971년1972년
릴리안 기시오슨 웰스찰리 채플린찰스 S. 보렌에드워드 G. 로빈슨
1972년1973년1974년
앙리 랑글로아그루초 막스하워드 혹스장 르누아르메리 픽포드
1976년1977년1978년
없음마가렛 부스월터 란츠로런스 올리비에킹 비더
1978년1979년1980년1981년
현대미술관 영화과할 엘리아스알렉 기네스헨리 폰다바버라 스탠윅
1982년1983년1984년1985년
미키 루니할 로치제임스 스튜어트국립예술기금폴 뉴먼
1985년1986년1987년1988년
알렉스 노스랄프 벨라미없음코닥캐나다 국립영화위원회
1989년1990년1991년1992년
구로사와 아키라소피아 로렌머나 로이사티야지트 레이페데리코 펠리니
1993년1994년1995년1996년
데보라 카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커크 더글러스척 존스마이클 키드
1997년1998년1999년2000년
스탠리 도넌엘리아 카잔안제이 바이다잭 카디프어니스트 리먼
21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01년2002년2003년2004년
시드니 포이티어로버트 레드포드피터 오툴블레이크 에드워즈시드니 루멧
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로버트 올트먼엔니오 모리코네로버트 F. 보일없음로렌 바콜
2009년2010년
로저 코먼고든 윌리스케빈 브라운로장뤽 고다르일라이 월랙
2011년2012년
제임스 얼 존스딕 스미스돈 앨런 페네베이커할 니덤조지 스티븐스 주니어
2013년2014년
안젤라 랜스버리스티브 마틴피에로 토시장클로드 카리에미야자키 하야오
2014년2015년2016년
모린 오하라스파이크 리제나 로우랜즈성룡린 스털마스터
2016년2017년
앤 V. 코츠프레더릭 와이즈먼찰스 버넷오웬 로이즈먼도날드 서덜랜드
2017년2018년2019년
아녜스 바르다마빈 레비랄로 쉬프린시실리 타이슨데이비드 린치
2019년2020년2021년
웨스 스투디리나 베르트뮐러없음새뮤얼 L. 잭슨일레인 메이
2021년2022년2023년
리브 울먼피터 위어유잔 팔시다이앤 워런









파일:Kennedy Center honors.jpg
케네디 센터 공로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78년매리언 앤더슨, 프레드 아스테어, 조지 발란신,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리처드 로저스
1979년에런 코플런드, 엘라 피츠제럴드, 헨리 폰다, 마사 그레이엄, 테네시 윌리엄스
1980년레너드 번스타인, 제임스 캐그니, 애그니스 데밀, 린 폰탠, 리언타인 프라이스
1981년카운트 베이시, 케리 그랜트, 제롬 로빈스, 헬렌 헤이스, 루돌프 세르킨
1982년조지 애벗, 릴리안 기시, 베니 굿맨, 진 켈리, 유진 오르만디
1983년캐서린 던햄, 엘리아 카잔, 프랭크 시나트라, 제임스 스튜어트, 버질 톰슨
1984년레나 혼, 대니 케이, 잔카를로 메노티, 아서 밀러, 아이작 스턴
1985년머스 커닝햄, 밥 호프, 아이린 던, 앨런 제이 러너, 프레더릭 로, 베벌리 실즈
1986년루실 볼, 레이 찰스, 제시카 텐디, 험 크로닌, 예후디 메뉴힌, 앤서니 튜더
1987년페리 코모,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베티 데이비스, 네이선 밀스타인, 알윈 니콜라이
1988년앨빈 에일리, 조지 번즈, 마이어나 로이, 알렉산더 슈나이더, 로저 L. 스티븐스
1989년해리 벨라폰테, 클로데트 콜베르, 알렉산드라 다닐로바, 메리 마틴, 윌리엄 슈만
1990년디지 길레스피, 캐서린 헵번, 라이즈 스티븐스, 줄리 스턴, 빌리 와일더
1991년베티 콤덴, 로이 에이커프, 아돌프 그린, 헤럴드 니콜라스, 로버트 쇼, 그레고리 펙
1992년라이어널 햄프턴, 폴 뉴먼, 조앤 우드워드, 진저 로저스,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폴 타일러
1993년자니 카슨, 아서 미첼, 게오르그 솔티, 스티븐 손드하임, 매리언 윌리엄스
1994년커크 더글러스, 아레사 프랭클린, 모튼 굴드, 해럴드 프린스, 피트 시거
1995년자크 당부아즈, 메릴린 혼, 비비 킹, 시드니 포이티어, 닐 사이먼
1996년에드워드 올비, 베니 카터, 조니 캐쉬, 잭 레먼, 마리아 톨치프
1997년로렌 바콜, 밥 딜런, 찰턴 헤스턴, 제시 노먼, 에드워드 빌렐라
1998년빌 코스비, 프레드 엡, 존 칸더, 윌리 넬슨, 앙드레 프레빈, 셜리 템플
1999년빅터 보르게, 숀 코너리, 주디스 재스민, 제이슨 로바즈, 스티비 원더
2000년미하일 바리시니코프, 척 베리, 플라시도 도밍고, 클린트 이스트우드, 안젤라 랜스버리
21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01년줄리 앤드류스, 밴 클라이번, 퀸시 존스, 잭 니콜슨, 루치아노 파바로티
2002년제임스 얼 존스, 제임스 리바인, 치타 리베라, 폴 사이먼, 엘리자베스 테일러
2003년제임스 브라운, 캐럴 버넷, 마이크 니콜스, 로레타 린, 이작 펄만
2004년워렌 비티, 오시 데이비스 & 루비 리, 엘튼 존, 조앤 서덜랜드, 존 윌리엄스
2005년토니 베넷, 수잔 파렐, 줄리 해리스, 로버트 레드포드, 티나 터너
2006년주빈 메타, 돌리 파튼, 스모키 로빈슨, 스티븐 스필버그, 앤드루 로이드 웨버
2007년레온 플라이셔, 스티브 마틴, 다이애나 로스, 마틴 스코세이지, 브라이언 윌슨
2008년모건 프리먼, 조지 존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트와일라 사프, 더 후
2009년멜 브룩스, 데이브 브루벡, 그레이스 범브리, 로버트 드 니로, 브루스 스프링스틴
2010년멀 해거드, 제리 허먼, 빌 존스, 폴 매카트니, 오프라 윈프리
2011년바바라 쿡, 닐 다이아몬드, 요요마, 소니 롤린스, 메릴 스트립
2012년버디 가이, 더스틴 호프먼, 레드 제플린, 나탈리아 마라코바
2013년마티나 아로요, 허비 행콕, 빌리 조엘, 셜리 맥클레인, 카를로스 산타나
2014년알 그린, 톰 행크스, 퍼트리샤 맥브라이드, 스팅, 릴리 톰린
2015년캐롤 킹, 조지 루카스, 리타 모레노, 오자와 세이지, 시실리 타이슨
2016년마르타 아르헤리치, 이글스, 알 파치노, 마비스 스태플스, 제임스 테일러
2017년카르멘 드 라발라데, 노만 레어, 글로리아 에스테판, LL 쿨 J, 라이오넬 리치
2018년셰어, 필립 글래스, 레바 매킨타이어, 웨인 쇼터, 해밀턴 팀 (린 마누엘 미란다, 토마스 카일, 알렉스 라카뫄르, 앤디 블렝큰불러)
2019년어스, 윈드 앤 파이어, 세서미 스트리트, 샐리 필드, 린다 론스태드, 마이클 틸슨 토머스
2020년데비 엘렌, 조안 바에즈, 가스 브룩스, 미도리, 딕 반 다이크
2021년저스티노 디아즈, 베리 골디, 론 마이클스, 베트 미들러, 조니 미첼
2022년조지 클루니, 에이미 그랜트, 글래디스 나이트, 타니아 레온, U2 (보노, 디 에지, 애덤 클레이튼, 래리 뮬렌 주니어)
2023년퀸 라티파, 르네 플레밍, 빌리 크리스탈, 디안 워윅, 배리 깁



파일:goldenglobe_cecildemil.png
골든글로브 세실 B. 드밀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52년1953년1954년1955년1956년
세실 B. 드밀월트 디즈니대릴 F. 재넉진 허숄트잭 L. 워너
1957년1958년1959년1960년1961년
머빈 르로이버디 아들러모리스 슈발리에빙 크로스비프레드 아스테어
1962년1963년1964년1965년1966년
주디 갈랜드밥 호프조셉 E. 레빈제임스 스튜어트존 웨인
1967년1968년1969년1970년1971년
찰턴 헤스턴커크 더글러스그레고리 펙조안 크로포드프랭크 시나트라
1972년1973년1974년1975년1977년
앨프리드 히치콕새뮤얼 골드윈베티 데이비스핼 B. 월리스월터 미리쉬
1978년1979년1980년1981년1982년
레드 스켈톤루실 볼헨리 폰다진 켈리시드니 포이티어
1983년1984년1985년1986년1987년
로런스 올리비에폴 뉴먼엘리자베스 테일러바버라 스탠윅안소니 퀸
1988년1989년1990년1991년1992년
클린트 이스트우드도리스 데이오드리 헵번잭 레먼로버트 미첨
1993년1994년1995년1996년1997년
로렌 바콜로버트 레드포드소피아 로렌숀 코너리더스틴 호프먼
1998년1999년2000년2001년2002년
셜리 맥클레인잭 니콜슨바브라 스트라이샌드알 파치노해리슨 포드
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
진 해크먼마이클 더글러스로빈 윌리엄스안소니 홉킨스워렌 비티
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
스티븐 스필버그마틴 스코세이지로버트 드 니로모건 프리먼조디 포스터
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우디 앨런조지 클루니덴젤 워싱턴메릴 스트립오프라 윈프리
2019년2020년2021년2023년
제프 브리지스톰 행크스제인 폰다에디 머피



파일:screen_actors_guild_logo.png
영화배우조합 평생 공로상
[ 펼치기 · 접기 ]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oscar_logo.svg
남우주연상
제35회
(1963년)
제36회
(1964년)
제37회
(1965년)
그레고리 펙
(앵무새 죽이기)
시드니 푸아티에이
(들백합)
렉스 해리슨
(마이 페어 레이디)

역대 골든 글로브 시상식
파일:goldenglobe.png
남우주연상 - 드라마(영화)
제20회
(1963년)
제21회
(1964년)
제22회
(1965년)
그레고리 펙
(앵무새 죽이기)
시드니 푸아티에이
(들백합)
피터 오툴
(베켓)

역대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BAFTA 로고.svg
남우주연상
제11회
(1958년)
제12회
(1959년)
제13회
(1960년)
헨리 폰다
(12인의 성난 사람들)
알렉 기네스
(콰이 강의 다리)
시드니 푸아티에이
(흑과 백)

트레버 하워드
(열쇠)
잭 레먼
(뜨거운 것이 좋아)
피터 셀러스
(아임 올 라이트 잭)

역대 베를린 국제 영화제
파일:베를린 국제 영화제 로고.svg
은곰상 - 남자연기자상
제7회
(1957년)
제8회
(1958년)
제9회
(1959년)
페드로 인판테
(티족)
시드니 푸아티에이
(흑과 백)
장 가방
(더 매그니피센트)
제12회
(1962년)
제13회
(1963년)
제14회
(1964년)
제임스 스튜어트
(미스터 홉스 휴가 가다)
시드니 푸아티에이
(들백합)
로드 스타이거
(전당포)

역대 그래미 시상식
파일:external/www.brooklynvegan.com/grammy.jpg
Best Spoken Word Album
제42회
(2000년)
제43회
(2001년)
제44회
(2002년)
러바 버튼
“The Autobiography of Martin Luther King, Jr.”
시드니 푸아티에이
“The Measure of a Man”
퀸시 존스
“Q: The Autobiography of Quincy Jones”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
[ 펼치기 · 접기 ]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svg
이름시드니 푸아티에이
SIDNEY POITIER
분야영화
입성날짜1994년 2월 1일
위치7065 Hollywood Blvd.

Sir Sidney Poitier
{{{#white
시드니 푸아티에 경}}}
KBE
파일:sidneypoitier.jpg
본명시드니 L. 푸아티에이
Sidney L. Poitier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바하마 국기.svg

출생1927년 2월 20일
미국 플로리다마이애미
사망2022년 1월 6일 (향년 94세)
미국 캘리포니아베벌리힐스
신장189cm
학력American Negro Theater
직업배우, 감독, 각본가, 외교관
경력주일 바하마 특명전권대사 (1997~2007)
영화 데뷔1950년, '노 웨이 아웃'
활동 기간1960년 ~ 2022년
가족슬하 6녀
계급미국 육군 중위
1. 개요
2. 위상
3. 상세
4. 주요 작품
4.1. 출연
4.2. 연출
5. 사생활
6. 여담



1. 개요[편집]


미국의 배우, 감독.


2. 위상[편집]


1964년에 <들백합>으로 흑인 배우 최초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수상한 주연급 배우다. 골든 글로브BAFTA, 그래미 등도 수상했고,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은 2009년 민간인 최고 영예인 자유 메달을 걸어주기도 했다.

인종차별 주제를 다룬 <푸른 하늘 아래서>(1965)로 미 전역에서 인지도를 얻었다. <밤의 열기 속으로>(1967)에서 맡은 박식한 형사 버질 팁스 역도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 한국에서는 같은 해 나온 <언제나 마음은 태양>(1967)으로 유명하다.

선하고 바른 이미지로 자주 나왔다. 덕분에 게리 쿠퍼와 함께 100대 영감을 주는 영화 목록에 출연작을 다섯 편 올린 유이한 배우다.


3. 상세[편집]


성은 영어로 푸아티에이다. 바하마의 고향과 미국 모두에서 동일하게 푸아티에이라고 불러왔으며, 생전에 본인도 언제나 그렇게 발음했다. 영어권에선 시드니 푸아티에이, 프랑스어권에선 시드 푸아티에. 시드니 포이티어는 한국에서만 잘못 굳어진 명칭이다.

대표작 중 하나인 <들백합>(1963)은 동독에서 망명을 와 미국 남부 어느 시골에서 가톨릭 전도를 하고 있던 가난한 수녀들이 우연히 만난 호머를 하나님이 보낸 일꾼으로 믿고 교회 건립 등 그간 자신들이 희망하던 일을 막무가내로 시키는 내용이다. 호머는 수녀들을 위해 아낌없는 노역 봉사를 하며 지내다가 소울 장단의 노래를 이용해 영어를 가르치려고 'Amen'을 부른다. 이 영화의 시청자라면 뇌리에 남아 있을 감흥 넘치는 장면이다.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수상작임에도 국내에서 개봉관 상영은 되지 않았으며, 훗날 1980년 MBC에서 성탄절 특집으로 방영되었다.

1967년 개봉한 <밤의 열기 속으로>(1967)는 200만 달러로 만들어 2343만 달러를 벌어들이는 대박을 쳤으며 작품이 크게 호평 받았다. 같이 출연한 백인 배우 로드 스타이거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탔다. 존 볼[1]이 쓴 동명 소설이 원작으로, 주인공 버질 팁스는 흑인 탐정 및 수사관 캐릭터의 효시로 평가된다. "They call me Mister Tibbs!"는 아직도 명대사로 꼽히며 1970년에 나온 속편 제목으로도 쓰였다. 이 속편의 한국 제목은 "외로운 추적"이다. 속편은 평이 좋지 않으나 역시 흥행했다. 1971년에 3편인 <The Organization>이 나왔는데 한국 제목은 "대혈투."

감독 일도 활발히 했는데, 특히 1980년에 개봉한 <폭소 감방>은 흑인 감독 연출작 최초로 1억불을 돌파했다. 극장 수익으로 제작비의 10배를 벌어들이며 1980년도 전체 흥행 3위를 기록했으며, 세 번째로 100만 달러 이상을 번 컬럼비아 제작 영화이기도 하다.

2000년대 이후로 거의 은퇴한 상태였다.

영연방 왕국바하마 출신이고 미국 국적도 획득한 이중국적자이기 때문에 영국 기사 작위와 자유 훈장을 동시에 수상한 사람이기도 하다. 1997-2007년 주일본 바하마대사, 2002-2007년 주유네스코 바하마 대사를 맡은 이력도 있다.

2022년 1월 6일, 캘리포니아에서 숨을 거뒀다.


4. 주요 작품[편집]



4.1. 출연[편집]


  • 노 웨이 아웃(No Way Out), 1950
  • 내 사랑 나의 조국(Cry, the Beloved Country), 1951
  • Go, Man, Go!, 1954
  • 폭력교실(Blackboard Jungle), 1955
  • 흑아(Something of Value), 1957
  • 도시의 가장자리(Edge of the City), 1957
  • 검은 태양은 밝아온다(Band of Angels), 1957
  • 흑과 백(The Defiant Ones), 1958
  • 포기와 베스(Porgy and Bess), 1959
  • 월터의 선택(A Raisin in the Sun), 1961
  • 파리 블루스(Paris Blues), 1961
  • Pressure Point, 1962
  • 들백합(Lilies of the Field), 1963
  • 전함 바이킹(The Long Ships), 1964
  • 베드포드 사건(The Bedford Incident), 1965
  • 푸른 하늘 아래서(A Patch of Blue), 1965[2]
  • 가는 실(The Slender Thread), 1965
  • 디아블로 요새(Duel at Diablo), 1966
  • 언제나 마음은 태양(To Sir, with Love), 1967
  • 밤의 열기 속으로(In the Heat of the Night), 1967
  • 초대받지 않은 손님(Guess Who's Coming to Dinner), 1967
  • 외로운 추적(They call me Mister Tibbs!), 1970
  • 대혈투(The Organization), 1971
  • 벅 앤 프리처(Buck and the Preacher), 1972
  • 업타운 새터데이 나이트(Uptown Saturday Night), 1974
  • Let's Do It Again, 1975
  • 25시의 추적(Shoot To Kill), 1988
  • Separate but Equal, 1991[3]
  • 스니커즈(Sneakers), 1992
  • 자칼(The Jackal), 1997


4.2. 연출[편집]


  • 벅 앤 프리처(Buck and the Preacher), 1972
  • A Warm December, 1973
  • 업타운 새터데이 나이트(Uptown Saturday Night), 1974
  • Let's Do It Again, 1975
  • A Piece of the Action, 1977
  • 폭소 감방(Stir Crazy), 1980
  • 행키 팽키(Hanky Panky), 1982
  • Fast Forward, 1985
  • 유령 아빠(Ghost Dad), 1990


5. 사생활[편집]


역시 전설적인 8살 연하의 흑인 여배우 다이앤 캐럴(Diahann Carroll)과 작품을 하며 만나 9년 동안 거의 공개적으로 불륜 관계를 유지해 대중의 큰 관심을 모은 적이 있다. 푸아티에이와 캐럴 모두 각자 배우자가 따로 있었다. 푸아티에이보다 약 3년 앞선 2019년 세상을 떴다.
파일:September-1965_png-692x900.png
파일:Diahann Carroll_.jpg
파일:Diahann Carroll.jpg


6. 여담[편집]


  • 자녀들과 돈독한 관계를 유지했다.

  • 딸 시드니 타미이아 푸아티에이[4]도 배우로 활동 중이다. 시드니 푸아티에이는 딸의 연기력이 자신보다 뛰어나다며 딸자랑을 한 적도 있다. 그러나 자녀들은 자신처럼 배우의 길을 걷지 않길 바랐다고 한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3년 나이를 속이고 미 육군에 입대했다. 전투에 참가하진 않고 뉴욕주에 있는 보훈병원에서 복무했는데, 병원이 퇴역군인 환자들을 대하는 태도에 화가 나 제대를 하기 위해 정신병에 걸린 척 연기했다. 담당 군의관에게 이 사실을 고백했지만, 군의관은 이 사실을 동정적으로 보았고 결국 1944년에 제대한다.


  • 제74회 아카데미 시상식은 진행에 흑인 여배우 우피 골드버그, 남우주연상은 1964년 푸아티에이의 흑인 남자배우 첫 수상 후 38년만에 덴젤 워싱턴이 역대 2번째 수상을 했으며, 여우주연상은 흑인 여배우 최초로 할리 베리가 수상하는 등 흑인 배우들의 잔치였다. 남우주연상을 받으면서 워싱턴은 "40년간 시드니를 뒤쫓았는데 오늘 같은 날 같은 시상식에서 시드니에게 트로피를 시상하고 나서 같은 트로피를 받았다"고 소감을 말했다. 그리고 객석에 앉아 있던 푸아티에이에게 "시드니, 언제나 당신을 뒤쫓겠습니다. 언제나 당신의 발자취를 따르겠습니다."라며 헌사를 바쳤다. 이에 푸아티에이가 자리에서 일어나 함께 서로를 바라보고 밝게 웃으며 그날 자신들이 받은 오스카 트로피를 들어올린 모습은 이날 아카데미 시상식의 명장면으로 꼽힌다.

  • 2022년 Apple Originals 다큐멘터리 <시드니: 할리우드 전설의 진짜 이야기>가 만들어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4 08:31:39에 나무위키 시드니 푸아티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11 - 1988.[2] BAFTA 남우주연상 후보.[3] 골든 글로브에미상 남우주연상 후보.[4] Sydney Tamiia Poitier. 1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