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마데라 코이치/출연작

덤프버전 : r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야마데라 코이치

1. 개요
1.1. 애니메이션
1.1.1. TV 애니메이션
1.1.1.1. 1980년대
1.1.1.2. 1990년대
1.1.1.3. 2000년대
1.1.1.4. 2010년대
1.1.1.5. 2020년대
1.1.2. OVA
1.1.3. Web 애니메이션
1.1.4. 극장 애니메이션
1.2. 특촬
1.3. 게임
1.4. 외화 더빙
1.5. 기타



1. 개요[편집]


일본 성우 야마데라 코이치의 출연작을 정리한 문서.

김환진과 겹치는 배역은 (★) 표시
이인성과 겹치는 배역은 (☆) 표시
권창욱과 겹치는 배역은 (@)표시

1.1. 애니메이션[편집]



1.1.1. TV 애니메이션[편집]



1.1.1.1. 1980년대 [편집]

  • 1986년
    • 도리모구다!! - 쿠키, 모구라, 남자
    • 보스코 어드벤쳐 - 오터




1.1.1.2. 1990년대 [편집]




  • 1994년
    • X-MEN[1]- 사이클롭스
    • 용자경찰 제이데커 - 미르 아미고


  • 1997년
    • 학급왕 야마자키 - 야마데라
    • 시티헌터 Good-bye My Sweet Heart - 프로페서

  • 1998년
    • 카우보이 비밥[2] - 스파이크 스피겔, 아인(예고편)
    • 돗키리 닥터 - 니시키코지 하루카(☆), 나레이션
    • 포켓몬스터 - 케이타의 파오리
    • 루팡 3세 불꽃의 기억~TOKYO CRISIS~ - 마이클 스즈키★


1.1.1.3. 2000년대 [편집]

  • 2000년
    • 양지의 나무 - 테즈카 료안







  • 2007년
    • 오오에도 로켓 - 긴지로

  • 2008년
    • 앨리슨과 릴리아 - 카 베네딕트
    • 스티치! - 스티치★, 유나의 아버지
    • 미치코와 핫친 - 다니엘라
    • 얏타맨 - 나레이터, 얏타메카 등[4]


1.1.1.4. 2010년대 [편집]

  • 2011년
    • 애플시드 13 - 브리아레오스
    • 루팡 3세 피의 각인 ~영원의 Mermaid~ - 제니가타 경부[5]









1.1.1.5. 2020년대 [편집]





  • 2024년

1.1.2. OVA[편집]




  • 1988년
    • 가이 요마각성 - 가이[9]
    • 기갑엽병 메로우링크 - 볼프
    • 공포의 바이오 인간 최종 교사 - 편의점 점장
    • 울부짖는 용 - 히라마츠
    • 레이나 검랑전설 - 벨트 자르크
    • 초신전설 우로츠키동자 - 니키 유이치

  • 1989년
    • 어셈블 인서트 - 부하 참
    • ARIEL - 오루쿠스 부관 데모노바
    • 강식장갑 가이버 - 젤브브스
    • 허무전사 미로쿠 - 핫토리 한조
    • 조상님 만만세! - 타타라 반나이
    • 마신영웅전 와타루 -마신산편- - 와타리베 쿠라마
    • 더 보그맨 라스트배틀 - 커티스
    • 초수기신 단쿠가 -백열의 종장- - 아벨
    • 풍마의 코지로 - 린표
    • 미드나잇 아이 고쿠우 - 검시관
    • 메가존 23 파트 3 - 시온



  • 1992년
    • OZ - 오티스 네이트
    • 가이 SECOND TARGET - 황금의 여신 편 - - 가이[10]
    • 그린레전드 란 - 치민
    • 보물섬 메모리얼 노을파도라고 불린 남자 - 짐 호킨스
    • 도쿄 바빌론 - 야마카와 형사



  • 1995년
    • 아이돌 방위대 허밍 버드 - 야지마
    • 진 여신전생 도쿄묵시록 - 쿠키 타케히코
    • 비경탐험 팜&이리 - 미겔
    • 요정공주 렌 - 타카라다 고우
    • 란마 1/2 슈퍼 - 히비키 료가/P짱



  • 1998년
    • 화성여단 다나사이트999.9 - 하록
    • 퀸 에메랄다스 - 오오야마 토치로
    • 지오브리더즈 - 이리에
    • 배틀 애슬릿테스 대운동회 - 캐스터

  • 1999년
    • 최유기 - 사오정[11]
    • 태양의 배 솔비앙카 - 산쵸
    • 하록사가 니벨룽겐의 반지 라인의 황금 - 하록







1.1.3. Web 애니메이션[편집]


  • 2006년
    • 막말기관설 이로하니호헤토 - 사카모토 료마





1.1.4. 극장 애니메이션[편집]


  • 날아라 호빵맨/극장판 시리즈 - 치즈, 카바오 군, 돌솥밥 맨 등
  • 포켓몬스터 극장판 - 첫 작품인 뮤츠의 역습부터 매년 출연 중.[12]
야마데라 코이치의 포켓몬스터 극장판 배역 목록 [ 펼치기 / 접기 ]
상영연도기수제목배역[1]
1998M01뮤츠의 역습
1999M02루기아의 탄생루기아
2000M03결정탑의 제왕 앤테이데이빗[2]
2001M04세레비, 시간을 초월한 만남헌터[3]
2002M05물의 도시의 수호신 라티아스와 라티오스롯시[4]
2003M06아름다운 소원의 별 지라치버틀러
2004M07열공의 방문자 테오키스론도 박사
2005M08뮤와 파동의 용사 루카리오아론
2006M09포켓몬 레인저와 바다의 왕자 마나피잭 워커
2007M10디아루가 VS 펄기아 VS 다크라이알베르트 남작
2008M11기라티나와 하늘의 꽃다발 쉐이미무한 그레이스랜드
2009M12아르세우스 초극의 시공으로기신
2010M13환영의 패왕 조로아크달건[5]
2011M14비크티니와 영웅 시리즈모몬토[6]
2012M15큐레무 VS 성검사 케르디오코바르온
2013M16신의 속도 게노세크트 뮤츠의 각성붉은 게노세크트
2014M17파괴의 포켓몬과 디안시닌자 라이오트
2015M18후파: 광륜의 초마신굴레를 벗어난 후파
2016M19볼케니온: 기계왕국의 비밀자비스
2017M20너로 정했다!마샤도
2018M21모두의 이야기올리버 시장
제라오라
2019M22뮤츠의 역습 EVOLUTION
2020M23정글의 아이, 코코제드 박사
[1] 악역이나 대립하는 존재인 경우는 볼드 처리.[2] 슈리박사의 조수.[3] 과거 장면에서 세레비를 잡으려다 놓치고 현재에서 비샤스에게 마기라스를 빼앗긴 노 헌터.[4] 알토 마레 레이스 전년도 우승자. 작중에 펼쳐진 레이스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 레이스에서의 사용 포켓몬은 당시 극장판 선행공개였던 고래왕자.[5] 그링스 나흐벨츠의 부하.[6] 수확제 토너먼트 개최자.







  • 1991년
    • 월광의 피어스 유메미와 은장미 기사단 - 마왕자
    • 란마 1/2 중국 침곤륜 대결전! 규칙 깨기 격투편 - 히비키 료가
    • 인어공주 TV 시리즈 - 세바스찬[13]'





  • 1996년
    • APO APO 월드 자이언트 바바 90분 한판승부 - 자이언트 바바
    • X - 아리스가와 소라타
    • 타이니 툰 - 플러키 덕
    • 미녀와 야수 - 야수
    • 마스크 애니메이션 - 스탠리 입키스
    • 토이 스토리 - 우디[14]
  • 1997년



  • 2000년
    • 알렉산더 전기 극장판 - 다리우스 3세





  • 2005년
    • 로봇 - 팬더(로빈 윌리엄스)
    • 폭풍우 치는 밤에 - 바리[15]
    • 명탐정 코난 수평선상의 음모 - 쿠사카 히로나리[16]
    • 원더풀 데이즈 - 수하[17]



  • 2008년
    • GHOST IN THE SHELL/공각기동대 2.0 - 토구사
    • HIGHLANDER 하이랜더 ~디렉터스 컷판~ - 마루카스 · 오쿠타비우스




  • 2012년
    • 노비타와 기적의 섬 ~애니멀 어드벤처~ - 샤먼
    • 방과후 미드나이터즈 - 큔스트리크
    • 매직 트리 하우스 - 파파
    • 모모와 다락방의 수상한 요괴들 - 카와
    • 쾌걸 조로리의 대대대대모험 - 조로리, 조론드 론 돌려막기[18]
    • 몬스터 호텔 시리즈 - 드라큘라
    • 슈가 러쉬 - 랄프












  • 2023년


1.2. 특촬[편집]







1.3. 게임[편집]
































  • 2021년
    • 퍼펙트! 슈퍼 몽키 볼 1&2 리메이크 - 곤곤


  • 2023년
    • 돌아온 명탐정 피카츄 - 피카츄[22]


1.4. 외화 더빙[편집]




1.5. 기타[편집]


  • 데드볼 - 아나운서[24]
  • 우라카라 - 나레이션
  • 제니가타 경부 - 폭탄범

[1] TV 애니메이션이고 미국에서는 1992년 ~ 1997년에 방송, 일본에서는 TV 도쿄에서 1994년 ~ 1995년까지 방송했다.[2] DVD 부록인 오디오 코멘터리에서 "처음 만나는 사람에게 카우보이 비밥을 보여준 뒤, 재미없다고 하는 사람과는 친하게 지내지 않는다."라고 할 정도로 카우보이 비밥의 팬을 자처한다.[3] 16화에 등장하는 단역.[4] 정말 온갖 엑스트라도 많이 맡았고 극장판에선 1인 16역을 한 적도 있다(…).[5] 나야 고로에 이은 2대.[6] 2005년에 개봉되었던 영화판에서도 해당 배역을 담당했다.[7] 대학교 당시 라쿠고 연구회에서 활동했었다고 한다.[8] 기존 성우인 마스오카 히로시8월 5일 부로 졸업 후 후임으로 맡게 되었다.[9] 성인 애니라 성우진이 비공개지만 1992년에 발매된 그런 요소들을 제거하고 재편집한 가이 요마각성 특별 편집판에는 나와있다.[10] 2화의 엔딩곡인 星屑の声に-I'm Stranger-를 부르기도 했다.[11] 1999년판 성우진이 호오가 많이갈리고 유일하게 교체되지않은 이시다 아키라를 뺀다면 그나마 가장 낫단 평을 받았고 작가도 제법 좋아하는 성우라고 하나 결국 이 배역은 히라타 히로아키로 교체(…) 김환진 성우하고 겹칠 뻔했다.[12] 어느 방송에서 19기까지의 극장판에서 맡은 역할을 전부 정리하기도 했다. 파일:external/pbs.twimg.com/Cxe8etNUcAAqk1x.jpg[13] TV시리즈 한정이며 애니메이션 극장 개봉/재녹음판은 카미죠 츠네히코[14] 녹음까지 마쳤는데, 배급사에서 유명한 사람을 섭외하면 성공한다는 마케팅을 내세우는 바람에 비성우 출신 배우인 카라사와 토시아키로 배역이 교체되는 일을 당하고 말았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배급사의 잘못이지 카라사와 토시아키의 잘못이 아니므로 야마데라 본인도 카라사와 토시아키에게 악감정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고 한다. 둘은 이후 드라마 모두의 집, 영화 20세기 소년 등에 같이 출연하기도 했으며, 카라사와의 우디 연기 또한 호평한 바 있다. 또한 야마데라 본인은 이 일을 기점으로 성우도 지명도를 쌓지 않으면 안 된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어 더욱 더 노력하여 성우들의 입지를 끌어올리는데 크게 공헌했다.[15] 후에 TV판에서도 해당 캐릭터를 담당한다.[16] 한국 더빙 성우가 공통적으로 스파이크 스피겔을 맡았던 구자형이다.[17] 원판은 최지훈이 담당했는데 그 당시에는 성우가 아닌 연극배우였던지라 초월더빙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18] 그래도 대한민국 성우조로리역을 가성비 제로인 개그맨이 강탈한 거에 비하면 100억 배는 낫다.[19] 브루스 웨인 / 배트맨도 담당.[20] 본래 성우인 이노우에 노리히로의 건강 문제로 변경된 것으로 추정된다.[21] 1인5역. 그중엔 어린 여자에서부터 아저씨 로커 목소리 까지 있으며, 기계목소리도 있는데 심지어 이는 변조는 하나도 안하고 성우 본인이 직접 기계목소리를 낸것이라고 한다.[22] 전작에서는 오오카와 토오루가 담당.[23] 참고로 메리 포핀스 역은 미녀와 야수 역할을 했던 이토 에리다.[24] B급 영화 쪽에서 나름 악명 높은(?) 스시 타이푼의 영화로, 성우가 아닌 아닌 배우로 연기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야마데라 코이치 문서의 r38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야마데라 코이치 문서의 r38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08 14:58:54에 나무위키 야마데라 코이치/출연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