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관련 정보
(♥ 0)
1. 개요[편집]
철도와 관련된 정보들을 정리한 문서.
2. 철도 노선 정보[편집]
2.1. 종류별 목록[편집]
2.1.1. 고속철도[편집]
2.1.2. 일반철도[편집]
- 일반철도 목록 문서 참조.
2.1.3. 광역철도/도시철도/노면전차[편집]
2.2. 국가별 목록[편집]
2.2.1. 대한민국/북한[편집]
2.2.2. 해외[편집]
3. 철도차량 관련 정보[편집]
자세한 내용은 철도차량 관련 정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역 관련 정보[편집]
자세한 내용은 역 관련 정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1. 국가별 목록[편집]
4.1.1. 대한민국[편집]
4.1.2. 일본[편집]
4.1.3. 기타[편집]
5. 지역별 철도 현황[2][편집]
5.1. 아시아[편집]
5.1.1. 대한민국/북한[편집]
- 북한의 철도 환경
- 북한의 철도 환경/역사
- 열차 등급
5.1.2. 일본[편집]
- 스룻토 간사이 패스
- 청춘 18 티켓 (JR)
- 홋카이도&동일본 패스 (JR)
- JR패스 (JR)
- 교통카드
5.1.3. 중화권[편집]
5.1.3.1. 중국[편집]
5.1.3.2. 대만[편집]
5.1.4. 기타[편집]
5.2. 유럽[편집]
5.2.1. 러시아[편집]
5.3. 아메리카[편집]
5.3.1. 북미[편집]
5.3.2. 남미[편집]
- 브라질의 철도 환경
- 아르헨티나의 철도 환경
- 콜롬비아
-
드라이 운하(구상 중)
-
5.4. 아프리카/오세아니아[편집]
6. 안내방송/멜로디[편집]
- 역 멜로디[12]
- 안내방송/역: 승강장 내에서 들을 수 있는 안내방송을 정리한 문서이다.
- 안내방송/열차: 열차 내에서 들을 수 있는 안내방송을 정리한 문서이다.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를 제외한 일반열차, 외국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 안내방송/열차/도시철도: 문서가 너무 길어져 위의 문서에서 국내의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 안내방송을 따로 분리해 정리한 문서이다.
- 안내방송 성우: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의 현직 안내방송 성우 명단.
- 사랑을 전하세요 코레일 OO역입니다
7. 용어[편집]
7.1. 종류[편집]
7.2. 철도 회사/운영 주체[편집]
7.3. 시설[편집]
- 폐색구간(운전허용구간)
- 안전장치
- 데드맨 스위치
- 안전펜스-스크린도어
- 철도신호기
- 열차집중제어장치
- 급경사를 극복하기 위한 시설[13]
- 강삭철도
- 환형궤도(똬리굴)
- 스위치백
- 치상궤도(아프트식 궤도)
- 서비스 시설
- 갑종위탁발매소
- 을종위탁발매소
- 유실물 관리소
- 기타 시설
- 전철변전소
- 꽈배기굴
- 전차대(턴테이블)
- 급수탑
- 건널목
- 차량사업소
- 철도 연락선
- 기관차방호시설
7.4. 기술/규격/건설[편집]
7.5. 운영[편집]
- 간선철도(주요 철도 노선)
- 승차권
- 전산망
- 차량사업소
- 회차
- 입환
- 회송
- 회차지점
- 시운전
- 고립 노선
- 근성열차
- 공기수송 - 가축수송
- 짬뽕편성
- 국제열차
- 등산철도
- 셔틀열차
- 야간열차
- 열차의 등급
- 열차 운행 도표(다이어)
- 4시간의 벽
- 편성
- 장폐단
- 운전정리
- 타절(중간역 시종착)
- 임시열차
- 열리지 않는 건널목
- 강차량(降車量) [14]
- 직통운전
- 선로공유
- 복합열차
- 열차지연
- 철도 교통/이용 방식
7.6. 동호활동/속어[편집]
- 행사
- 철도 동호인
- 잡지
- 철도 모형
- 철도박물관(한국)
- 철도박물관(동음이의어)(해외)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 오마와리
- 서대동부
- 선개통 후완공
- 티스푼 공사
- 드리프트/철도
7.7. 관계 법령[편집]
- 철도사업법
- 철도건설법
- 도시철도법
- 궤도운송법
- 철도건설규칙
- 도시철도건설규칙
- 철도안전법
- 철도산업발전기본법
- 철도차량운전규칙
- 도시철도운전규칙
- 역세권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역세권법)
-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광역교통법, 대광법)
- 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대중교통법)
- 철도물류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철도물류산업법)
- 철도거리표[15]
7.8. 학문[편집]
7.9. 직종[편집]
7.9.1. 철도 관련 자격증[편집]
이 단락은 기술자격/자격증의 명칭에 직접적으로 '철도'가 명시, 언급되거나 주 업무가 철도현장에서 이뤄지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자격증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이외에 보조적으로 철도 업무와 연관지을 수 있는 자격증(예를 들어 물류관리사 같은)은 아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더 많다. 과거에는 객화차정비기능사 1, 2급이나 철도동력차기관정비기능사 1, 2급, 보선기능사 1, 2급, 열차조작기능사같이 세분화되어
덧붙여, 철도 관련 기술자격증이라고 되어 있지만 사실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이 자격종목들을 분류해놓은 분류군을 보면 의외로 제법 흩어져있다. 다시 말해, '철도'라는 분류에 들어가는 자격종목은 의외로 몇 없다는 이야기. 일례로 철도토목 관련 자격종목은 '토목'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철도신호 및 전기철도 관련 자격종목은 '전기'로, 철도운송산업기사는 '운전운송'으로 분류되어 있다. 제대로 '철도' 분류군에 속한 자격종목은 차량 및 차량정비가 전부.
2021년부터는 필기시험 응시 가능 횟수가 2년에 한 번씩으로 줄어드는 종목도 있다. 2022년 검정시행 조정제도 안내문(12)을 보면, 22년 검정시행 조정(22년 필기시험 미실시) 제도 적용 대상 종목이 나오는데 그 대상은 최근 3년간(공고 당시 기준은 2017년~2019년) 필기시험 연평균 응시인원이 50명 미만인 종목이다. 이 공고문에서 언급된 종목은 바로, 철도토목기능사, 철도차량정비기능사, 철도차량산업기사, 철도차량기사이다. 철도토목기능사는 3년간 평균 필기응시인원이 40.7명, 철도차량정비기능사는 3년간 평균 필기응시인원이 21.4명, 철도차량산업기사는 3년간 평균 필기응시인원이 9명, 철도차량기사는 3년간 평균 필기응시인원이 8.8명이라, 그 대상에 포함된 것이다. 2021년에 필기가 시행되었으니, 2022년에는 필기가 시행되지 않고, 2023년이 되어야 다음 필기시험이 시행된다.
그리고, 철도토목산업기사는 2022년에 폐지되었다.
7.9.2. 철도 관련 학과가 존재하는 대학[편집]
8. 관련 문서[편집]
8.1. 철도 사건 사고[편집]
8.2. 기록[편집]
8.2.1. 한반도[편집]
- 극점
[ 세부사항 펼치기 · 접기 ]
- 가장 깊은 신호장
- 일일 이용객 수(승하차) 최다
- 가장 긴 노선
- 가장 긴 터널
- 북한과 가장 가까운 전철역
8.2.2. 세계[편집]
- 가장 긴 편성
- 가장 긴 노선
- 최북단 역
- 가장 높은 역
- 이용객수 최다
- 세계 최초 노선
8.3. 미디어[편집]
[1] 노선은 노선 문단을 참조.[2] 노선은 노선 문단을 참조.[3] 구 KR패스[4] 오트레인패스 문서는 해당내용을 포함하여 이 문서로 통합되었다가 나드리 패스 출시로 DMZ PASS를 제외한 모든 패스권이 폐지되었다.[5] 관광전용패스들을 통합하여 만든 전 구간용 관광통합패스이다. 2017년 폐지.[6] 코레일의 할인카드만 서술된 문서.[7] 대만에서 도시철도를 가리키는 말. 틀:대만의 도시철도 노선의 내용을 한정으로 하는 단어로 보면 된다.[8] 타이완 철로관리국[패스] A B C D [9] 싱가포르의 우드랜즈 역도 말레이 철도가 관할한다.[열차등급] A B [운임] [승차권] [10] 철도 연계 페리[11] 계획 자체가 흑역사화되었다가 2018년부터 다시 추진하고 있다.[12] 얼씨구야가 수도권에서 전철을 타면 가장 많이 나오는 유명한 환승 음악이었고 2016년부터 부산의 동해선 광역전철에서도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서교공이 풍년(음악)으로 갈아치워 대표 이미지가 퇴색됐다.[13] 이러한 시설이 존재하는 이유는 스위치백 문서 참조.[14] 하차량을 뜻한다. 역 관련 항목에 나온 강차량은 제외의 뜻.[15] 철도 노선 현황을 다루는 '고시'이므로 넓게 보면 합당함.[16] 당초 본 문서에는 보선기능사(1998년 5월 9일 대통령령 제 15794호에 의해 보선기능사 2급에서 보선기능사로 통폐합됨.)로 등재되어 있었으나 해당 자격증이 드디어 2012년 12월 21일 고용노동부령 제 71호에 의해 철도토목기능사로 변경되었다. 다른 자격증 명칭 개정보단 상당히 늦은 편이다. 예를 들어 철도운송산업기사만 해도 2005년에 개정된 것.[17] 열차조작기능사로 시작된 이 자격증은, 현재 이 문서에 명시된 철도 관련 및 운전운송 분류군의 국가기술자격증 중에서 유일하게 비상대비자원관리법의 관리 하에 있는 자격증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이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더불어 관련 업종에 근무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전시에 군사작전지원, 군수지원업무 등에 기술인력으로 차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18] 2022년 폐지[19] 특이한 점이라면, 이 자격종목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철도' 분류에 넣지 않고 상기한 철도토목 관련 자격종목과 함께 '토목' 분류에 분류했다. 이는 1974년 10월 16일 대통령령 제 7283호에 의해 이 자격종목이 시작될 당시에는 '토목기술사(철도)'였기 때문이기도 하고 이 자격종목이 목표하는 인재상 역시 철도 분야의 토목 기술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을 요하는 직무를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 1991년 10월 31일 대통령령 제 13494호에 의해 '철도기술사'로 개명되고서도 죽 이어져오고 있다.[20] 광역/도시철도(192,179명)+고속/일반철도(101,919명), 2019년 기준[21] 2호선만 집계. 2019년 기준[22] 기네스북 기록[23] 시범용은 전에도 있었으나 정식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