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661 (r78판)

편집일시 :


파일:신길661번_현대저상.png파일:서울661번개선저상(1).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66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661 노선도.png
기점경기도 부천시 상동(자동차매매단지)종점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3가(경방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
종점
첫차04:00기점
첫차05:30
막차22:40막차00:15
평일배차10~25분주말배차20~25분
운수사명신길교통인가대수18대(예비 1대)[1]
노선자동차매매단지 - 법원.검찰청 - 중동역.부천여고 - KT부천지사 - 부천역 - 부천행정복지센터.원미어울마당 - 춘의역 - 도당사거리.도당중학교 - 여월중 - 성곡동행정복지센터.홈플러스여월점 - 원종역- 고강사거리 - 신월5동주민센터.신월중학교 - 화곡역 - 우장산역 - 발산역 - 강서구청사거리.서울디지털대학교 - 등촌역.강서보건소 - 염창역 - 당산역 - 영등포시장 - 경방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


2. 개요[편집]


신길교통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3.18㎞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62-1번 좌석버스(부천 상동 - 시청)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9601번으로 변경되었다.

  • 부천시의 여의도, 마포 수요를 잡으려는 요청에 따라 2004년 12월 19일에 '성산대교 - 연대 앞 - 사직공원 - 광화문 - 시청 - 충정로역 - 이대역 - 지상 신촌역' 구간이 '노들길 - 여의도 - 마포대로'로 변경되었다.[2] 하지만, 결과적으로 이로 인해 수요가 더 줄어들었다.[3]

  • 2005년 4월 1일에 여의도로 단축되면서 간선버스로 전환되었으며, 번호도 661번으로 바뀌었다.[4] 그와 동시에 영등포 구간이 '당산역 - 영등포시장역 - 영등포시장(영등포로터리 방향) - 영등포역(부천 방향) - 영등포시장역'으로 변경되었다.

  • 2005년 7월 10일에 '영등포역 → 전경련회관 → 여의도역 → 여의나루역 → 순복음교회 → 국회의사당 → 여의서로 → 영등포역' 구간이 '영등포역 → 여의도역 → 국제금융센터 → 여의도환승센터 → 영등포역'으로 단순화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1년 8월 25일에 70-2번과의 중복되는 노선 정리와 발산동 교통 개선을 위해 강서구청 경유에서 우장산역, 발산역 경유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3년 3월 19일에 여의도 구간 수요 저조[6]와 영등포교차로의 상습 정체로 소요시간 증가, 서울특별시의 장거리노선 단축의 일환으로 여의도환승센터에서 영등포역으로 단축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8년 11월 1일에 공휴일 첫차시각을 제외한 나머지 첫막차시각이 10분씩 앞당겨졌다. 이와 동시에 공휴일의 대당 1일 운행횟수가 감편되면서, 공휴일 운행 차량은 11대에서 12대로 1대가 증가했음에도 총 운행횟수는 감편되었다. 다만 1회 감회된 정도에 그쳐서, 배차간격에 생기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https://opengov.seoul.go.kr/sanction/16361886|관련 공문

  • 2019년 7월 6일을 기해 첫막차시각이 앞당겨지게 되었다.(평일/토요일의 기점 첫차시각은 04:20에서 04:10으로, 공휴일의 기점 첫차시각은 05:00에서 04:30으로, 그리고 전일에 걸쳐 23:20인 기점 막차시각은 23:10으로 조정) 이와 동시에 평일/토요일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 각각 5회/4회씩 감회되었으며, 평일 최소 배차간격이 1분 늘고 토요일 최소 배차간격은 1분 줄었다.관련 공문

  • 2020년 9월 1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배차간격이 13~18분/19~25분/18~25분에서 12~20분/20~25분/20~25분으로 조정되었다.(단, 전일에 걸쳐 1일 총 운행횟수는 변동 없음)관련 공문

  • 2020년 12월 21일을 기해 본래 23:10이던 기점 막차시각이 23:00으로 또 다시 10분 앞당겨졌다.관련 공문

  • 2021년 10월 11일을 기해 기점 첫막차시각이 또 다시 앞당겨졌다.(기점 첫차시각은 평일, 토요일 04:10/공휴일 04:30에서 전일 04:00로 조정, 기점 막차시각은 23:00에서 22:40으로 조정) 관련 공문

  • 2022년 9월 5일을 기해 상세 배차 조정이 실행됨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최소/최대 배차간격이 13~18분/19~25분/18~25분에서 10~25분/20~25분/20~25분으로 조정되었다.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배차간격이 자주 벌어지는 노선이다. 교통체증으로 인하여 토요일이나 공휴일에는 30분 넘게 오지 않을 때도 있다. 특히 평시에는 배차가 더욱 벌어진다.

  • 상술된 배차 문제 때문에 평시에는 큰 역할을 하지 못 하지만 심야 시간에는 수요가 그나마 다양하게 나오는 편이다. 심야 수요 이외에 주요 수요가 나오는 구간은 부천시에서 화곡역 ~ 발산역으로 가는 수요 및 강서로에서 강서보건소, 당산역, 영등포역으로 가는 수요가 있다. 특히 우장산역에서 당산역으로 가는 버스는 이 노선 뿐이다. 신월5동 일대에서 발산역으로 갈때 652번 타고 돌아가는 것보다 이 노선을 타는 게 더 유용하다. 또한 발산역 경유로 인해 부천에서 마곡동으로 갈 수 있는 유일한 노선이다.

  • 영등포에서 부천 방향 막차시간이 늦은 편이었다.[7] 2019년 상반기 시점 기준으로는 부천 방향 막차시각이 당산역 기준으로 대개는 00:50, 간혹 느리게 움직일 때는 00:55~01:00 경이다. 다만, 막차시각이 2018년부터만 따졌을 때도 총 4번에 걸쳐 앞당겨졌다.

  • 부천 방면 화곡역(16148) 정류소를 정차하는 반면 영등포역 방면 화곡역(16147) 정류소는 무정차 통과한다. 이는 이 노선 특성상 화곡역 사거리에서 바로 좌회전을 해야하기 때문.

  • 신길교통 부천발 노선 중 유일하게 7권역으로 가지 않는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661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8,311명-
2014년8,921명△ 610
2015년9,195명△ 274
2016년9,269명△ 74
2017년9,005명▽ 264
2018년8,520명▽ 485
2019년8,556명△ 36
2020년6,893명▽ 1,663
2021년6,950명△ 57
2022년7,954명△ 1,004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의정부시>
수락리버>

구리/남양주
201구리
202담터
>

1155담터
수락리버: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담터: 남양주방면 담터고개(구리시 소재)만 정차, 서울방면 담터고개는 서울시 소재.
3, 4권역 | 하남, 성남
성남시>

4432청계산
하남시>

341초이

370초이

3217위례

초이: 초이동 / 위례: 하남시위례도서관 / 청계산: 청계산옛골
4, 5권역 | 과천, 안양, 군포, 의왕
안양시
152교대
>

500석수

5618석수

6515교대

군포시
441한솔
502한솔
>
의왕시>

과천시
502

서초08잔디

서초20잔디

교대: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디: 잔디마을만 정차 / 한솔: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5, 6권역 | 광명, 부천
광명시>
철산리버>

부천시
661
철산리버: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7권역 | 고양, 양주, 파주
고양시>
동산동>

덕은동
750A

대덕동>

파주/양주
704송추
773교하

774파주읍

9714교하
동산동: 한국지역난방공사(舊 동산동) 정류장만 정차 / 덕은동: 덕은동종점 정류장만 정차 / 대덕동: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1] 토요일 / 공휴일 12대 운행[2] 이 때 양화대교 - 홍대입구역 - 신촌로 경유로 변경하는 방안도 있었지만 변경 이전의 노선과 비슷한 이유로 반영되지 않았다. 만약 반영되었다면 현재는 신촌으로 노선이 단축되고 670번으로 형간전환되어 잘 다니는 노선이 되었을 것이다.[3] 애초에 여의도역/마포역 일대는 화곡역에서 수도권 전철 5호선 타면 되기 때문.[4] 만약 노선이 단축되지 않았다면 609번으로 바뀌었을 것이다.[5] 경인로로 걸어가서 타면 된다.[6] 애초에 여의도는 강서구 일대에서는 5호선, 부천시 중.상동 일대에서는 부천 83번, 부천 88번[5]을 타면 되기 때문이다.[7] 현재는 부천 83번이 막차시간이 늦은 편이다. 특히 700번은 말할 필요가 없고.[A] A B 경방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