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606 (r16판)

편집일시 :


파일:606번저상.png파일:신길606번_개선형저상.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사건·사고
4.2. 일평균 승차인원
4.3.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606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606 노선도.png
기점경기도 부천시 상동(자동차매매단지)종점서울특별시 종로구 견지동(조계사.종로경찰서)
종점
첫차04:00기점
첫차05:35
막차22:30막차00:00~05
평일배차12~18분주말배차토요일 13~18분 / 공휴일 15~20분
운수사명신길교통인가대수21대(예비 1대)[1]
노선자동차매매단지 - 목련마을 - 한아름마을.반달마을 - 상도중학교 - 중동역.부천여고 - KT부천지사 - 부천역 - 부천동행정복지센터.원미어울마당 - 춘의가구거리 - 부천종합운동장역 - 여월휴먼시아5단지 - 원종역 - 고강사거리 - 신월5동주민센터.신월중학교 - 화곡역 - 강서구청.한국건강관리협회 - 등촌역.강서보건소 - 염창역.서울도시가스 - 성산대교 - 마포구청역 -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 연세대앞 - 이대부고 - 금화터널 - 경복궁역경복궁 → 조계사.종로경찰서 → 종로1가 → KT광화문지사 → 경복궁역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신길교통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 거리는 62.9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588-2번 도시형버스(상동 - 종로1가)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노선변경 없이 번호가 606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7년 12월 31일부터 2018년 4월 9일까지, 종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으로 기존 종로1가 가변 정류장이 폐쇄되면서 무정차 통과했다. 이로 인해 전면 스티킹/LED가 종로1가에서 조계사로 바뀌었다.

  • 2018년 4월 10일부터 종로1가 광화문방향 가로변 정류소가 복구되면서 109번, 1020번과 함께 다시 정차하고 있다. 공항버스 6002 전용 가로변 정류장(ID 01-763)을 공유하는 형태. 다만 스티킹과 LED는 유지된다.

  • 2019년 7월 6일을 기해 04:30이던 공휴일의 기점 첫차시각도 평일/토요일과 같은 04:00로 30분 앞당겨졌고, 전일에 걸쳐 23:00이던 기점 막차시각은 22:40으로 20분 앞당겨졌다. 또한, 대당 일 운행횟수 감축이 실행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4회씩, 토요일의 경우 3회씩 감회되었으며 이와 동시에 배차 간격도 평일 9~16분/토요일 12~20분/공휴일 14~19분으로 조정되었다.관련 공문

  • 2020년 9월 1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배차간격이 9~18분/12~20분/14~19분에서 11~18분/13~20분/15~20분으로 조정되었다.(단, 전일에 걸쳐 1일 총 운행횟수는 변동 없음)관련 공문

  • 2020년 12월 30일을 기해 막차시각이 22:30으로 10분 앞당겨졌다. 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부천 시내 구간(그 중에서도 중동역~부천역~원종동~고강동 구간)은 8번, 75번 등과, 그리고 원종동~고강동 지역에서부터는 화곡역~염창역 방면으로 운행하는 70-2번과도 구간이 동일해 수요 분산하고 있다. 이 노선이 본격적으로 활약하는 구간은 시계를 넘어간 신월5동부터 서울 도심까지. 염창역 이후 성산대교에 진입하면 부천시 버스들과도 완전히 갈라서고, 단독 주행을 하게 된다.

  • 부천에 진출한 동사 노선 중 가장 오래 된 노선이자 주력노선이며 출퇴근 시간대와 야간에는 가축수송급으로 다니는데, 이 때는 원종동~고강동~화곡역 구간도 가축수송이 된다. 부천시내에서 서울로 나가는 수요는 물론이고, 특히 강서구 구간과 마포구청역, 연대정문, 경복궁역(적선동) 수요도 많다. 게다가 공항대로 구간에서는 종로로 갈 경우 601번이 2010년 8월부터 종로로 바로 들어가지 않고 율곡로, 대학로까지 다 찍은 뒤에야 들어오고 602번은 종로와 만나는 광화문에서 시청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종로1가에 바로 진입하려는 승객들은 이 버스를 많이 타게 된다. 퇴근시간 때에는 회차 지점인 조계사~종로1가~KT 광화문지사만 지나도 앉을 자리가 거의 없다.

  • 부천시 중.상동, 심곡동 지역에서 도심으로 갈 경우 1호선을 타거나 83번을 타고 160번, 260번[2], 600번으로 환승하는 것을 추천한다. 원종동, 화곡동, 마포구청역, 연세대학교로 돌아서 가는 이 노선보다는 환승을 해야하는 불편이 있지만 경인로 ~ 여의도 ~ 마포대교 ~ 마포대로 ~ 충정로 ~ 새문안로 루트를 이용하는 것이 더 빠르기 때문이다.

  • 평일 출근 시간대에는 10분 배차 정도로 잘 오지만 주말에는 15~20분 간격이다. 하지만 성산대교의 극심한 정체 탓에 25분 가까이 벌어지기도 한다. 그래도 신길교통 부천시 노선 중에서는 평시 배차간격이 가장 좋은 편.

  • 연희고지 부근을 간다고 할 때, 만약 673번이 곧 도착한다고 해도 10분 이상 차이가 나지 않는다면 이 노선을 타는 편이 좋다. 그리고 부천시 지역에서 661번과 함께 심야 수요를 책임지고 있다. 광화문 또는 종로1가에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막차가 끊긴 직후라면, 종로1가에서 00:05경에 막차가 출발하므로 부천시민들은 이 버스의 활용을 고려해 보자. 2019년 6월까지는 종로1가를 기준으로 00:30 즈음까지도 막차를 이용할 수 있었으므로, 강서구민들도 수도권 전철 5호선의 막차가 끊긴 직후 종로에서 강서구 방향으로의 대체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었지만 2019년 7월 1일 막차시각이 당겨지면서 이것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상당수의 구간에서 더 늦게까지 다니는 노선이 따로 없는 상태에서 661번과 함께 막차시각이 2번이나 앞당겨진 탓에 성산로/화곡로 연선과 부천 오정구 지역의 심야시간대 이용객들에게는 큰 불편이 생기게 되었다. 다만, 강서구민이라면 이 노선이 끊겨도 N26번이 공항대로 거의 전구간을 운행하며, 등촌역까지는 N62번도 있다.

  • 부천발 동사버스와 달리 유일하게 노선변경이 없는 노선이다.[3]

  • 2017년 11월 중에 폐선한다는 계획이 있다고 했다. 관련 게시물 아직까지는 내부자료라 비공개지만, 저런 계획이 있었던 것만으로도 동호인들은 경악을 금치 못했고 실현된다면 부천시민과 양천구 강서구민의 엄청난 민원폭탄이 예상됐다. 정작 신길교통도 이 사실을 몰랐다고 한다. 그리고 뒷 얘기에 의하면 한 주민이 폐선해달라고 요청해서(...) 생긴 해프닝이라고 한다.


4.1. 사건·사고[편집]


2007년에 차내에서 불이 나 승객들이 긴급 대피하는 소동이 있었다. 불은 계기판에서 시작됐으며, 10분만에 꺼졌다. #


4.2.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606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13,594명-
2014년14,214명△ 620
2015년13,756명▽ 458
2016년13,614명▽ 142
2017년13,202명▽ 412
2018년12,205명▽ 997
2019년11,773명▽ 432
2020년9,297명▽ 2,476
2021년9,270명▽ 27
※ 하차 인원 미포함


4.3. 노선[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606번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조계사
01204
종로1가
01763
안국동
01203
KT광화문지사
01118
경복궁
01117
이상 회차 구간
사직동주민센터
01114
서울지방경찰청.경복궁역
01127
사직단.어린이도서관
01113
사직단
01128
이대부고
13121
이대부고
13120
이대부중
13119
이대후문
13016
세브란스병원앞
13015
세브란스병원앞
13014
연세대앞
13013
연세대앞
13012
서대문우체국
13011
서대문우체국
13010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13009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13008
성산2교
14199
성산2교
14198
마포중앙도서관
14197
마포중앙도서관
14196
마포구청역
14194
마포구청역
14195
영등포아리수정수센터
19215
안양천입구
19217
염창역.서울도시가스
16001
염창역.서울도시가스
16002
등촌역.강서보건소
16003
등촌역.강서보건소
16004
등촌중학교 백석초등학교
16005
등촌중학교 백석초등학교
16006
강서구청사거리.서울디지털대학교
16007
강서구청사거리.서울디지털대학교
16008
강서구청
16140
강서구청
16139
우장초등학교
16141
우장초등학교
16142
한국폴리텍1.서울강서대학교
16144
한국폴리텍1.서울강서대학교
16143
화곡본동시장
16145
화곡본동시장
16146
화곡역
16148
화곡역
16147
화곡푸르지오아파트
16150
화곡푸르지오아파트
16149
신화중학교
15345
신화중학교
15352
신월5동주민센터.신월중학교
15346
신월5동주민센터.신월중학교
15347
신동아파밀리에아파트
15350
신동아파밀리에아파트
15342
서울농원
13155
서울농원
13159
수주초등학교
13156
수주초등학교
13158
고강사거리
13150
고강사거리
13157
고강선사유적공원앞
13152
고강선사유적공원앞
13151
부강아파트
13137
부강아파트
13141
서림아파트
13110
서림아파트
13135
원종사거리
13113
원종사거리
13116
원종종합시장.성곡사거리
13111
원종종합시장.성곡사거리
13117
성곡동행정복지센터.홈플러스여월점
13106
성곡동행정복지센터.홈플러스여월점
13108
여월휴먼시아1단지.까치울중학교
13249
여월휴먼시아1단지.까치울중학교
13248
오정경찰서.부천옹기박물관
13330
-
여월휴먼시아5단지
13090
오정경찰서.여월휴먼시아5단지
13093
여월휴먼시아4단지
13082
여월휴먼시아4단지
13084
부천종합운동장역4번출구
13295
부천종합운동장역5번출구
13296
당아래지하차도
11352
당아래지하차도
11347
춘의역8번출구.춘의가구거리
11330
춘의역1번출구.춘의가구거리
11488
춘의역3번출구.춘의테크노파크단지앞
11313
춘의역2번출구.춘의테크노파크단지앞
11314
부천동행정복지센터.원미어울마당
11308
부천동행정복지센터.원미어울마당
11310
부천북초등학교.원미동우체국
11301
부천북초등학교.원미동우체국
11302
대성병원
11292
대성병원
11293
노마즈하우스.우리은행
11290
부천역북부.농협
11287
부천역.국민은행
11278
-
-부천상상거리
11548
부천대입구
11473
부천대입구
11249
KT부천지사
11231
KT부천지사
11222
-시민운동장
11204
시민운동장.시민회관
11203
중동행정복지센터.시민회관
11181
팰리스카운티.부천서초교입구
11163
팰리스카운티.부천서초교입구
11159
상동시장.중동역.부천여고
11130
중동역.부천여고
11132
송내초등학교.법원입구
11115
송내초등학교
11116
상도중학교
11114
상도중학교
11112
꿈동산.사랑마을
11098
꿈동산.사랑마을
11091
복사골문화센터
11066
복사골문화센터.반달마을
11050
한아름마을.반달마을
11031
한아름마을.반달마을
11036
목련마을
11024
목련마을
11027
부인초등학교
11022
부인초등학교
11025
자동차매매단지
11021 · 11020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의정부시>
수락리버>

구리/남양주
201구리
202담터
>

1155담터
수락리버: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담터: 남양주방면 담터고개(구리시 소재)만 정차, 서울방면 담터고개는 서울시 소재.
3, 4권역 | 하남, 성남
성남시>

4432청계산
하남시>

341초이

370초이

3217위례

초이: 초이동 / 위례: 하남시위례도서관 / 청계산: 청계산옛골
4, 5권역 | 과천, 안양, 군포, 의왕
안양시
152교대
>

500석수

5618석수

6515교대

군포시
441한솔
502한솔
>
의왕시>

과천시
502

서초08잔디

서초20잔디

교대: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디: 잔디마을만 정차 / 한솔: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5, 6권역 | 광명, 부천
광명시>
철산리버>

부천시
661
철산리버: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7권역 | 고양, 양주, 파주
고양시>
동산동>

덕은동
750A

대덕동>

파주/양주
704송추
773교하

774파주읍

9714교하
동산동: 한국지역난방공사(舊 동산동) 정류장만 정차 / 덕은동: 덕은동종점 정류장만 정차 / 대덕동: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파일:종로구 CI.svg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의 간선버스
[ 펼치기 · 접기 ]


[1] 토요일 16대 / 공휴일 14대 운행[2] 여의도 한정[3] 딱 한 번 원종동에서 상동으로 연장한 것 그게 유일한 변경 사례다. 그것도 노선 개편 전에 이루어진 것.[4] 조계사 하차.[5] KT 광화문지사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