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노선 정보/대한민국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철도 노선 정보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철도 노선 정보/북한




1. 개요
2. 부여 방식
2.1. 철도 노선명
2.2. 철도 노선번호
3. 기호 일람
6.2.5. 기타 지선
6.3. 미개통
6.5. 역 목록이 분리되어 있는 문서들
7.2. 미개통
8.1. 일반선 개량
8.2. 일반선 연장
8.3. 미개통
10.1. 운행 중
10.2. 폐선
11. 기타
11.1. 궤도운송법 적용 노선
11.2. 기타/불분명
12.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한국철도공사 노선도(2023년 1월 기준)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에 대한 정보를 서술한 문서.


2. 부여 방식[편집]



2.1. 철도 노선명[편집]


  • 노선의 기점과 종점의 지명 중 첫 글자 또는 첫 두글자를 사용하여 노선명을 정한다. 다만, 효율적인 노선명 관리 등을 위해 필요한 경우 지리적 명칭(예시: 내륙선, 서해선)이나 행정구역 명칭(예시: 광주선, 과천선) 또는 특정 명칭(예시: 인천국제공항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 노선의 명칭은 전체 노선에 대해 부여하되, 단계별로 개통하는 경우에는 노선명과 우선 개통구간을 병행하여 표기(예시: 경강선(성남~여주))한다.
  • 기·종점의 지명을 사용하는 경우 남쪽에서 북쪽, 서쪽에서 동쪽으로 명칭을 배열하되, 경합이 발생할 때에는 남쪽에서 북쪽 사용이 우선(예시: 수인선)한다. 다만, 서울이 기점 또는 종점 노선인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노선명(예시: 경부선, 경인선)을 부여할 수 있다.
  • 기존의 노선이 일부 연장되거나 개량사업 등으로 노선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의 노선명은 여객의 효율적인 안내 등을 위하여 일관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기존의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기점 및 종점 등이 현저히 변경되어 여객의 효율적인 안내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등에는 이를 변경할 수 있다.
  • 다른 노선의 일부구간을 이용하여 하나로 연결된 노선 등은 다른 노선의 일부구간을 중복 사용하여 하나의 노선명을 부여할 수 있다.


2.2. 철도 노선번호[편집]


  • 노선번호는 운행속도에 따른 철도노선의 종류별로 구분하여 건설순서 등에 따라 다음 각 호와 같이 간선은 세 자리 숫자, 지선은 다섯 자리 숫자로 지정한다.
파일:철도노선번호.png
  • 첫째자리 숫자는 철도노선의 종류를 표시(고속철도노선 1, 준고속철도노선 2, 일반철도노선 3)
  • 둘째자리 숫자와 셋째자리 숫자는 간선을 표시하되, 지정하는 순서대로 번호를 부여한다.
  • 넷째자리 숫자와 다섯째자리 숫자는 지선을 표시하되, 지정하는 순서대로 번호를 부여한다.


3. 기호 일람[편집]


노선의 상태
여객주 1회 이상의 정기 여객열차 또는 정기 여객열차와 화물열차 운행
화물화물열차만 운행
운영기지 입출고선 등 영업이 아닌 철도 시스템의 유지를 위해 운행
중단여객, 화물 모두 운행하고 있지 않음
선로 구성
단선전체 구간의 50% 이상 단선 (예외사항이 있을 경우 각주로 표기)
쌍단선전체 구간의 50% 이상 쌍단선 (")
복선전체 구간의 50% 이상 복선 (")
복복선전체 구간의 50% 이상 복복선 (")
전철화 여부
O전 구간 전철화
일부 구간 전철화 (각주로 전철화 구간 표기)
X전 구간 비전철
운행계통
KKTXSSRT
ITX-청춘IITX-새마을
새마을호누리로
무궁화호통근열차
A정선아리랑열차G서해금빛열차
s남도해양관광열차V백두대간협곡열차
동해산타열차바다열차
폐선 현황
폐쇄대체 노선 계획이 없거나 무산됨.
대체1대체 여객열차 노선이 운행 중이거나 계획 중임.
대체2일반 열차가 아닌 레일바이크나 궤도운송수단 등으로 대체됨.


4. 고속철도[편집]



4.1. 간선철도[편집]


번호노선기점종점길이역 수상태선로전철운행계통
101경부고속선금천구청역부산역398.2km9개여객쌍단선OK S 파일:Seoulmetro1_icon.svg
102호남고속선오송역광주송정역183.8km5개여객쌍단선OK S
103수서평택고속선수서역SR분기61.1km3개여객쌍단선OS


4.2. 지선철도[편집]


번호간선노선기점종점길이역 수상태선로전철접속운행계통
10101경부고속선시흥연결선금천구청역광명역1.5km-여객쌍단선O경부선K 파일:Seoulmetro1_icon.svg
10102대전남연결선옥천역분기점4.2km-여객쌍단선O경부선
10103대구북연결선지천역분기점3.5km-여객쌍단선O경부선K S
10104광명주박기지선광명역광명기지1.4km2개운영쌍단선OK
10105오송정비기지선오송역오송기지0.3km1개운영단선O
10106영동정비기지선분기점영동기지0.1km1개운영단선O
10107건천연결선분기점모량신호장3.3km1개여객쌍단선O동해선K
10108화성고속연결선분기점어천역2.4km1개계획쌍단선O수인선K
10301수서평택고속선평택고속연결선평택지제역서정리역4.8km2개계획쌍단선O경부선K


4.3. 미개통[편집]


노선사업명기점종점길이역 수상태선로전철운행계통개통예정
경부고속선수색-광명 고속철도수색역광명역26.8km4개계획복선OK
평택-오송 고속철도SR분기오송역45.5km-계획복복선OK S2028년
광명-평택 고속철도계획복복선O
호남고속선2단계고막원역임성리역43.9km1개착공쌍단선OK S2025년


5. 준고속철도[편집]



5.1. 간선철도[편집]


번호노선기점종점길이역 수상태선로전철운행계통
201경강선만종역강릉역120.7km6개여객복선[1]OK
203중앙선청량리역도담역148.5km36개여객복선OK A 파일:GJLine_icon.svg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204중부내륙선부발역충주역56.9㎞5개여객단선[2]OK
비어 있는 202번은 2023~24년에 개통 예정인 서해선 서화성남양~홍성 구간의 노선번호이다.


5.2. 지선철도[편집]


번호간선노선기점종점길이역 수상태선로전철접속운행계통
20101경강선강릉삼각선안인역남강릉신호장1.9㎞-여객단선O영동선K
20301중앙선망우선망우역광운대역4.9㎞2개여객복선[3]O경원선파일:GyeongchunLine_icon.svg
20302용문기지선용문역용문기지1.6km2개운영복선O파일:GJLine_icon.svg
20303제천조차장선제천역제천조차장역2.3㎞2개화물복선O


5.3. 미개통[편집]


노선사업명기점종점길이역 수상태선로전철운행계통개통예정
서해선 (202)서화성남양역홍성역90.0km8개착공복선OK2024년
중부내륙선2단계충주역문경역40.9km미정착공단선OK2024년
문경점촌선문경역김천역82.3km미정계획단선OK
남부내륙선김천역거제역177.9km8개계획단선OK S2027년
수서광주선수서역경기광주역19.2km3개계획복선OK2030년
춘천속초선춘천역속초역93.7km6개착공단선OK2028년


6. 일반철도[편집]



6.1. 간선철도[편집]


번호노선기점종점길이역 수상태선로전철운행계통
301경인선구로역인천역27.0km21개여객복복선[4]O파일:Seoulmetro1_icon.svg
302경부선서울역부산역441.7㎞90개여객복선[5]OK S I G s 파일:Seoulmetro1_icon.svg
303경의선서울역도라산역56.0km25개여객복선[6]OK 파일:GJLine_icon.svg
304호남선대전조차장역목포역252.5㎞48개여객복선OK S I s
305경원선용산역백마고지역94.4㎞41개여객복선[7][8]K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GJLine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306충북선조치원역봉양역113.6㎞19개여객복선[9]O
307경전선삼랑진역광주송정역277.7㎞50개여객복선[10][11]K I s
308장항선천안역익산역154.4㎞29개여객단선[12][13] G 파일:Seoulmetro1_icon.svg
309전라선익산역여수엑스포역180.4㎞31개여객복선[14]OK I s
310경춘선망우역춘천역80.7km20개여객복선O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311동해선부산진역영덕역188.9km37개여객복선[15][16]K I 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
312중앙선도담역모량신호장183.7km21개여객단선[17][18]K
313영동선영주역청량신호소188.9㎞37개여객단선OK V
314경북선김천역영주역115.0㎞12개여객단선X
315태백선제천역백산역104.1㎞22개여객단선[19]O A
316안산선금정역오이도역26.0㎞14개여객복선O파일:Seoulmetro4_icon.svg
317과천선금정역남태령역14.4㎞10개여객복선O파일:Seoulmetro4_icon.svg
318분당선왕십리역수원역52.9㎞36개여객복선O파일:SBLine_icon.svg
319일산선지축역대화역19.2㎞11개여객복선O파일:Seoulmetro3_icon.svg
320신분당선신사역광교역33.5㎞16개여객복선O파일:SinbundangLine_icon.svg
321서해선소사역원시역40.3km17개여객복선O파일:SeohaeLine_icon.svg
322인천국제공항선서울역인천공항2터미널역64.3㎞14개여객복선O파일:AREX_icon.svg
323경강선판교역여주역56.0km11개여객복선O파일:GyeonggangLine_icon.svg
324진접선당고개역진접역14.9㎞4개여객복선O파일:Seoulmetro4_icon.svg


6.2. 지선철도[편집]



6.2.1. 경부선 지선[편집]


번호간선노선기점종점길이역 수상태선로전철접속운행계통
30201경부선용산삼각선노량진역이촌역0.5㎞2개화물단선O경원선
30202구로삼각선가산디지털단지역구일역1.2㎞2개화물단선O경인선
30203구로기지선구로역구로기지1.4㎞2개운영복선O파일:Seoulmetro1_icon.svg
30204남부화물기지선의왕역오봉역4.4㎞2개화물쌍단선O
30205수인선수원역인천역52.3㎞27개여객복선O파일:SBLine_icon.svg
30206병점기지선병점역서동탄역2.2㎞2개여객복선O파일:Seoulmetro1_icon.svg
30207천안직결선두정역천안역3.1㎞2개여객복선O장항선 G 파일:Seoulmetro1_icon.svg
30208오송선서창신호장오송역4.6㎞2개여객복선O충북선
30209대전선대전역서대전역5.7㎞2개중단단선O호남선
30210대구선가천역영천역26.1㎞6개여객복선O중앙선
30211미전선미전신호소낙동강역1.6㎞2개여객복선O경전선K I
30212가야선사상역범일역8.3㎞4개여객복선O동해선I
30213양산화물선물금역양산화물역3.5㎞2개중단복선X
30214부강화물선부강역부강화물역2.9㎞2개화물복선X
30215신동화물선신동역신동화물역4.7㎞2개화물단선X
30216평택선창내신호장평택역8.8㎞3개중단단선X
30217평택삼각선신대역평택지제역2.2㎞1개중단단선X
30218평택직결선신대역평택역2.1㎞1개중단단선X


6.2.2. 경의선 지선[편집]


번호간선노선기점종점길이역 수상태선로전철접속운행계통
30301경의선효창선용산역효창역1.8km2개중단단선O용산선
30302용산선용산역가좌역7.0㎞6개여객복선O파일:GJLine_icon.svg
30303교외선능곡역의정부역31.9㎞11개화물단선[20][21]경원선
30304수색객차출발선수색역가좌역2.4km2개운영복선O
30305고양기지선화전역고양기지1.7㎞2개여객복선OK
30306문산기지선문산역문산기지2.1㎞2개운영복선O파일:GJLine_icon.svg
30307수색직결선수색역마곡나루역2.2㎞-중단복선O인천국제공항선


6.2.3. 경전선 지선[편집]


번호간선노선기점종점길이역 수상태선로전철접속운행계통
30701경전선진해선창원역통해역21.2㎞7개화물단선[22]
30702광양제철선광양역태금역18.6㎞4개화물단선X
30703광양항선황길신호장광양항역2.7㎞2개화물단선X
30704광주선동송정신호장광주역11.9㎞3개여객단선OI
30705신광양항선초남신호장신광양항역6.2㎞2개화물단선X
30706부산신항선진례역부산신항역21.3㎞3개화물복선O
30707덕산선창원역덕산역8.2㎞3개중단단선X
30708전경삼각선평화신호장성산역3.0㎞2개화물단선O전라선
30709신항북선부산신항역북철송장역5.8km2개화물단선X
30710신항남선부산신항역남철송장역7.7km2개화물단선X


6.2.4. 동해선 지선[편집]


번호간선노선기점종점길이역 수상태선로전철접속운행계통
31101동해선우암선부산진역신선대역6.1㎞3개화물복선X
31102부전선가야역부전역2.2㎞2개여객복선O가야선I
31103온산선남창역온산역8.6㎞2개화물단선X
31104장생포선태화강역장생포역3.6㎞2개중단단선X
31105울산항선태화강역울산항역4.6㎞2개화물단선X
31106괴동선부조역괴동역10.9㎞3개화물단선X
31107동해북부선제진역감호역11.1㎞2개중단단선X
31108영일만항선포항역영일만항역11.2km2개화물단선X
31109울산신항선망양역울산신항역9.8㎞3개화물단선X
31110울산기지선망양역울산기지1.4㎞2개운영복선O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


6.2.5. 기타 지선[편집]


번호간선노선기점종점길이역 수상태선로전철접속운행계통
30401호남선강경선채운신호장연무대역5.8㎞2개화물단선O
30402북송정삼각선북송정신호소동송정신호장1.0㎞-여객단선O경전선I
30403대불선일로역대불역12.0km2개운영단선O
30404장성화물선안평역장성화물역3.6㎞2개화물단선X
30803장항선옥구선군산옥산신호장옥구역7.9㎞2개화물단선X
30804군산항선대야역군산항역25.8㎞3개화물단선X
30805익산삼각선목천신호소동익산역3.4㎞2개화물복선O전라선
30901전라선북전주선동산역북전주역1.7㎞2개화물단선X
30902여천선덕양역적량역11.6㎞3개화물단선X
31001경춘선평내기지선평내호평역평내기지2.5㎞2개운영복선O
31201중앙선북영주삼각선분기점북영주신호소0.7km-중단단선O영동선
31202영천삼각선북영천역금호역1.4㎞2개여객단선O대구선
31203경주삼각선아화역서경주역1.3㎞2개여객단선O동해선
31301영동선삼척선동해역삼척역12.9㎞4개여객단선X
31302북평선동해역삼화역6.4㎞2개화물단선X
31303묵호항선동해역묵호역5.9㎞3개화물단선X
31401경북선문경선점촌역문경역22.3㎞4개중단단선X
31501태백선함백선예미역조동신호장9.6㎞3개화물단선O
31502정선선민둥산역구절리역45.9㎞7개여객단선XA
31503태백삼각선문곡역동백산역1.3㎞1개여객단선O
31601안산선시흥기지선오이도역시흥기지2.0㎞2개운영복선O파일:Seoulmetro4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파일:SeohaeLine_icon.svg
31801분당선분당기지선오리역분당기지2.3㎞2개운영복선O파일:SBLine_icon.svg
32101서해선안산연결선시우역안산역2.6㎞2개운영쌍단선O안산선파일:SeohaeLine_icon.svg
32201인천국제
공항선
용유차량기지선인천공항1터미널역용유기지2.6㎞-운영복선O
32202용유차량삼각선인천공항2터미널역용유기지2.1㎞-운영복선O파일:AREX_icon.svg


6.3. 미개통[편집]


노선사업명기점종점길이역 수상태선로전철운행계통개통예정
경부선평택선포승역창내신호장22.3km3개착공단선X
구미산단선사곡역구미산단8.3km2개계획미정미정미정
경전선부전-마산 복선전철부전역진례신호소32.7km10개착공복선OK 파일:경전선 광역전철 로고.svg2024년
보성-임성리 단선전철보성역임성리역82.5km7개착공단선O미정2024년
동해선동해중부선영덕역삼척역미정14개착공단선X미정2024년
동해북부선강릉역제진역111.7km8개착공단선X미정
신분당선남부 2차 연장광교중앙역호매실역9.7km4개계획복선O파일:SinbundangLine_icon.svg2029년
북부 2차 연장용산역강남역7.8km3개계획복선O파일:SinbundangLine_icon.svg2032년
남부 3차 연장호매실역봉담역7.0km2개계획복선O파일:SinbundangLine_icon.svg
북부 3차 연장삼송역용산역20.2km7개계획복선O파일:SinbundangLine_icon.svg
신안산선여의도역한양대에리카
캠퍼스역
29.7㎞15개착공복선O파일:SinansanLine_icon.svg2026년
서울역여의도역4.8km2개계획복선O파일:SinansanLine_icon.svg
동탄인덕원선본선인덕원역동탄역33.7km17개착공복선O파일:DILine_icon.svg2027년
지선동탄역서동탄역미정2개착공단선O파일:DILine_icon.svg2027년
평택부발선평택역부발역53.8km5개계획단선O미정


6.4. 폐선[편집]


노선기점종점길이역 수과거현재폐지년도
가곡천 산림철도삼척시 원덕읍26km-화물폐쇄1959년
가은선진남역가은역9.6km3개여객대체22004년
경성궤도동대문역유원지역
광장역
13.5km14개여객폐쇄1961년
경성순환노선경성역경성역12.3km11개여객폐쇄1944년
군산화물선대야역군산화물역8.9km2개여객폐쇄2022년
금강산선철원역내금강역116.6km28개여객폐쇄1950년
금장삼각선서경주역나원역2.2km2개여객폐쇄2021년
김포선부천역김포역9.2km3개화물대체1[23]1980년
남포선남포역옥마역4.3km2개화물대체22009년
당인리선서강역당인리역2.4km4개화물폐쇄1980년
마산항제1부두선마산역마산항역8.6km4개여객대체1[24]2012년
마읍천 산림철도삼척시 근덕면-화물폐쇄1943년
문현선부산역우암역4.7km2개화물폐쇄1972년
부산전차온천장역차고역18.1km31개여객대체11968년
삼학선목포역삼학도2km-화물폐쇄2013년
서울전차서울 전차 문서 참고64개여객대체11968년
서청주선청주역서청주역5.0km2개화물폐쇄1990년
수려선수원역여주역73.4km21개여객대체11972년
안성선천안역장호원역69.8km19개여객대체1[25]1989년
옥서삼각선옥서역옥마역2개화물폐쇄1992년
울산선달리신호장야음역2개화물폐쇄1992년
장항화물선장항역장항화물역4.2km2개여객폐쇄2021년
전남선광주역금지역141.8km11개여객대체1[26]1944년
정양선영월역정양역?2개화물폐쇄2001년
제주도순환궤도협재역김녕역35.5km9개여객폐쇄1931년
주인선주안역남인천역3.8km2개화물폐쇄1994년
진삼선개양역삼천포역29.1km8개여객대체1[27]1990년
함평궤도학교역함평역6.1km4개여객폐쇄1960년

6.5. 역 목록이 분리되어 있는 문서들[편집]




7. 광역급행철도[편집]



7.1. 간선철도[편집]


노선기점종점길이역 수상태선로운행계통
신분당선신사역광교역33.7㎞16개여객복선파일:SinbundangLine_icon.svg


7.2. 미개통[편집]


노선기점종점길이역 수상태선로운행계통개통예정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운정역서울역32.98㎞5개[28]착공복선2024
서울역수서역15.32㎞2개[29]착공복선2026
수서역동탄역32.78㎞4개착공복선2024
GTX-A 차량인입선운정기지운정역4.0㎞2개착공복선2024
신안산선여의도역한양대에리카캠퍼스역29.7㎞15개[30]착공복선파일:SinansanLine_icon.svg2026


8. 광역철도[편집]



8.1. 일반선 개량[편집]


노선기점종점길이역 수상태선로전철운행계통
경의선가좌역문산역40.5km20개여객복선[31]O파일:GJLine_icon.svg
경원선의정부역소요산역24.4km11개여객복선[32]O파일:Seoulmetro1_icon.svg
경춘선망우역금곡역14.6km7개여객복선O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중앙선청량리역덕소역17.2km10개여객복선OK A 파일:GJLine_icon.svg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분당선오리역수원역21.1km14개여객복선O파일:SBLine_icon.svg
왕십리역선릉역6.7km5개여객복선O파일:SBLine_icon.svg
용산선용산역가좌역7.0km6개여객복선O파일:GJLine_icon.svg
수인선수원역인천역52.3km27개여객복선O파일:SBLine_icon.svg


8.2. 일반선 연장[편집]


노선기점종점길이역 수상태선로전철운행계통
진접선당고개역진접역14.9km4개여객복선O파일:Seoulmetro4_icon.svg
하남선상일동역하남검단산역7.7km6개여객복선O파일:Seoulmetro5_icon.svg
경원선소요산역연천역20.9km4개여객단선[33]O파일:Seoulmetro1_icon.svg


8.3. 미개통[편집]


노선기점종점길이역 수상태선로전철운행계통개통예정
도봉산포천선도봉산역포천역34.0km8개계획복선[34]O파일:Seoulmetro7_icon.svg2027년
별내선암사역별내역12.5km7개착공복선O파일:Seoulmetro8_icon.svg2024년
신안산선여의도역한양대에리카
캠퍼스역
29.7㎞15개착공복선O파일:SinansanLine_icon.svg2026년
대구권 광역철도구미역경산역61.9km8개착공복선O파일:대구권 광역철도 아이콘.svg2024년
안심-하양 복선전철안심역하양역8.9km4개착공복선O파일:Daegu1.svg2024년
충청권 광역철도신탄진역계룡역35.1km12개계획복선[35]O파일:충청권 광역철도 아이콘.svg미정


9. 도시철도[편집]








9.1. 수도권 전철[편집]




9.2. 동남권 광역철도[편집]




9.3. 대구 도시철도[편집]




9.4. 광주 도시철도[편집]


노선기점종점길이역 수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광주 1호선녹동역평동역20.5km20개


9.5. 대전 도시철도[편집]


노선기점종점길이역 수
파일:대전 1호선 아이콘.svg 대전 1호선판암역반석역22.7km22개


9.6. 미개통[편집]


운행계통세부노선기점종점길이상태선로개통예정
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소요산역연천역20.8🚧2023
구로차량기지선구로역노온사역?↑↓?
서울 지하철 6호선신내역동구릉역2.6↑↓?
서울 지하철 7호선도봉산포천선도봉산역고읍역?↑↓2027
옥정역포천역?↑↓2029
서울 지하철 8호선별내선암사역별내역12.6🚧↑↓2024
서울 지하철 9호선중앙보훈병원역샘터공원역3.8↑↓2028
샘터공원역신강일역[A]?↑↓?
신강일역[A]신미사역[36]1.4↑↓?
신강일역[A]양정역?↑↓?
서울 경전철 동북선왕십리역상계역12.3↑↓2026
대장홍대선홍대입구역대장역17.3↑↓?
수도권 전철 경강선경강선월곶역판교역38.4↑↓?
동탄인덕원선인덕원역동탄역?↑↓2027
용인경전철기흥역광교중앙역5.9↑↓?
수원 도시철도 1호선수원역장안구청역5.4↑↓?
인천 도시철도 송도트램연세대국제캠퍼스연세대국제캠퍼스21.7↑↓2032
인천 도시철도 영종트램영종하늘도시인천공항2터미널역[37]14.8↑↓?
부산 도시철도 2호선양산역양산종합운동장역0.9🚧↑↓2026
부산 도시철도 5호선사상하단선사상역하단역6.5🚧↑↓2026
하단녹산선하단역경제자유구역청역26.2↑↓2030
양산 도시철도노포역북정역12.5🚧2026
부산 도시철도 강서선남명역에코델타시티역21.3↑↓2026
에코델타시티역대저역↑↓2035
동해선 광역전철동해선태화강역북울산역9.7🚧↑↓2025
경전선 광역전철경전선부전역마산역51.4🚧↑↓2024
대구 도시철도 1호선안심역하양역8.7↑↓2024
대구 도시철도 순환선서대구역안지랑역6.4↑↓2033
대구 도시철도 4호선수성구민운동장역이시아폴리스역12.4↑↓2030
대구권 광역철도경부선구미역경산역61.8🚧↑↓2024
광주 도시철도 2호선시청역광주역41.9🚧↑↓2026
광주역시청2029
백운효천역?
대전 도시철도 2호선???↑↓?
충청권 광역철도경부선조치원역대전조차장역[38]9.7↑↓?
호남선대전조차장역[39]계룡역25.4↑↓?
계룡역논산역25.4↑↓?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반석역청주공항역???.?[40]↑↓미정
수도권 내륙선청주공항역동탄역78.8↑↓미정
울산 도시철도 1호선태화강역신복역11.6↑↓2027
울산 도시철도 2호선북울산역야음역13.7↑↓2027
울산 도시철도 3호선효문행정복지센터역대왕암공원역17.0↑↓?
울산 도시철도 4호선신복역복산성당역5.94↑↓?
부산-울산 광역철도신정선노포역월평역10.0↑↓2029
부산-울산 광역철도 1단계노포역울산역51.5↑↓2029
부산-울산 광역철도 2단계울산역북정역22.5↑↓?


10. 전용철도[편집]



10.1. 운행 중[편집]




10.2. 폐선[편집]


노선기점종점길이역 수과거운영기관폐지년도
서천화력선간치역동백정역21.7km4개화물한국중부발전2018년
화순선화순역복암역11.1km4개화물대한석탄공사2022년


11. 기타[편집]



11.1. 궤도운송법 적용 노선[편집]


궤도운송법 참조.


11.2. 기타/불분명[편집]


  • 하이원추추파크[41]
  • 섬진강 기차마을[불분명]


12.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21:05:29에 나무위키 철도 노선 정보/대한민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남강릉신호장~강릉역 구간은 단선.[2] 부발역~아미신호장 구간은 복선.[3] 상봉역~이문차량사업소 구간은 단선.[4] 동인천역~인천역 구간은 복선.[5] 서울역~용산역 구간은 복복선+쌍단선, 용산역~구로역 구간은 3복선, 구로역~두정역 구간은 복복선, 동대구역~가천역 구간은 3선, 부산진역~부산역 구간은 복복선.[6] 디지털미디어시티역~능곡역 구간은 복복선, 문산역~도라산역 구간은 단선.[7] 동두천역~백마고지역 구간은 단선.[8] 용산역~소요산역 구간만 전철화.[9] 조치원역~오송역 구간은 단선.[10] 삼랑진역~낙동강역 구간, 순천역~광주송정역 구간은 단선.[11] 삼랑진역~진주역 구간, 광양역~순천역 구간, 동송정신호장~광주송정역 구간만 전철화.[12] 천안역~신창역 구간, 대야역~목천신호소 구간은 복선.[13] 천안역~신창역 구간, 대야역~익산역 구간만 전철화.[14] 여천역~여수엑스포역 구간은 단선.[15] 부산진역~부전역, 포항역~영덕역 구간은 단선.[16] 부산진역~포항역 구간만 전철화.[17] 도담역~영주역 구간, 영천역~모량신호장 구간은 복선.[18] 도담역~망호신호장 구간, 영천역~모량신호장 구간만 전철화.[19] 제천역~입석리역 구간은 복선.[20] 가능역~의정부역 구간은 복선.[21] 능곡역~대곡역, 가능역~의정부역 구간만 전철화.[22] 신창원역만 전철화.[23] 서해선 소사~김포공항 구간으로 대체.[24] 마산신항선 계획중.[25] 평택부발선 계획중.[26] 대구광주선 계획중.[27] 남부내륙선 계획중.[28] 같이 개통하지 않는 창릉역 제외[29] 같이 개통하지 않는 삼성역 제외[30] 같이 개통하지 않는 장하역 제외[31] 디지털미디어시티역~능곡역 구간은 복복선.[32] 동두천역~소요산역 구간은 단선.[33] 해당 구간은 복선전제 단선전철화이며 역은 복선이고, 선로는 단선이다.[34] 장암역~옥정중앙역 구간은 단선.[35] 신탄진역~회덕역 구간은 단선.[A] A B C 가칭으로 하남선의 공사중인 역인 강일역과는 다른 역이다.[36] 가칭으로 하남선의 공사중인 역인 미사역과는 다른 역이다.[37] 종점을 운서역으로 단축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38] 경부선 구간의 종점일 뿐 정차하지는 않을 예정이다.[39] 호남선 구간의 기점일 뿐 정차하지는 않을 예정이다.[40] 청주도심 통과 여부에 따라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41] 스위치백 트레인에 한하여 철도안전법 적용대상.[불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