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신분증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신분증



[ 정치 · 군사 ]
상징
국호 · 오성홍기(국기) · 국장 · 의용군 진행곡(국가)
정치 · 행정
정치 전반(홍콩 · 홍콩 입법회 · 마카오 · 마카오 입법회) ·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 ·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 국무원(판공청 · 조성부서 · 국무원 직속기구) · 국가감찰위원회 · 홍콩 행정장관 · 마카오 행정장관 · 헌법(홍콩 기본법) · 행정조직(홍콩 · 마카오) · 국가주석 · 성급행정구 영도인 · 인민대회당 · 공무원 · 중국의 판다 소유권 정책
정당 · 사상
중국공산당 규약 · 정당(중국공산당 · 민주당파 · 친중파 · 민주파 · 본토파) · 공산당의 파벌(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 태자당 · 상하이방) · 중국몽 · 마오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 통일적 다민족국가론 · 우마오당 · 공산당 중앙조직(중공당대회 · 중공중앙)
역대 국가원수
마오쩌둥 · 류샤오치 · 리셴녠 · 양상쿤 · 장쩌민 · 후진타오 · 시진핑
역대 주석
기타 정치인
덩샤오핑 · 화궈펑 · 후야오방 · 자오쯔양 · 저우언라이 · 주더 · 쑹칭링 · 예젠잉 · 차오스 · 리펑 · 우방궈 · 장더장 · 리잔수 · 주룽지 · 원자바오 · 리커창 · 왕양 · 왕치산 · 쑨춘란 · 후춘화 · 류허 · 한정 · 샤오제 · 자오러지 · 장쥔 · 뤄룽환 · 자춘왕 · 둥비우 · 샤오양
부주석 · 전인대 상무위원장 · 정협 전국위 주석 · 총리 · 최고인민검찰원장 · 최고인민법원장 · 국감위 주임
외교
외교 전반(비판) · 외교부 · 여권(홍콩 · 마카오) · 비자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92공식 · 양안통일) · 중화권 · 한중관계(동중국해 · 이어도 · 6자회담 · 한한령) · 중일관계(센카쿠 열도 · 중일평화우호조약) · 한중일 · 중인관계(국경분쟁 · 아크사이친 · 아루나찰프라데시 · 평화공존 5원칙) · 난사 군도 · 둥사 군도 · 시사 군도 · 상임이사국 · G20 · G2 · 신냉전 · 일대일로 · 미중관계(패권 경쟁 · 전망) · 미중러관계 · 호주-중국 관계(무역분쟁) · 중국 제국주의 · BRICS
사법
사법 전반 · 최고인민법원 · 검찰원 · 사법부 · 엄타 · 사형제도 · 라오가이 · 민법 · 베이징 친청 교도소
공안
경찰(공안부 · 국가안전부 · 이민관리국 · 계급 · 경찰대학 · 경찰법 · 경찰차) · 응급관리부(소방구원대 · 계급 · 소방학원 · 소방법 · 소방차) · 해관총서(계급) · 홍콩 보안국(경무처 · 소방처 · 비행대 · 입경사무처 · 징교처 · 해관) · 마카오 보안부대(치안경찰국 · 소방국) · 청관 · 정보기관
군사 전반
중국 인민해방군 · 계급 · 중앙군사위원회(기능부서) · 국방부 · 퇴역군인사무부 · 역대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역대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전구(서부 · 중부 · 북부 · 남부 · 동부 · 구 편제) · 역사 · 초한전 · 사관학교 · SCO ·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
장비
장비(보병장비 · 기갑장비 · 항공병기 · 함선 · 둥펑 미사일) · 군복 · 군장 · 중국북방공업 · 중국선박집단 · 중국항공공업집단
군종 · 부대
육군 · 해군(육전대) · 공군(공강병군) · 로켓군 · 전략지원부대(우주비행사대대) · 무장경찰(해경) · 연합참모부 · 주홍콩부대 · 주마카오부대 · 해외 주둔 중국군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 역사 ]
역사
역사 전반(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백년국치
시대
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초한쟁패기) · (전한 · · 후한) · 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북송 · 남송) · · · 서하 · · (남명 · · · 동녕국) · (태평천국) · 중화민국(임시정부 · 북양정부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우한정부 · 국민정부 · 만주국) · 중화인민공화국
관직
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사서
흠정24사(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
신해혁명 · 국공합작 · 초공작전(대장정) · 중일전쟁(백단대전) · 국공내전 · 반우파 투쟁 · 중인전쟁 · 대약진 운동(7천인 대회 · 제사해 운동 · 신양 사태) · 문화대혁명(해서파관 사건 · 5.16 사건 · 내몽골 인민혁명당 숙청 사건 · 베이징 8월 폭풍 사건 · 경험 대교류 운동 · 상하이 1월 폭풍 사건 · 2월 역류 · 경서빈관 대소동 · 7.20 사건 · 주중 영국 대표부 점령 사건 · 9.13 사건 · 비림비공운동 · 상산하향 운동) · 중소 국경분쟁 · 닉슨-마오쩌둥 회담 · 중월전쟁 · 흑묘백묘론 · 중영공동선언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홍콩 반환 · 천안문 6.4 항쟁 · SARS · 재스민 혁명 · 멜라민 파동 · 홍콩 우산혁명 · 2018년 중국 백신 파동 ·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 2019년 중국 우한시 환경 시위 · COVID-19(우한 봉쇄 · 상하이 봉쇄 · 2022년 중국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 2020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 · 정풍운동 · 2021년 헝다그룹 파산 위기
왜곡
중국의 역사왜곡 · 동북공정 · 만물중국기원설 · 중국의 한국 문화 예속화 시도(중국의 한복 왜곡 논란 · 중국의 김치 왜곡)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 사회 · 경제 ]
경제
경제 전반(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기업 · 산업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중앙 관리 기업) · 은행 · IT 기업(바이두 · 알리바바 그룹) · 5대 자동차 제조사(상하이자동차의 계열사) · 건설사 · 만년필 회사 · BBK#중국의 대기업(산하 제조사) · Lenovo · 비야디 자동차 · HNA그룹 · 메이드 인 차이나 · 대기업
지리
지리 전반 · 자연자원부(임업초원국) · 수리부 · 중국 대륙 · 오악#중국의 오악 · 창장 강 · 황허(위수) · 랴오허 · 목단강 · 송화강 · 헤이룽장 강 · 주장 강 · 화이허 강 · 톈산 산맥 · 쿤룬 산맥 · 다오청 삼신산 · 루산 · 망탕산 · 북망산 · 티베트 고원 · 쿤룬 산맥 · 타클라마칸 사막 · 화북 평야 · 만주 · 둥팅 호 · 칭하이호 · 웨량 섬 · 창허 섬 · 하이난 섬 · 홍콩섬 · 행정구역( · 지급시 · 부성급시 · 특별행정구#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 · 도시 목록 · 7대 고도 · 박물지 · 중국 석유 천연가스 공사(페트로차이나) · 중국석유화공집단공사 · 국경통상구 · 환경오염
사회
사회 전반 · 중국인 여성의 해외 성매매 · 신분증 · 민정부 · 중국사회과학원 · 중국 관련 뉴스 · 인구 · 중국인(민족 · 한족) · 공휴일(국경일#중화인민공화국 · 홍콩) · 중국 표준시 · 국수주의 · 중화사상 · 중국 붕괴론 · 중국 위협론 · 인권 탄압 · 분청 · 황금방패 · 계획생육정책(소황제) · 양두혼 · 문명점수 · 동타이왕 · Shadowsocks · 탕핑족 · 노동법 · 민주화 운동
정보 · 통신
국가우정국 · 중국우정집단공사 · 홍콩우정 · 통신장비 제조사(화웨이 · ZTE · 다탕텔레콤) · 샤오미 · 이동통신사(차이나모바일 · 차이나유니콤 · 차이나텔레콤 · 중국광전네트워크) · 광전총국 · 중관춘 · 화창베이
과학 · 기술
과학기술부 · 중국과학원 · 중국공정원 · 우주개발(국가항천국 · 창정 · 동방홍 위성 · 선저우 계획 · 창어 계획 · 톈궁) · 양탄일성 · 중국과학원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 양산 바이러스 연구소
교육
교육부 · 수학 교육과정 · 초급중학 학력시험 · 가오카오 · HKDSE · ARWU · 중국교우회망 대학평가(순위) · 구교연맹(목록) · BHUA · 세계일류대학 및 일류학과 건설 · 985공정 · 211공정 · 공자학원 · 천인계획 · 중국정부장학금 · 대외한어과
교통
교통 전반(홍콩 · 마카오) · 교통운수부(국가철로국 · 민용항공국) · 고속공로(강주아오 대교) · 철도(CRH · 도시철도 · 중국국가철로집단 · 중국중차 · 중국철도박물관) · 항공사(중국국제항공 · 중국남방항공 · 중국동방항공 · 하이난항공) · 공항 목록 · 중국교통건설 · 교통카드(옥토퍼스 카드) · 차량 번호판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 문화 ]
문화 전반
문화 전반(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문물국) · 영화(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목록 · 문제점) · 방송(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음식
음식 전반 · 지리적 표시제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종류) · 미국식(종류) · 일본식(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백주 · 황주 · 맥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 경극(변검) · 잡극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중국기원 · 중국 바둑 기전 · 갑조리그 · 몽백합배 · 춘란배 · 바이링배 · 봉황고성배 · CCTV 하세배 · 황룡사배 · 천태산농상은행배 · 궁륭산병성배 · 오청원배) · 마작(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중국사대기서) · 토루
현대문화
만화(웹코믹 · 홍콩) · 애니메이션 · 게임 · 텐센트 · 빌리빌리(빌리빌리 매크로 링크 VR) · 넷이즈 · miHoYo · SUNBORN · Hypergryph · X.D. Global · Gaea · Yostar · LPL · 메이드 카페 · 차이나조이 · 차이나 인터내셔널 코믹 페스티벌 · COMICUP · ComiAi · 코미데이 · 선협소설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사신 · 사령#四靈 · 오룡#다섯 마리의 용 · 사흉) · 동방번개
스포츠
체육총국 · 중국 올림픽 대표팀 · 전국운동회 · 중국축구협회 · 축구 국가대표팀(홍콩 · 마카오) · 풋살 국가대표팀 · 여자 축구 국가대표 · FA컵 · 슈퍼 리그 · 갑급 리그 · 여자 슈퍼 리그 · 홍콩 프리미어 리그 · 홍콩 퍼스트 디비전 · 차이나컵 · 홍콩 구정컵 · 축구굴기 · 공한증 · 중국 농구 협회 · 농구 국가대표팀 ·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남자 배구 리그 · 여자 배구 리그 · 야구 국가대표팀 · 중국권법(실전) · 태극권 ·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 기아 서킷 · 베이징 올림픽 · 올림픽공원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표준중국어) · 관화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백화문 · 한자(간체자 · 방언자 · 측천문자 · 한어대사전) · 병음(우정식 병음 · 국어라마자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언어문자공작위원회 · HSK · BCT · TSC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
관광 전반(홍콩 · 마카오) · 세계유산 · 9단8묘 · 5A급 여유경구 · 중국국가박물관 · 중화민족원 · 유니버설 베이징 리조트 · 상하이 디즈니 리조트(상하이 디즈니랜드) · 홍콩 디즈니랜드 · 스튜디오 시티 워터파크 ·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 · 베이징 대관원
전시장
베이징 전시센터 · 전국농업전람관 · 중국국제전람센터 · 국가회의센터 · 국립전시컨벤션센터 · 상하이 국제엑스포센터 · 충칭 국제엑스포센터 · 수출입상품교역회전시관 · 선전세계전시컨벤션센터 · 선전전시컨벤션센터 · 우한 국제엑스포센터 · 난징 국제엑스포센터 · 쑤저우 국제엑스포센터 · 쿤밍뎬츠국제컨벤션센터 · 홍콩 컨벤션센터 · 아시아월드엑스포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 기타 ]


1. 개요
1.1. 중국의 국적 제도
2. 사용처
3. 공민신분번호
4. 중국 국민용 신분증
4.1. 일반 신분증
4.1.1. 거민신분증
4.1.2. 거주증
4.1.3. 호구부
4.1.4. 퇴휴증
4.1.5. 노간부이휴영예증
4.1.6. 노년우대증
4.2. 본토 외부지역 신분증
4.2.3. 해원증
4.2.4. 홍콩·마카오, 타이완 거민거주증
4.2.7. 홍콩·마카오, 타이완 통행증
4.3. 기동차 가사증
4.4. 학생증
4.5. 잔질인증
4.6. 직업 신분증
4.7. 변경관리구증
4.7.1. 변경관리구증/외국인여행증이 필요한 지역 목록
5. 외국인용 신분증
5.1. 영구거류신분증
5.2. 외국인공작허가증


1. 개요[편집]


중화인민공화국에서 통용되는 신분증들을 정리 및 설명하는 문서이다. 일국양제의 시행으로 홍콩마카오에서는 통용되지 않는다. 하나의 중국을 지향한다고는 하나, 사실상 별개의 국가로 중화인민공화국의 통치권이 미치지 않는 대만에서 또한 통용되지 않는다.

중국의 신분증 제도는 1984년 4월 6일을 기해 실행되었으며, 당시 신분증은 그야말로 단순하였고 보안이랄 것이 없었기에 개인정보 약탈에 매우 취약하였다. 또한 당시에는 만 16세 이상만 신분증 발급이 가능했었다. 만 16세 미만은 2003년 6월 28일부터 발급이 가능하게 된다. 다만 16세 미만은 신분증 유효기간이 영구가 아닌 5년으로 제한된다.

2004년 3월 29일, 2세대 신분증이 공개된다. 기존 신분증에 비해 크게 개혁되었는데, 이 때부터 중국 신분증에 IC칩이 내장될 수 있게 되고 동시에 카드에 위조 방지 필름을 붙여서 발행되며 위조 방지용 문자가 내장되고 내부에 디지털 칩을 심어서 디지털 위조 방지를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안면사진이 흑백에서 컬러로 교체되고 글자 크기도 더 크게 바뀌었다.

2012년 1월 1일부터는 신분증에 지문이 등록되며, 만약 기존 신분증에 지문이 없으면 의무적으로 재발급을 받아야 한다. 또한 이 때부터 2004년 3월 29일 이전 신분증은 효력을 잃는다.


1.1. 중국의 국적 제도[편집]


중국의 국적 제도가 워낙 복잡한지라 이를 먼저 이해하고 넘어가면 좋다. 국적 제도를 이해해야 발급 대상을 추려낼 수 있기 때문. 이 문단에서는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두 정부를 아우르는 명칭으로써 "중국"을 사용한다. 여기서의 중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줄임말이 아니라 중국이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으로 나눠지기 전 청나라 계승 직후의 현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이 있는 땅을 일컫는 말이다.

중국에서는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 각각의 정부가 서로 유일한 정부라고 주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밑받침 한 것이 92공식이다. 즉,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키되 지칭하는 "중국"이 "중화인민공화국"으로 해석될 것이냐 "중화민국"으로 해석될 것이냐는 각자 정부의 권한이라는 합의이다. 그런 만큼 두 개의 정부 모두 다 서로 "중국 국적"은 단 1개의 국적이지만 각각 중화인민공화국의 공민 또는 중화민국의 국민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대한민국북한을 인정하지 않고 북한인까지 모두 대한민국 국적자로 인정하는 것과 비슷하다.

다만 국적을 모두 합쳐서 관리한다면 행정적으로 오류가 너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민등록제도 같은 호적을 도입하여 호적을 기준으로 나누게 된다. 본적지가 어디에 있으냐에 따라서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국적의 권리와 의무등이 바뀌는 것이다.

  • 모든 중국인은 중국 국적이다.
    • 중국 국적을 소유하고 있고 중국 대륙에 호적의 본적지가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공민[1]
    • 중국 국적을 소유하고 있고 타이완 섬에 호적의 본적지가 있다: 중화민국 국민[2]
    • 중국 국적을 소유하고 있고 대만 섬에 호적이 없으며 홍콩/마카오 영주권을 보유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국민[3]이자 홍콩/마카오 시민
    • 중국 국적을 소유하고 있지만 위 지역에 본적지가 없는 해외 체류 화인이다: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 중 원하는 대로 선택하면 된다. 대한민국 거주 화교들이 대부분 이에 해당하지만 대부분 중화인민공화국이 아닌 중화민국 여권을 사용한다.[4] 중화인민공화국에 입국시에는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발급한 여행증을 사용하며 중화민국에 입국시에는 중화민국에서 발급한 국민번호가 없는 여권과 대만지구 거류증 또는 입국허가 등[5]을 이용한다.

공민은 중화인민공화국 대륙 본토에 납세 의무등이 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여권을 발급받게 된다. 다만 1개의 국적을 지향하는 만큼 중화민국도 중화인민공화국 공민들에게 중화민국 여권을 발급해 주는데, 이 중화민국 여권에는 중화민국 국민번호가 없다. 국민번호가 없는 중화민국 여권은 무비자 혜택등이 모두 제외되며 거의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여권이다. 반대로 중화민국 국민들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여행증을 발급받을 수 있으며 이는 밑 문단참조.

신분증들은 대부분 중화인민공화국 공민이 발급받을 수 있는 신분증들이다.


2. 사용처[편집]


밑에 나열한 사항에서는 의무적으로 신분증이 지참되어야 한다.

  • 호적 등록 및 변경 시
  • 병역 등록 시
  • 혼인신고 및 입양 시
  • 출국 신청 시
  • 장거리 대중교통 이용 시
  • 은행 및 통신서비스 이용 시
  • 가오카오, CET-4, CET-6, 운전면허, IELTS 등의 중국 내 국가적 시험 응시 시
  • 주숙등기/호텔 숙박 시[6]
  • 병원 의료서비스 이용 시
  • PC방 이용 시
  • 천안문 등의 국가중요시설 입장 시

이 외에도 기타 신분증이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곳이 있으면 지참하여야 한다.[7] 전체주의 국가 답게 신분증 확인을 빈번하게 하는 편이다.


3. 공민신분번호[편집]


公民(gōngmín身份(shēnfèn号码(hàomă
파일:시진핑 주민등록번호1.jpg
파일:시진핑 주민등록번호2.jpg
인터넷에 유출된 시진핑 중국 주석의 신분정보. 유출 당시 신분은 주석이 아니라 국무원 판공청 소속 공무원이었다.
대한민국의 주민등록번호와 유사한 제도로, 총 18자리로 이루어진 신분번호이다. 1999년 8월 26일 첫 사용이 되었으며 동년 10월 1일을 기해 모든 중국 공민들에게 발급되었다.

과거에는 숫자가 15자리였는데, 덕분에 코드 숫자가 부족해져서 2017년부터 18자릿수로 다시 발급되었다. 근데 첫 시행 시에 혼동이 심했는지, 무려 171만여개의 중복코드가 발생하였다고 한다.(...) 물론 정리를 꾸준히 해서 안정되기는 했다.

공민신분번호 18자리는 막 나오는 것이 아닌 밑에 나열된 규칙에 따라 발급된다.

  • 첫 6자리는 현급행정구 행정구역 코드이다. 예를 들어, 베이징시 둥청구의 경우 110101의 코드가 기재된다.
  • 그 다음 8자리는 생년월일 8자리이다. 우리나라와 같이 년월일 순이다. 예를 들어, 1953년 6월 15일생의 경우 19530615의 코드가 기재된다.
  • 그 다음 3자리는 앞 14자리가 공유되는 사람들에 한해 발급되는 성별 코드이다. 짝수는 남자가, 홀수는 여자가 받는다. 안 겹친다고 숫자 기재가 안 되지는 않고 어쨌든 기재는 되며, 3자릿수인데다가 앞의 14자릿수와 안 겹치도록 발급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상당히 복잡한 발급절차를 가지고 있다.
  • 마지막 1자리는 검사코드로, 숫자가 기재된다. 해당 코드는 ISO 7064:1983MOD 11-2의 승인을 밭은 검사방식으로 코드를 만들어서 1자릿수인 경우 작은 숫자 순서대로 1부터 9까지 나열되며, 두자릿수부터는 일괄 X로 표시된다.


4. 중국 국민용 신분증[편집]



4.1. 일반 신분증[편집]



4.1.1. 거민신분증[편집]


신분증

[ 펼치기 · 접기 ]
국가
발급 대상
국적별
자격별
직책별
내국인
외국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주민등록증
청소년증
시·도민증
외국인등록증
영주증
외국국적동포국내거소신고증
대한민국 여권
국가기술자격증
국가전문자격증
건설기계조종사면허
운전면허증
공무원증
사원증
학생증
공동인증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미국 여권 카드
TTP 카드
(NEXUS·GE·SENTRI·FAST)
미국 영주권(그린카드)
EAD 카드
미국 여권
미국 여권 카드
강화 운전면허증
TTP 카드
강화 운전면허증
(MI·MN·NY·VT·WA)
주·속령 운전면허증
사회보장카드
DMV 발행 신분증
주·시정부 발행 신분증
(NYC, NY)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신분증명서(A4)
특별영주자증명서
재류카드
JTTP
외국인등록증
일본 여권
일본 운전면허증
개인번호카드
주민기본대장카드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독일 신분증
독일 체류허가
독일 여권
독일 신분증
독일 운전면허증
(단독소지 EU 역내여행 불가)
학생증 등
QES 전자서명
(유럽연합 eIDAS)

국제 통용
여권
출국허가 인정 신분증
EEA 표준 운전면허증
국제운전면허증
국제학생증
[ 그 외 지역 및 국가 - 펼치기 · 접기 ]




거민신분증
居民身份证
Resident Identity Card

파일:중국 신분증.png파일:중국 임시거민신분증.jpg
발급 국가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틀:국기|
]][[틀:국기|
]]

발급 기관
중화인민공화국 공안부
제작 기관
上海华虹(集团)有限公司
北京同方微电子有限公司(THR9904) 등
도입 시기
1984년
발급 대상
중화인민공화국에 호적을 가진 자
호적은 말소되었으나 주둔/입대 전 중화인민공화국에 호적을 둔 중국 인민해방군 현역 군인 또는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현역 장병.
유효 국가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틀:국기|
]][[틀:국기|
]]
(국내 신분증으로서)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자문화권 (한자 성명 증빙)
[[북한|

북한
display: none; display: 북한"
행정구
]]
(여행 문서로서, 동림군 2일/신의주시 1일)
사양 및 제원
[ 펼치기 · 접기 ]
사진
성별
생년월일
주소

26mm×32mm
358dpi


性别 〇


出生 YYYY 年 M 月 D 日


住址 〇〇省〇〇市···

개인식별번호 유출안전성
문서 번호
발행일
만료일
×
공민신분번호 평생 변경불가

×
없음.


有效期限 YYYY.MM.DD-YYYY.MM.DD

생체정보보호
서명
발행국 코드
소지자 국적

미출력
단 지문 수집 및 안면인식 시스템 운용

×


×


×


ICAO Doc 9303-5
기계가독부 (MRZ)

ICAO Doc 9303
파일:전자여권 검은색 로고.svg파일:EPassport_logoWhite.svg

ISO/IEC 14443
파일:컨택리스 표시.svg파일:EMV 비접촉 결제 로고 (흰색).svg

ISO/IEC 7816-2
파일:SmartCardPinout.svg

×


×



Type B

×


비고
온라인을 통한 제3자 검증 가능.

언어별 표기
[ 펼치기 · 접기 ]
표준중국어
居民(jūmín身份证(shēnfènzhèng
월어
居民(geoi1man4身份证(san1fan6zing3
오어
居民(jymin(T3)身份证(senventsen(T1)
객가어
居民(kî-mìn身份证(sṳ̂n-fun-chṳn
민남어
居民(ku-bîn身份证(sin-hūn-chèng
민동어
居民(gṳ̆-mìng身份证(sĭng-hông-céng
한국어
거민신분증
영어
Resident Identity Card

居民(jūmín身份证(shēnfènzhèng
중국의 주민등록증으로, 특별한 수사 없이 그냥 중국 신분증이라 칭하면 보통 이 거민신분증을 가리킨다. 신분증 제도가 시작됨과 동시에 발급하였으며, 위에 설명한 신분증 설명도 사실상 이 신분증을 설명 한 것이라고 봐도 된다. 또한 분실 등의 이유로 발급되는 임시거민신분증(临时居民身份证)도 존재한다. 임시거민신분증은 유효기간이 3개월로 매우 짧으며, Type B 전자칩이 탑재되어있지 않다.

중국 국적이며 중국 본토에 호적이 있는 공민만 발급 받을 수 있다. 중국 국적을 가진 홍콩 또는 마카오 영주권자 이거나, 대만 호적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본적지를 중국 본토로 옮기면 발급이 가능하다. 물론 상하이나 베이징의 호적이라고 해도 거주 이전의 제약이 생기니 거민신분증을 얻으려는 사례는 거의 없고, 중장기 체류시에는 홍콩·마카오, 타이완 거민거주증을 발급받는 것이 보통이다.

만 16세가 된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필수적으로 발급받아야 하며, 만 16세 미만의 경우 자발적으로 신청이 가능하다. 즉 발급에 나이제한이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영유아들이 신분증을 발급받는건 필요성이 낮고 번거롭기 때문에 영유아의 신분 확인이 필요한 경우[8]에는 아래에 서술할 호구부를 사용하는게 일반적이다.

1958년 제정된 호구등기조례(户口登记条例)에 의해 2021년 7월 31일까지는 중국의 인민해방군인민무장경찰부대에 입대하는 모든 현역 군인은 호적이 말소되고 거민신분증도 실효됐었다. 원래 군인들에게는 군관증만이 발급되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민간인들은 군관증을 볼줄 모르고 일상 생활을 영위하는데는 또 치명적인 관행이 되어갔기에[9] 2008년부터는 희망시에 신분증을 재신청할 수 있게 바뀌었고 결국 2021년 8월부터는 호적을 남기도록 변경되어 재발급할 필요조차 없어졌다. 한국의 주민등록번호도 예전에는 비슷한 관습이 있었다. 이쪽은 탈영 방지 목적도 덧붙여졌으며 제대시 파쇄되지 않은 주민등록증을 재사용할 수 있었다.[10]

거민신분증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기재된다.
  • 정면
    • 국장 및 국명
    • 신분증 명칭 (거민신분증)
    • 발급기관
    • 유효기간

  • 후면[11]
    • 사진
    • 이름
    • 성별
    • 민족 - 중국에서 인정한 56개 민족만 기재되며, 그 외에는 그냥 미식별(未识别) 기타(其他) 혹은 입적(入籍)이라고만 적힌다.
    • 생년월일 - 우리와 같이 년월일 순이다.
    • 거주지
    • 공민신분번호

  • 유효기간
    • 16세 미만: 5년
    • 16세~25세: 10년
    • 26세~45세: 20년
    • 46세 이상: 영구
    • 임시거민신분증: 3개월
  • 발급비
    • 첫 발급: 무료
    • 갱신: 20위안
    • 재발급: 40위안
    • 임시 거민신분증: 10위안


4.1.2. 거주증[편집]


파일:거민증 정면.png
파일:거민증 후면.png
정면
후면
居住证(jūzhùzhèng
체류증이다. 위의 거민신분증과는 완전히 다른 신분증으로, 지방 정부의 체류허가를 받은 중국 국민들이 발급받는다. 이게 무슨 소리냐면, 중국은 거주 이전의 자유가 없기 때문에 무조건 자신의 법적 거주지에서 거주하여야 하는데, 취업, 학업 등의 이유로 자신의 법적 거주지 밖으로 나가는 사람들이 많아지자 이들에게 임시로 해당 지역에 거주할 수 있게 허가증을 발급하는 것이다. 그래서 홍콩, 마카오, 대만 사람들도 발급받을 수 있다.
또한 이 신분증은 법률로 정해진 신분증이 아니라, 해당 지방정부에서 외부인 관리를 위해 개별판단에 따라 발급하는 것이였는데[12], 2016년 법률개정으로 한국의 주민등록증처럼 타 지역 거주자는 의무적으로 발급하도록 바뀌었다.

거주증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기재된다.
  • 정면
    • 발급지역
    • 발급기관
  • 후면
    • 이름
    • 성별
    • 민족 - 중국에서 인정한 56개 민족만 기재되며, 그 외에는 그냥 미식별(未识别) 기타(其他) 혹은 입적(入籍)이라고만 기재된다.
    • 생년월일 - 연월일 순이다.
    • 본적지
    • 거주지
    • 공민신분번호

4.1.3. 호구부[편집]


파일:중국 호구부 외부.jpg
파일:중국 호구부 내부.png
겉표지
내부
户口簿(hùkǒubù
중국의 호적등본[13], 혹은 가족관계증명서라고 할 수 있는 가족단위의 신분증이다. 말 그대로 호주와 그의 가족 사이의 관계를 증명하기 위해 사용되며, 수첩 형태로 발급된다. 영구적으로 효력을 지니며, 무료로 발급된다. 결혼, 부동산 구매, 초등학교 입학, 여권 발급, 가족관계 증명 등 여러 용도에 쓰이며, 신분증을 발급하지 않은 만 16세 중국 공민들이 신분을 확인할때도 사용된다.

엄밀히 말하면 가족관계증명서보다 더 나아가서 모든 가족 구성원들의 거주 및 이전의 자유를 제한하며 중국의 사회주의를 지탱하는 신분증이다. 다만 현대에는 딱히 사회주의를 지탱하기 위해서라기 보다는 지방정부에서 외지인들에게 많은 예산을 배정하는 일을 막기 위해 이러한 일을 지속하고, 중앙정부에서도 대도시 인구집중과 농촌인구 과소화현상을 막기 위해 이를 묵인하는것에 가깝다.

대한민국의 가족관계증명서는 말 그대로 가족 관계만 알려주지만, 중국의 호구부는 가족 관계를 넘어서서 그 가족이 실제로 거주해야되는 지역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지역을 벗어날 경우 의료보험이 없어지거나 자녀를 학교에 입학시키지 못하는 등 사회보장제도의 혜택을 받지 못한다.

가족관계를 증명하는 거민호구부(居民户口簿)가 일반적이지만, 대학에 입학하거나 취직을 하게 될 경우 원한다면 가족에서 벗어나 호구를 학교나 회사 (호구를 받지 못하는 회사의 경우 현지 인재교류중심(人才交流中心) 등 기관) 밑으로 넣을 수 있다. 그 외에 고아의 경우 보육원 밑으로 호구가 들어가는게 일반적이다. 이처럼 혈연관계가 없는 특수목적 동거자들을 위한 집체호구 첫페이지(集体户口首页)개인호구 페이지(个人户口页)가 존재한다.

중국에 소재하는 각국 재외공관에서 중국 국적자가 사증을 신청할때 이 호구부를 제출해야하며, 타 지역 거주로 인해 거주증도 있다면 그것도 제출해야 한다.

내부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기재된다.
  • 성명
  • 호주와의 관계 - 거민호구부는 가족관계가, 집체호구부는 그 외 호주와 맞는 관계가 적힌다.
  • 성별
  • 출신지 - 현급행정구까지만 기재된다.
  • 민족 - 중국에서 인정한 56개 민족만 기재되며, 그 외에는 그냥 미식별(未识别) 기타(其他) 혹은 입적(入籍)이라고만 적힌다.
  • 본적지
  • 거주지
  • 생년월일 - 우리와 같이 년월일 순이다.
  • 종교 - 번호로 기재된다.
    • 00: 무종교. 다만 무종교는 본인이 원하는 경우에 한해 공란으로 둘 수 있다.
    • 10: 불교
    • 20: 티베트 불교
    • 30: 도교
    • 40: 가톨릭
    • 50: 기독교(정확히는 개신교)
    • 60: 정교회
    • 70: 이슬람
    • 99: 기타
  • 공민신분번호
  • 신장
  • 혈액형 - ABO 밖의 혈액형은 불명(不明)으로 기재된다.
  • 교육 수준[14] - 졸업, 학사, 석사, 박사, 재학 등으로 기재되며, 상용한자 500자 미만만 읽을 수 있거나 기본교육 미수료자는 문맹으로 기재된다.
  • 결혼여부
  • 병역여부
  • 직업 및 직업형태
  • 구 거주지
  • 승인자의 날인
  • 발행일

4.1.4. 퇴휴증[편집]


파일:퇴휴증 겉면.jpg
파일:퇴휴증 내부.jpg
외부
내부. 직장에 따라서 내부 모습은 약간의 차이가 있다.
退休证(tuìxiūzhèng
중국의 퇴직증명서로, 특정 직장에 근무하던 직원이 해당 직장에서 퇴직하면 이를 증명하는 증명서를 발급한다. 이게 있으면 퇴직금 등의 여러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단, 아무에게나 발급해주는 것은 아니고, 이하 조건 중 하나 이상 해당시에만 발급된다.

  • 남성은 60세, 여성은 50세 이상이며 10년 이상 근무한 자
  • 위험지역 근무자는 남성은 55세, 여성은 45세 이상이며 10년 이상 근무한 자
  • 노동감정위원회 혹은 병원의 승인을 받은, 추가적 경제활동이 힘든 남성은 55세, 여성은 45세 이상의 퇴직자
  • 노동감정위원회 혹은 병원의 승인을 받은, 추가적 경제활동이 불가능한 자

4.1.5. 노간부이휴영예증[편집]


파일:노간부이휴영예증 외부.jpg
파일:노간부이휴영예증 내부.jpg
외부
내부
老干部(lǎogànbù离休(líxiū荣誉证(róngyùzhèng
대한민국으로 치면 국가유공자증에 해당되나 더 정확히는 건국훈장 수훈을 받은 자들에 가까운 신분증으로써,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에 상당한 공을 세운 자들이 받는 신분증이다. 그래서 지방정부 혹은 공안부같은 일반 행정부처가 발급하는 기타 신분증과는 다르게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이 직접 발급한다.


4.1.6. 노년우대증[편집]


파일:후난성 노년증.jpg
파일:광저우시 노년우대카드.jpg
수첩
카드. 해당 사진은 광저우시의 카드다.
老年(lǎonián优待证(yōudàizhèng
2006년에 발급을 시작한 노인 우대증서로, 만 60세 이상의 노년층이 발급받으며, 만 65세가 넘으면 노인우대혜택을 받을 수 있다. 자신의 본적지 혹은 6개월 이상 체류한 외부지역에서 발급 신청이 가능하고 지방마다 증서의 색이나 모양이 약간씩 다르다.

카드형과 수첩형이 있는데 이는 지방마다 다르다. 노년우대증은 지방정부 사무이기 때문에 지방정부가 개별적으로 발급하고 필수기재내용만 제외하면 통일된 규격도 없어서 지역마다 복불복인데, 그래서 성급 정부나 대도시급 지급 정부의 경우 세련되고 현대적인 카드가 나오지만 어디 시골 농촌은 아직까지도 직접 수첩에다가 수기로 정보를 써서 발급하기도 한다. 또한 지방에 따라 카드와 수첩 둘 다 발행하는 곳도 있고 선택발행을 해 주는 곳도 있다.

노년우대증은 다음과 같은 정보가 기재된다.
  • 이름
  • 성별
  • 민족
  • 공민신분번호
  • 발급일

해당 신분증을 보유한 사람들에게는 다음과 같은 혜택이 지급된다.

  • 공원, 동물원, 식물원 무료 입장
  • 스포츠 시설 무료 이용
  • 전시장, 기념관, 문화회관, 박물관, 전시장, 기념묘지 무료관람, 공공도서관 무료 대출
  • 영화 관람 및 문화재구역 입장비 반액
  • 시내버스 무료
  • 일반 진료비 면제
  • 유료 화장실 이용비 면제
신장 위구르 자치구 우루무치에서는 여기서 몇 가지 특혜를 더 준다.
  • 시내 및 시외 교통편 전반의 티켓팅 우선권 부여
  • 법률상담 및 법률구조정책 우선권 부여


4.2. 본토 외부지역 신분증[편집]



4.2.1. 여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국 여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중화인민공화국 전자 여권 커버.jpg
护照(hùzhào


4.2.2. 여행증[편집]


파일:중국 여행증 겉면.jpg
파일:중국 여행증 내부.jpg
외부
내부
旅行证(lǚxíngzhèng
중국은 여행은 어느 정도 자유로운 편이지만, 일부 지역에 대해서는 여행에 허가가 필요하다. 홍콩과 마카오가 대표적으로, 이 두 지역은 일국양제에 따라 중국 대륙에 호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홍콩과 마카오를 출입하는 데 공안 당국에 여행증을 발급 받을 필요가 있다. 반대로 홍콩인, 마카오인들도 중국 대륙을 여행하려면 각 지역의 중국 연락 사무소에서 여행증을 발급 받아야 한다. 명목상 홍콩과 마카오는 중국령이지만 중국 대륙과 홍콩, 마카오는 근대 시절을 서로 다른 국가로 지내왔기에 반환 후에도 서로 간의 출입에 제약을 둔 것이다.[15]

홍콩은 중국 본토에 비하면 어느 정도 민주적이고 자유롭다. 홍콩에서는 반중공 시위도 빈번히 일어나며, 홍콩 우산 시위, 홍콩 범죄인 인도법 반대 시위 때처럼 사태가 커지면 중국은 홍콩-중국 경계를 닫아버려 본토에 '불온한' 움직임이 확산되는 것을 차단한다. 마카오는 중국 내에서 도박이 심각한 골치덩어리인데 마카오가 카지노로 돈벌이하는 곳인지라 무턱대고 풀어버리면 도박 중독자들이 늘어날 게 뻔하기 때문에 일부러 여행제한을 두지만, 이렇게 해도 도박 중독자들이 마카오로 많이 드나드는 것이 현실이기는 하다.

기능 자체만 보면 다른 나라의 여행증명서와 비슷하지만 이러한 배경 덕에 IATA Timatic에서도 Travel Certificate를 두고 Lu Xing Zheng으로 분류한다.

또한 중국은 중국 대륙으로 입국하는 대만인들한테도 비자 대신 대만 주민 대륙 왕래 통행증 정도로 번역할 수 있는 여행증을 발급한다. 대만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때 예외사항이 아닌 이상 대만 여권은 사용하지 못 한다. 한편 UN에서 대만은 정식 국가로 승인을 받지 못 하고 있는 UN 등에서는 대만 여권이 아닌 중국에서 발급한 여행증만 인정된다고 한다.

예전에는 선전시 등 경제 특구로 여행하는 데도 허가가 필요했던 시절이 있었지만 폐지되었다.

중국은 부모의 출신지에 따라 호적을 부여하고 이 호적이 있는 지역에서만 공교육, 부동산 매매, 각종 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게 하여 사실상의 거주 이전의 자유가 제한된다. 이 제도는 마오쩌둥 때 만들어진 것이지만, 개혁개방 이후로도 대도시로의 과도한 인구 집중을 막기 위한 목적도 있고, 호구를 가진 타지 사람들이 많아질 경우에는 복지비용이 늘어나는 이유도 있기 때문에 예산문제로 존속되고 있다. 그래서 중국의 농촌 황폐화 정도가 일본이나 한국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덜 하지만 도농격차가 적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베이징, 상하이, 톈진 등 대도시 지역의 후커우를 가지면 농촌지방 후커우를 가진 사람들보다 봉급, 인프라 시설 등에 있어서 많은 혜택을 입는지라 대도시 지역 후커우를 가진 사람들과 결혼하려고 애쓰는 경우도 많고,[16] 젊은 농촌 청년들은 돈을 벌려고 도시로 많이 상경하는데 돈을 어느 정도 벌거나 나이가 차면 다시 고향으로 되돌아오는 경우가 많고, 돈이 없으면 자녀들을 도시로 전학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따로 사는 경우도 많다.

2017년 6월부터는 중국 외의 국가에서 태어난 복수국적 아기들을 대상으로 비자 대신 발급하도록 변경되었다.


4.2.3. 해원증[편집]


파일:중국 해원증 외부.jpg
파일:중국 해원증 내부.jpg
외부
내부
海员证(hăiyuánzhèng
중화인민공화국 교통운수부에서 발급하는 선원수첩이다. 5년의 유효기간을 가지며, 선원들에 한해 여권과 동일한 효능을 부여한다. 무비자 국가가 아니어도 선원수첩 소지자의 업무중 방문인 경우 쇼어 패스를 신청해 72시간 이내 체재가 가능한 경우가 많아 통상적인 사증보다는 간소한 절차로 입국할 수 있다. 사전에 승무원 입국 조건을 확인해 입국 조건 충족, 검역 신고 등의 준비가 필요하다. 중국 기준 무비자 입국 가능국가가 아닌 나라는 특히 해원증에 의존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입국하고자 하는 국가에서 쇼어 패스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 않다면 승무원 비자가 필요하다.

한국 입국 시에는 출입국 목적으로는 사용할 수는 있으나 여권도 같이 지니고 있는 편이 좋다. 홍콩, 마카오 거주자의 경우 본적지를 중국 본토로 옮겨야 발급이 가능하다. 대만 거주자의 중화인민공화국 해원증 발급은 2020년부터 제한적으로 시행중이다.


4.2.4. 홍콩·마카오, 타이완 거민거주증[편집]


홍콩·마카오 거민거주증
타이완 거민거주증

港澳居民居住证
台湾居民居住证
Residence Permit for Hong Kong, Macao and Taiwan Residents

파일:강아오타이 거민거주증.jpg
발급 국가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발급 기관
중화인민공화국 공안부
제작 기관
上海华虹(集团)有限公司
北京同方微电子有限公司(THR9904) 등
도입 시기
2018년 9월 1일
발급 대상
취업, 취학 또는 중국 대륙에 6개월 이상 거주하는
홍콩, 마카오, 대만 거주자[17]
유효 국가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국내 신분증으로서)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자문화권 (한자 성명 증빙)
사양 및 제원

[ 펼치기 · 접기 ]
사진
성별
생년월일
주소

26mm×32mm
358dpi


性别 〇


出生 YYYY 年 M 月 D 日


住址 〇〇省〇〇市···

개인식별번호 유출안전성
문서 번호
발행일
만료일
×
공민신분번호 평생 변경불가


通行证号码


有效期限 YYYY.MM.DD-YYYY.MM.DD

생체정보보호
서명
발행국 코드
소지자 국적

미출력
단 지문 수집 및 안면인식 시스템 운용

×


×


×


ICAO Doc 9303-5
기계가독부 (MRZ)

ICAO Doc 9303
파일:전자여권 검은색 로고.svg파일:EPassport_logoWhite.svg

ISO/IEC 14443
파일:컨택리스 표시.svg파일:EMV 비접촉 결제 로고 (흰색).svg

ISO/IEC 7816-2
파일:SmartCardPinout.svg

×


×



Type B

×


비고
온라인을 통한 제3자 검증 가능.

언어별 표기

[ 펼치기 · 접기 ]
표준중국어
(găng(ào(tái居民(jūmín居住证(jūzhùzhèng
월어
(gong2(ou3(toi4居民(geoi1man4居住证(geoi1zyu6zing3
객가어
(kóng(o(Thòi居民(kîmìn居住证(kîchhuchṳn
민남어
(káng(ò(Tâi居民(ku-bîn居住证(ku-chūchèng
한국어
강아오거민거주증
타이완거민거주증
영어
Residence Permit for Hong Kong, Macao and Taiwan Residents


중국에서는 홍콩, 마카오, 대만을 묶어서 강아오타이(港澳台)라고 부른다. 홍콩, 마카오, 대만 거주자가 발급받는 신분증으로, 현지에 본적을 둔 사람들이 중국 본토로 올 때에 발급받으며 유효기간은 5년이다. 이 문단에서는 편의상 홍콩·마카오(강아오)와 타이완을 묶어서 서술하지만, 실제로는 홍콩·마카오 거민거주증과 타이완 거민거주증으로 나뉘어져 있다.

과거 홍콩·마카오 주민은 회향증(回乡证), 대만 주민은 대포증(台胞证)으로 신분을 증명하였는데, 온오프라인 상에서 각종 업무를 보는 데 있어 지장이 많았기 때문에 새로 도입하였다고 한다.

해당 신분증에는 밑에 나열한 정보가 기재된다. 본토 신분증과 달리 ‘민족’ 항목이 없다. 만약 이 세 지역의 사람들이 본적지를 중국 본토로 옮기면, 해당 신분증은 효력을 잃으며 위에서 설명한 거민신분증을 발급받아야 한다.

  • 정면
    • 중국 국장
    • 발급기관
    • 유효기간
    • 발행번호 - 홍콩, 마카오는 9자리이며 대만은 8자리의 번호가 기재된다.
  • 후면
    • 이름
    • 성별
    • 생년월일 - 우리와 같이 년월일 순이다.
    • 거주지
    • 공민신분번호 - 홍콩, 마카오, 대만 본적자들 역시 법적으로는 중국 국적자이기 때문에 이들도 공민신분번호 발급이 가능하다. 다만 일부 온라인 시스템에서는 대륙 외 지역의 공민신분번호를 읽어들이지 못하는 오류가 존재한다.


4.2.5. 홍콩 신분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홍콩 신분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2.6. 마카오 신분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마카오 신분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2.7. 홍콩·마카오, 타이완 통행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화권/상호 왕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중국 본토, 홍콩, 마카오, 대만 주민들은 상호 왕래 시 일반적인 여권이나 신분증이 아닌 별도의 통행증이 필요하다. 종류가 굉장히 다양하고 복잡하므로 중화권/상호 왕래 문서를 참조하자.


4.3. 기동차 가사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운전면허/중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중국 운전면허증 겉면.jpg
파일:중국 운전면허증 내부 정보란.png
파일:중국 운전면허증 내부 추가란.png
외부
내부

机动车(jīdòngchē驾驶证(jiàshǐzhèng
운전면허증이다. 어느 나라나 다 그렇듯 운전면허증은 공인 신분증이며, 수첩 형태로 발급되고 안에 코팅된 종이가 들어있다. 다만 우리나라처럼 주민등록증은 집에 놓고 운전면허증만 들고다니며 신분을 인증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데, 일단 수첩 형태라 신분증보다 들고다니기 번거롭고, 전자칩이 내장되어있어 경찰 신분확인 단말기로 쉽게 신분확인이 가능한 신분증과 달리 운전면허증은 그렇지가 않고, 결정적으로 말로만 공인 신분증이지 계좌 개설이나 국내선 항공편 탑승 등 용도로 사용이 불가능하여 사실상 이름 그대로 철저히 운전 면허 자격을 증명하는 용도로만 쓰인다. 그래서 자동차 수납함에 넣어두고 필요할때만 꺼내서 쓰는게 일반적이다.

중국은 도로교통에 관한 제네바 협약에 가입되지 않은 나라인지라 국제적 통용은 전혀 되지 않고 오직 중국 내부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 중국 운전면허증으로는 국제운전면허증 발급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중국인이 해외에서 차를 몰려면 현지에서 재시험을 보거나 아니면 중국 면허증 사용가능협약을 맺은 나라[18]에서만 사용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한국에서 발급받은 운전면허증으로 만든 국제운전면허증 역시 중국에서는 안 먹혀서 중국에서 차를 몰려면 중국에서 다시 시험을 봐야만 하나 이는 주숙등기가 되어있는 장기체류자만 가능하며 90점 이상을 받아야 하는 필기시험이 전부다. 기능·도로주행 패스 또한 외국인이 볼 수 있는 시험은 C와 E에 해당하는 승용차량/이륜오토바이 부분 뿐으로, 그 외 부분은 불가하다.

2008년까지는 그냥 빳빳한 일반 플라스틱이였지만 이후 위조방지 기술 도입을 시도하여 2013년부터 위조 방지 기술이 도입되었다.

발급비는 10위안이며 최초 발급 시 유효기간 6년, 그 이후 갱신 발급시에는 유효기간 10년이다.

운전면허 종류별로 연령별 상한선이 있다. 대형차량(A, B, N, P)의 경우 50세까지만 취득, 60세까지만 유효하고, 이륜/삼륜 계열 면허의 경우 60세까지만 취득, 70세까지만 유효하다. 특히 일반인이 가장 많이 따는 소형차량(C1, C2) 및 원동기(F) 면허의 경우, 연령 상한은 2020년 11월 이후 폐지되었으나, 70세 이상 면허증 보유자는 매년 건강진단을 받아 합격해야 운전면허가 유지된다.

내부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기재된다.
  • 이름
  • 성별
  • 거주지
  • 생년월일 - 우리와 같이 년월일 순이다.
  • 유효기관
  • 발급기관 날인
  • 차량 유형
    • 대형 차량: A1
    • 트랙터: A2
    • 시내 대중교통: A3
    • 중형 차량: B1
    • 대형 화물차량: B2
    • 소형 차량: C1[19]
    • 소형 오토 기어 자동차: C2[20]
    • 저속 화물차량: C3
    • 삼륜차량: C4
    • 장애인용 오토 기어 자동차: C5
    • 보통 삼륜오토바이: D
    • 보통 이륜오토바이: E[21]
    • 모터바이크: F
    • 자율주행 자동차: M
    • 무궤도 차량: N
    • 유궤전차: P
그 외에도 중국 인민해방군은 독자적인 운전면허증을 발급한다.
  • 해방군 기동차 가사증(解放军机动车驾驶证): 군인 운전면허증
  • 무경 기동차 가사증(武警机动车驾驶证): 무경 운전면허증

2021년 6월부터 모바일 운전면허증서비스가 일부 도시에서 交管 12123 어플을 통해 시범운영되었는데 12월 10일부터는 전국으로 확대시행되었다. 기사

4.4. 학생증[편집]


学生证(xuéshēngzhèng
중국 내의 학생들이 받는 수첩 형태의 증서로, 재학 기간에만 유효하며 필수교육이 최종적으로 이수되거나 혹은 어떠한 이유로 자퇴를 하면 효력이 정지된다.[22] 노인증과 마찬가지로 해당 증서를 보유하고 있으면 관광지입장료(门票) 반값 등 여러가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증서와 내부 카드 모두 학교에 따라 판이하게 다르다.


4.5. 잔질인증[편집]


파일:잔병인증 증서.png
파일:잔병인증 증서 내부.jpg
증서 외부
증서 내부
파일:잔병인증 증서 카드.jpg
카드

残疾人证(cánjírénzhèng
중국 정부가 공인한 장애인들에게 발급되는 신분증이다. '잔질인(殘疾人)'은 장애인을 뜻하는 중국어로, (병을 고칠 수 없어) 증상(疾)이 남아있다(殘)'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조선시대에도 장애인을 가리키는 말 중 하나로 쓰였다. #

1995년에 첫 발급이 되었으나 당시에는 무슨 장애가 있는지 적혀 있지 않았고 장애인 번호도 거의 랜덤에 가깝게 적혔어서 그야말로 있으나 마나 한 물건이었다. 그래서 2009년에 장애 여부 및 장애인 번호 규정 정리 등을 도입한 신형 장애인증이 발급되었고, 2014년부터는 내부에 전자 칩을 넣은 장애인증이 발급되고 있다.

일반 장애인증 외에도 복무 중 장애를 입은 군인 및 경찰, 공무원 등에게도 발급이 되는데 해당 장애인증은 다음과 같은 명칭이 붙는다.

  • 장애군인: 잔질군인증(残疾军人证)
  • 전쟁 부상자: 인전인공 상잔인원증(因战因公伤残人员证) - 이 증서는 전투 혹은 임무 수행 중 부상을 당한 자에게 수여되는 증서다. 그래서 꼭 군인이 아니더라도 발급이 가능하다.
  • 장애경찰: 상잔인민경찰증(伤残人民警察证)
  • 장애공무원: 상잔공무원증(伤残公务员证)

해당 증서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기재된다.
  • 성명
  • 장애인 번호 - 20자리 번호로, 앞의 18자리는 위의 공민신분번호이며, 뒤의 두 자리는 장애인 코드 및 장애등급이 적힌다. 장애인 코드는 다음과 같다.
    • 시각 장애: 1
    • 청각 장애: 2
    • 언어 장애: 3
    • 신체 장애: 4
    • 지적 장애: 5
    • 정신 장애: 6
    • 다중 장애: 7
  • 발급일


4.6. 직업 신분증[편집]


파일:인민경찰증.jpg
파일:인민경찰증 내부.png
각각 외부와 내부

  • 인민경찰증(人民警察证): 중화인민공화국 인민경찰에게 발급되는 증서로, 법적으로 인정된 경찰들이 발급받는 증서다. 하나로 이루어진 증서는 아니고 소속 부서에 따라 세부적으로 나뉜다. 다만 겉 모습은 모두 같으며, 내부 공무원증에서도 소속만 다르게 적혀있다.
    • 공안기관 인민경찰증(公安机关人民警察证): 공안부 소속 경찰증서
    • 국가안전기관 인민경찰증(国家安全机关人民警察证): 국가안전부 소속 경찰증서
    • 사법행정기관 인민경찰증(司法行政机关人民警察证): 사법부 소속 경찰증서. 즉, 이 증서는 중국의 교정직 공무원증이라고 보면 된다.
    • 검찰기관 인민경찰증(检察机关人民警察证): 검찰원 소속 사법경찰증서
    • 인민법원 사법경찰증(人民法院司法警察证): 인민법원 소속 사법경찰증서

파일:소방구원대증.jpg
파일:소방구원대증 내부.png
각각 외부와 내부

  • 소방구원대증(消防救援队证): 중국소방구원대에게 발급되는 증서로, 법적으로 인정된 소방관들이 발급받는 증서이다. 담당 직무 및 계급에 따라 증서가 다르다. 다만 겉 모습은 색을 제외하면 다 같고 글자만 다르게 나타난다.
    • 국가종합성 소방구원대오 간부증(国家综合性消防救援队伍干部证): 간부급 소방관 증서
    • 국가종합성 소방구원대오 소방원증(国家综合性消防救援队伍消防员证): 일반 소방관 증서
    • 국가종합성 소방구원대오 학원증(国家综合性消防救援队伍学员证): 소방생도 증서
    • 국가종합성 소방구원대오 퇴휴증(国家综合性消防救援队伍退休证): 퇴직 소방관 증서

파일:중국 군관증.jpg
파일:중국 무경증 외부.jpg
각각 군관증과 무경증 외부
파일:중국 군관증 내부.jpg
파일:중국 무경증 내부.jpg
각각 군관증과 무경증 내부
  • 군관증(军官证): 인민해방군 군인이 발급받는 증서로, 담당 직무 및 계급에 따라 증서가 다르다. 다만 겉 모습은 다 같고 글자만 다르게 나타난다.
    • 해방군 문직간부증(解放军文职干部证): 간부급 군무원 증서
    • 해방군 문직인원증(解放军文职人员证): 일반 군무원 증서
    • 무경경관증(武警警官证):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경관 증서
    • 무경 문직간부증(武警文职干部证): 무경 간부급 군무원 증서
    • 해방군 의무병증(解放军义务兵证): 병급 군인 증서
    • 해방군 사관증(解放军士官证): 사관급 군인 증서
    • 무경 사병증(武警士兵证): 사병급 무경 증서
    • 해방군 직공증(解放军职工证): 군대 내 근로자증
    • 무경 직공증(武警职工证): 무경 내 근로자증
    • 해방군 학원증(解放军学员证): 사관생도증
    • 무경 학원증(武警学员证): 무경생도증


4.7. 변경관리구증[편집]


파일:중국 본토민용 변경출입증.jpg
중국 본토민용
파일:외국인 변경여행증 외부.jpg
외국인용 외부
파일:외국인 변경여행증 내부.png
외국인용 내부
국가통제구역 출입을 위한 신분증으로, 특수한 경우에만 발급되나 일단은 신분증이라서 굳이 통제구역 방문이 아니더라도 신분 증명용으로 사용 가능하다만, 실질적으로 저걸 발급받을 확률 자체도 낮은데다가 통제구역 밖에서는 쓸 일 자체가 없어서 의미는 없다. 중국 국민 외에도 외국인 역시 발급이 가능하다.

본토민/외국인용 둘 다 통제구역 방문용이고 법적 지위도 같으나 본토민용과 외국인용은 이름이 약간 다른데, 본토민용은 변경관리구증(边境管理区证)이라고 부르고 외국인용은 외국인여행증(外国人游行证)이라고 부른다. 그 이유는, 본토민은 접경지같은 지역이 아니면 굳이 통제할 이유가 없지만 외국인은 그 외에도 치안불안정지역 혹은 대외에 개방을 꺼리는 지역에 입장을 함부로 시키면 곤란한 일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외국인여행증을 이 변경관리구증이 아닌 위 여행증과 비슷한 신분증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많다.

이 변경관리구증을 이해하려면 먼저 중국의 개방유형을 알아봐야 한다. 1985년 개혁개방이 한참 진행되고 있을 즈음에 국무원은 국토를 4개 유형으로 나누어 대외 개방정도를 결정하였다. 이 4개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 갑류지구(甲类地区): 대외 완전개방지로, 적합한 사증여권만 있다면 자유로운 왕래가 가능한 지역이다.
  • 을류지구(乙类地区): 개방지기는 하지만 사증 및 여권만으로는 입장이 불가능하고 추가 여행증이 필요한 지역이다.
  • 병류지구(丙类地区): 대외 미개방지이지만 여행증 발급 하에 학술이나 경제적 목적의 왕래 및 제한적인 여행이 가능한 지역이다.
  • 정류지구(丁类地区): 대외 미개방지로, 주로 국경 인근 혹은 군사시설 등의 시설이 위치 해 있어 외국인에게 철저하게 통제된 지역이다. 때문에 정류지구 관리구증은 외교 업무같이 중국 정부에서도 출입을 허가할만한 공무 목적이 아니고선 발급이 안 된다.

이후 을류지구가 전부 개방되면서 갑/을의 지구 구분이 무의미해지고, 사실상 여행증이 필요한 지역은 병/정류지구만 남게 된다. 그래서 중국 정부에서도 갑/을의 분류는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병/정 분류만 사용한다. 그리고 정류지구는 사실상 외부인의 입장이 불가능하므로 병류지구 중심으로 외부인 여행을 허가하는 증서를 발급하는 것이다. 현재 병류지구는 다음과 같다.


4.7.1. 변경관리구증/외국인여행증이 필요한 지역 목록[편집]


정류지구에 해당되는 지역인 군부대나 국경지역 등의 지역은 기재하지 않는다. 또한 해당 지역은 내국인용 기준으로, 외국인 기준으로는 이보다 훨씬 많은 지역이 추가된다.
  • 신장 위구르 자치구(新疆维吾尔自治区)
    • 하미시(哈密市) 전역
    • 창지 후이족 자치주(昌吉回族自治州)
      • 무리 카자흐 자치현(木垒哈萨克自治县)
      • 치타이현(奇台县)
    • 알타이지구(阿勒泰地区) 전역
    • 타청지구(塔城地区)
      • 타청시(塔城市)
      • 허부커싸이얼 몽골 자치현(和布克赛尔蒙古自治县)
      • 어민현(额敏县)
      • 위민현(裕民县)
      • 퉈리현(托里县)
    • 보얼타라 몽골족 자치주(博尔塔拉蒙古自治州)
      • 보러시(博乐市)
      • 아라산커우시(阿拉山口市)
      • 원취안현(温泉县)
    • 일리 카자흐 자치주(伊犁哈萨克自治州)
      • 훠청현(霍城县)
      • 찹찰 시버 자치현(察布查尔锡伯自治县)
      • 자오쑤현(昭苏县)
    • 아크수지구(阿克苏地区)
      • 원쑤현(温宿县)
      • 우스현(乌什县)
    • 키질수 키르기스 자치주(克孜勒苏柯尔克孜自治州) 전역
    • 카슈가르지구(喀什地区)
  • 티베트 자치구(西藏自治区) - 내국인은 산하 행정구역만 여행증이 필요하나 외국인은 티베트 전 지역에서 여행증을 요구한다.
    • 르카쩌시(日喀则市)
      • 중바현(仲巴县)
      • 싸가현(萨嘎县)
      • 녜라무현(聂拉木县)
      • 딩르현(定日县)
      • 캉마현(康马县)
      • 야둥현(亚东县)
      • 강바현(岗巴县)
      • 딩제현(定结县)
      • 지룽현(吉隆县)
    • 산난시(山南市)
      • 춰나현(错那县)
      • 룽쯔현(隆子县)
      • 뤄자현(洛扎县)
      • 랑카쯔현(浪卡子县)
    • 린즈시(林芝市)
      • 미린현(米林县)
      • 랑현(朗县)
      • 차위현(察隅县)
      • 모퉈현(墨脱县)
    • 아리지구(阿里地区)
      • 푸란현(普兰县)
      • 자다현(札达县)
      • 르투현(日土县)
      • 가얼현(噶尔县)


5. 외국인용 신분증[편집]


당연히 외국인도 중국 내부에서 신분증명을 해야하는 일이 발생한다. 이 경우에 외국인은 상기된 중국인 전용 신분증을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이하의 신분증으로 본인의 신분을 증명할 수 있다.

  • 해당 국가에서 발급된, 유효기간이 남아있는 여권 - 당연히 입국허가 도장이나 사증이 있어야 한다. 중국과 무사증협약을 맺은 국가의 외국인은 사증이 없어도 된다.
  • 이민관리국 산하 출입경관리소에서 작성된 여권분실증명서
  • 해당 국가(외국)에서 발급된 유효기간이 남아있는 선원증
  • 외국인 여행증 및 변경여행증
  • 외국인 출입경증(外国人出入境证) - 여권이나 비자와는 다른 증서로,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의 판단 하에 긴급히[23] 중국 입국이 필요한 외국인에게 발급되는 증서이다.
  • 외교관증

중국에는 한국의 외국인등록증이나, 일본의 재류카드에 해당하는 장기 체류 외국인에게 발급되는 외국인 전용 신분증이 따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중국에 체류하는 외국인은 외출 시 여권을 소지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아래 문단에서 소개할 영구거류신분증은 여권을 대신할 수 있지만, 애초에 중국은 영주권 취득하기가 굉장히 까다로운 나라라 대부분 외국인들에게는 해당되지 않는다.


5.1. 영구거류신분증[편집]


외국인영구거류신분증
外国人永久居留身份证
Foreign Permanent Resident ID Card


[ 2017년 개정 디자인 펼치기 · 접기 ]
파일:중국 영구거류신분증.jpg}}}[1]

발급 국가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발급 기관
중화인민공화국 국가이민관리국
제작 기관
上海华虹(集团)有限公司
北京同方微电子有限公司(THR9904) 등
도입 시기
2004년 8월 15일
발급 대상
외국 국적의 중화인민공화국 영주권자
유효 국가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국내 신분증으로서)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자문화권 (한자 성명 증빙)
사양 및 제원

[ 펼치기 · 접기 ]
사진
성별
생년월일
주소

26mm×32mm
358dpi


性别 〇


出生 YYYY 年 M 月 D 日

×


개인식별번호 유출안전성
문서 번호
발행일
만료일
×
공민신분번호 평생 변경불가

×



有效期限 YYYY.MM.DD-YYYY.MM.DD

생체정보보호
서명
발행국 코드
소지자 국적

미출력
단 지문 수집 및 안면인식 시스템 운용

×


×



ICAO Doc 9303-5
기계가독부 (MRZ)

ICAO Doc 9303
파일:전자여권 검은색 로고.svg파일:EPassport_logoWhite.svg

ISO/IEC 14443
파일:컨택리스 표시.svg파일:EMV 비접촉 결제 로고 (흰색).svg

ISO/IEC 7816-2
파일:SmartCardPinout.svg

×


×



Type B

×


비고
온라인을 통한 제3자 검증 가능.


중국 영주권자에게 발급되는 증서로, 과거에는 색깔까지 미국과 같은 녹색이었고 내용 구성도 비슷했기에 차이나 그린카드(中国绿卡)라는 별명도 붙었다. 물론 현재는 거민신분증과 유사한 양식으로 녹색은 아니며, 아무래도 미국과 엮여있다보니 당국에서는 이 별명을 굉장히 싫어한다.[24] 2017년, 2023년 두차례에 걸쳐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거민신분증과 동일한 법정 신분증으로서의 지위를 가지기 때문에 이론상 이것이 있으면 외출시에 여권을 휴대할 필요가 없으나, 중국은 영주권을 취득하기가 굉장히 까다로운 나라라 영구거류신분증 자체의 인지도가 굉장히 낮으며, 이로 인해 실명인증 시스템이 영구거류신분증을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여 호텔 투숙, 계좌 개설, 간편결제 본인인증 등 여권으로는 진행이 가능한 각종 온/오프라인 업무를 되려 영구거류신분증으로 진행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남아있어 실생활에서 사용하기에는 제약이 많아 여전히 중국 영주권자는 여권 없이는 정상적인 생활이 어렵다. 한 중국 영주권 소지자의 중국어 경험담이다.

만 18세 이상은 10년, 18세 미만은 5년의 유효기간을 가지며 첫 신청 및 갱신시에는 300위안, 분실 등으로 인한 재발급 시에는 600위안의 발급비가 징수된다. 발급 시에는 D비자인 영주 비자가 발급되어 있어야 하고, 입국 후 30일 이내에 공안국 혹은 이민관리국에 가서 발급받아야 한다. 정보가 적혀있는 쪽이 뒷면이다.

영구거류신분증은 밑에 나열된 정보가 기재된다.
  • 이름
  • 성별
  • 국적
  • 생년월일 - 년월일 순
  • 유효기간
  • 발급기관
  • 18자리 신분증 번호[25]

중국은 1986년 영주권 제도를 신설하였고, 동시에 영주권자들을 위한 증서가 발급되기 시작하였다. 중국의 영주권 발급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중국에 3년동안 납세를 하며, 기록이 양호한 자
  2. 부총장, 부공장장, 부교수, 부연구원 및 기타 부고급 혹은 그 이상의 직위를 보유하고 4년 이상 중국에 체류하면서 납세를 하며, 그 기록이 양호한 자
  3. 중국에 중대한 공헌을 하여 국가적 보호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자
  4. ①②③에 해당되는 외국인의 배우자 및 18세 미만의 미혼 자녀 [26]
  5. 중국 공민 또는 중국에서 영주권을 취득한 외국인의 배우자가 해당 인물과 결혼한 지 5년이 넘은 상태에서 중국에서 총 5년 이상 거주하고 매년 9개월 이상 중국에서 체류한 경우
  6. 직계가족이 해외가 아닌 중국 국적자인, 60세 이상의 중국에 지속적으로 5년 이상 거주하며 매년 9개월 이상 중국에 거주한 자


5.2. 외국인공작허가증[편집]


外国人(wàiguórén工作(gōngzuò许可证(xǔkězhèng
2017년 외국인취업증을 대체해 새로 제정된 외국인용 신분증이다. 미국의 EAD 카드와 유사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여행증 문서의 r1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여행증 문서의 r1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15:18:45에 나무위키 중국의 신분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홍콩 또는 마카오의 영주권을 취득하면 대륙의 호적은 폐쇄된다.[2] 대륙에 호적을 창설하면 대만의 호적은 폐쇄된다. 타이완 호적을 창설하는 것은 어렵다. 애초에 거주권이 잘 나오지도 않거니와 1년을 타이완 섬에 의무적으로 거주해야한다. 예전에는 징병제라서 군대까지 가야했다. 대만에 호적을 가진 사람이 대륙으로 넘어가면 신분증을 그냥 발급해주는 것과는 대조된다.[3] 공민이 아니다.[4] 예전에 대한민국이 중화인민공화국을 정부로써 인정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중국계 사람들에게 중화민국 여권을 발급했기 때문. 대부분의 화교들은 중화인민공화국 영향에 있는 산둥성 출신이다.[5] 대한민국 체류 화교들은 외국인등록증 또는 영주증인 F-5를 제시하면 국민번호가 없는 대만여권으로도 대만에 입국할 수 있다. 그러니까 한국에 장기 체류자격이 있다면 한국인처럼 입국허가를 해주는 방식이다.[6] 모든 외국인은 중국에 입국하자마자 정해진 시간 내에 관할 공안기관에 어느 곳에서 투숙할 것인지 신고해야한다. 중국은 거주지 이전의 자유가 제한되어있는 체제기 때문에 한국처럼 귀찮다고 안하면 안된다. 이게 어지간히도 번거로운 절차인지라 웬만한 호텔은 여권을 걷어서 알아서 해 주지만 호텔이 아니라 민박, 혹은 개인 집에서 머무른다면 필수적으로 본인이 직접 관할 공안서에 가서 해야만 한다.[7] 예를 들어, 경찰조사를 받는다든가 혹은 특정 커뮤니티에 가입한다든가. 이 경우에는 상대방이 요구하지 않으면 제출할 할 필요는 없다.[8] 기차표 구매 등[9] 기차표 무인 발권이 불가능해지니 꼼짝없이 줄서야 하고 계좌 개설도 비대면은 불가능해지며 웹사이트 회원가입도 공민신분번호가 없으면 끔찍하게 불편하다.[10] 인민해방군의 탈영 방지 목적은... 생각하기 힘들다. 제정 당시에는 그러한 의도가 있었을지도 모르나 중국 군인의 위상을 생각하면 21세기 들어서는 불편할 뿐인 요식행위에 불과했다.[11] 중국 신분증의 특이한 부분이다. 공식적으로는 후면에 인적사항이 적히는 것으로 되어있다.[12] 그러니까 발급 의무가 없다는 이야기.[13] 우리나라는 호주제가 폐지되었지만 중국은 거주 이전 통제를 목적으로 여전히 시행중이다.[14] 호구부에는 '문화정도'라고 기재[15] 이 경우 카드로 된 통행증을 발급받기 때문에, 실질적인 이용자는 한정되는 편이다. 조지아를 여행하려는 대만인 정도다.[16] 다만 집이 없으면 대도시 지역 후커우여도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기는 하다. 집이 없으면 수 십 년치 급여를 집 사는데 써야 한다.[17] 강아오타이 거민거주증 신청 및 발급 방법(港澳台居民居住证申领发放办法) 제19조: ……“港澳台居民”是“港澳居民”和“台湾居民”的统称。其中,“港澳居民”是指在香港、澳门特别行政区定居且不具有内地户籍的中国公民;“台湾居民”是指在台湾地区定居且不具有大陆户籍的中国公民。[18] 대표적으로 벨기에아랍에미리트가 있다. 다만 아랍에미리트는 6개월까지만 허용하며 그 이상 사용하려면 현지 기준대로 다시 시험을 봐야 한다. 또한 벨기에도 면허증 자체로만 쓸 수 있는 것이 아닌 현지 공관에서 면허증 사용허가서를 제출하고 승인받아야만 사용할 수 있다.[19] 한국의 1종 보통 면허증을 소지하고 필기시험만 합격하면 취득 가능.[20] 한국의 2종 보통(A) 면허증을 소지하고 필기시험만 합격하면 취득 가능.[21] 한국의 2종 소형 면허증을 소지하고 필기시험만 합격하면 취득 가능.[22] 일반적으로 졸업하거나 자퇴하면 겉표지 모서리를 잘라 효력을 정지시킨다.[23] 일반적인 비자나 허가를 받을만한 시간적 여유가 없는 등[24] 2023년 개정된 디자인에는 배경에 대문짝만하게 박힌 오성홍기 문양이 추가되었는데, 이때문에 '오성 카드(五星卡)'라고 부르는게 어떠냐는 의견도 나왔다.# 억지밈[25] 종전에는 15자리 번호를 사용했다. 첫 3자리는 ISO 3166 기준 국적코드, 다음 4자리는 최초 발급기관의 기관코드, 다음 8자리는 생년월일 8자리, 다음 2자리는 숫자 1칸과 알파벳 1칸으로, 특수한 부여방식에 따라 부여되는 번호 및 알파벳이 기재된다.[26] 아이가 중국국내에서 출생시 바로 영주신청이 가능할 것으로 추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