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r1판)

편집일시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912년에 건국된 중국 최초의 공화국에 대한 내용은 중화민국 문서
중화민국번 문단을
중화민국# 부분을
,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중국(동음이의어) 문서
중국(동음이의어)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중화인민공화국, China, CHN, PRC 리다이렉트만 존치하기(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파일:중국 원형.png 중국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황하 문명
하(夏)
상(商)
주(周)
서주(西周)
동주(東周)
춘추전국시대
춘추시대
전국시대

진(秦)
장초(張楚)
후초(後楚)
서초(西楚) | 십팔제후왕
한(漢)
전한(前漢)
신(新)
현한(玄漢)
후한(後漢)

삼국시대
위(魏) | 촉(蜀) | 오(吳)
진(晉)
서진(西晉)
동진(東晉)
환초(桓楚)
오호십육국시대
남북조시대
송(宋)
북위(北魏)
제(齊)
양(梁)
후한(侯漢)
후량(後梁)

서위(西魏)
동위(東魏)
진(陳)
북주(北周)
북제(北齊)

수(隋)
당(唐)
무주(武周) | 호연(胡燕)

오대
후량(後梁)
십국
탕구트
요(遼)
후당(後唐)
후진(後晉)
후한(後漢)
후주(後周)

송(宋)
북송(北宋)
서하(西夏)
남송(南宋)
서요(西遼)
금(金)
원(元)

북원(北元)
명(明)
순(順) | 서(西) | 남명(南明) | 후금(後金)

오주(吳周) | 동녕(東寧)
청(淸)
태평천국(太平天國)

중화민국
(中華民國)

군벌
청나라 소조정 | 임시정부(臨時政府)
북양정부(北洋政府)
중화제국(中華帝國) | 호법정부(護法政府)
국민정부(國民政府)
우한정부(武漢政府)
일치시기

소비에트 지구
중화소비에트공화국
만주국
(滿州國)


중화민국(中華民國)
대만(臺灣)

중화인민공화국
(中华人民共和国)







파일:동아시아 아이콘.svg 동아시아의 국가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대만
대한민국
몽골[1]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북한
일본[2]
중국[3]

[ 각주 펼치기 · 접기 ]
[각주]

[1] 중앙아시아, 북아시아의 일부로 분류되기도 함[2] 영토의 일부가 미크로네시아, 동남아시아, 북아시아로 분류되기도 함[3] 영토의 일부가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북아시아로 분류되기도 함





[ 펼치기 · 접기 ]
상임이사국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비상임이사국 (2022 ~ 2023)
[[가나|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가봉|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알바니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UAE]]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비상임이사국 (2023 ~ 2024)
[[모잠비크|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에콰도르|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몰타|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비상임이사국 (2024 ~ 2025, 예정)
[[알제리|

파일: 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시에라리온|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슬로베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가이아나|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대한민국 외교부 지정 여행자제 지역

[ 펼치기 · 접기 ]
#000,#fff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60><bgcolor=#333><tablewidth=100%><tablebgcolor=#AA6A00> {{{#white {{{-2 다음 지역들은 '''여행자제'''로 지정된 국가 및 지역입니다. [br] 해당 지역에 계신 분들은 '''신변 안전에 특별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br]이 지역을 여행할 예정인 분들은 '''불필요한 여행을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br] (기준일: 2023년 11월 24일) [br] 자세한 정보는 [[http://www.0404.go.kr/dev/main.mofa|외교부 해외안전포털]]을 참고}}}}}} || ## ##동북아 ## ||<-60><bgcolor=#FCC33C> '''{{{#fff 동북아시아}}}''' || ||<-60><width=50%> [[몽골|[[파일:몽골 국기.svg|width=50]]]][br][[몽골|{{{#fff 몽골}}}]] || ||<-60><^|1><bgcolor=#B8860B><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 || ||<-60><bgcolor=#222> || ## ## 북미 ## ||<-60><bgcolor=#FCC33C> '''{{{#fff 북미}}}''' || ||<-60> '''{{{#fff ※해당없음}}}''' || ||<-60><bgcolor=#B8860B> || ||<-60><bgcolor=#222> || ## ## 중남미 ## ||<-60><bgcolor=#FCC33C> '''{{{#fff 중남미}}}''' || ||<-12> [[과테말라|[[파일:과테말라 국기.svg|width=50]]]][br][[과테말라|{{{#fff 과테말라}}}]] ||<-12> [[니카라과|[[파일:니카라과 국기.svg|width=50]]]][br][[니카라과|{{{#fff 니카라과}}}]] ||<-12> [[도미니카 공화국|[[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width=50]]]][br][[도미니카 공화국|{{{#fff 도미니카 공화국}}}]] ||<-12> [[멕시코|[[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50]]]][br][[멕시코|{{{#fff 멕시코}}}]] ||<-12> [[바하마|[[파일:바하마 국기.svg|width=50]]]][br][[바하마|{{{#fff 바하마}}}]] || ||<-12> [[벨리즈|[[파일:벨리즈 국기.svg|width=50]]]][br][[벨리즈|{{{#fff 벨리즈}}}]] ||<-12> [[볼리비아|[[파일:볼리비아 국기.svg|width=50]]]][br][[볼리비아|{{{#fff 볼리비아}}}]] ||<-12>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50]]]][br][[브라질|{{{#fff 브라질}}}]] ||<-12> [[수리남|[[파일:수리남 국기.svg|width=50]]]][br][[수리남|{{{#fff 수리남}}}]] ||<-12> [[아르헨티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50]]]][br][[아르헨티나|{{{#fff 아르헨티나}}}]] || ||<-12> [[에콰도르|[[파일:에콰도르 국기.svg|width=50]]]][br][[에콰도르|{{{#fff 에콰도르}}}]] ||<-12> [[온두라스|[[파일:온두라스 국기.svg|width=50]]]][br][[온두라스|{{{#fff 온두라스}}}]] ||<-12> [[자메이카|[[파일:자메이카 국기.svg|width=50]]]][br][[자메이카|{{{#fff 자메이카}}}]] ||<-12> [[칠레|[[파일:칠레 국기.svg|width=50]]]][br][[칠레|{{{#fff 칠레}}}]] ||<-12>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width=50]]]][br][[코스타리카|{{{#fff 코스타리카}}}]] || ||<-12> [[콜롬비아|[[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50]]]][br][[콜롬비아|{{{#fff 콜롬비아}}}]] ||<-12> [[쿠바|[[파일:쿠바 국기.svg|width=50]]]][br][[쿠바|{{{#fff 쿠바}}}]] ||<-12> [[트리니다드 토바고|[[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width=50]]]][br][[트리니다드 토바고|{{{#fff 트리니다드 토바고}}}]] ||<-12> [[파나마|[[파일:파나마 국기.svg|width=50]]]][br][[파나마|{{{#fff 파나마}}}]] ||<-12> [[파라과이|[[파일:파라과이 국기.svg|width=50]]]][br][[파라과이|{{{#fff 파라과이}}}]] || ||<-12> [[페루|[[파일:페루 국기.svg|width=50]]]][br][[페루|{{{#fff 페루}}}]] || ||<-60><^|1><bgcolor=#B8860B><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멕시코 여행경보_2022.08.22.jpg

미초아칸주, 타마올리파스주를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파일:볼리비아 여행경보_2022.04.14.jpg

태양의 섬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앤티가 바부다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파일:자메이카 여행경보_2022.08.22.jpg

킹스턴, 세인트앤드류, 세인트캐서린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콜롬비아 여행경보_2022.04.14.jpg

베네수엘라 국경지역 20km, 나리뇨 주(뚜마코), 바예델카우카 주(깔리 시 제외), 아라우카 주, 카우카 주, 안티오키아 주 일부, 초코 주 일부, 카케타 주 일부를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페루 여행경보_2023.05.08.jpg

아야쿠초 주 라 마르, 우안타 지역, 우앙카벨리카 주 츄르캄파, 타야카하 지역, 쿠스코 주 라 콘벤시온 지역, 후닌 주 사티포, 우안카요, 콘셉시온 지역, 타크나 주를 제외한 전 지역
2023년 5월 8일
}}} || ||<-60><bgcolor=#222> || ## ##서남아시아 ## ||<-60><bgcolor=#FCC33C> '''{{{#fff 서남아시아}}}''' || ||<-20> [[몰디브|[[파일:몰디브 국기.svg|width=50]]]][br][[몰디브|{{{#fff 몰디브}}}]] ||<-20> [[스리랑카|[[파일:스리랑카 국기.svg|width=50]]]][br][[스리랑카|{{{#fff 스리랑카}}}]] ||<-20> [[파키스탄|[[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50]]]][br][[파키스탄|{{{#fff 파키스탄}}}]] || ||<-60><^|1><bgcolor=#B8860B><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파키스탄 여행경보_2022.08.22.jpg

이슬라마바드, 페이살라바드, 라왈핀디, 라호르, 훈자, 길깃, 스카루드 지역
2022년 8월 22일
}}} || ||<-60><bgcolor=#222> || ## ##동남아 ## ||<-60><bgcolor=#FCC33C> '''{{{#fff 동남아시아}}}''' || ||<-20><width=33%> [[인도네시아|[[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50]]]][br][[인도네시아|{{{#fff 인도네시아}}}]] ||<-20><width=33%> [[캄보디아|[[파일:캄보디아 국기.svg|width=50]]]][br][[캄보디아|{{{#fff 캄보디아}}}]] ||<-20><width=33%> [[필리핀|[[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50]]]][br][[필리핀|{{{#fff 필리핀}}}]] || ||<-60><^|1><bgcolor=#B8860B><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여행경보_2022.08.22.jpg

서파루아, 파푸아, 말루쿠, 아체
2022년 8월 22일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캄보디아 여행경보_2022.08.22.jpg

프레아 비히어, 욷더 민체이
2022년 8월 22일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필리핀여행경보_221210.jpg

수빅시, 보라카이섬, 보홀섬, 세부 막탄섬(라푸라푸시), 팔라완섬 아볼란 및 나라 이남 지역, 민다나오섬 (다바오, 카가얀데오로, 시아르가오, 잠보앙가 제외) , 술루, 바실란, 타위타위 군도를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 || ||<-60><bgcolor=#222> || ## ## 중동 ## ||<-60><bgcolor=#FCC33C> '''{{{#fff 중동·북아프리카}}}''' || ||<-12> [[모로코|[[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50]]]][br][[모로코|{{{#fff 모로코}}}]] ||<-12> [[모리타니|[[파일:모리타니 국기.svg|width=50]]]][br][[모리타니|{{{#fff 모리타니}}}]] ||<-12> [[바레인|[[파일:바레인 국기.svg|width=50]]]][br][[바레인|{{{#fff 바레인}}}]] ||<-12> [[사우디아라비아|[[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50]]]][br][[사우디아라비아|{{{#fff 사우디아라비아}}}]] ||<-12> [[알제리|[[파일:알제리 국기.svg|width=50]]]][br][[알제리|{{{#fff 알제리}}}]] || ||<-12> [[요르단|[[파일:요르단 국기.svg|width=50]]]][br][[요르단|{{{#fff 요르단}}}]] ||<-12> [[이란|[[파일:이란 국기.svg|width=50]]]][br][[이란|{{{#fff 이란}}}]] ||<-12> [[이집트|[[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50]]]][br][[이집트|{{{#fff 이집트}}}]] ||<-12> [[쿠웨이트|[[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50]]]][br][[쿠웨이트|{{{#fff 쿠웨이트}}}]] ||<-12> [[튀니지|[[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50]]]][br][[튀니지|{{{#fff 튀니지}}}]] || ||<-60><^|1><bgcolor=#B8860B><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모로코 여행경보_2022.04.13.jpg

서부 사하라 내 모래방어벽 동쪽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파일:모리타니아 여행경보_2022.04.14.jpg

누악쇼트, 누아디브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여행경보_2020.01.25.jpg

사우디-예멘 국경 인근 180km 지역 (슈케이크(Shuqaiq), 아브하(Abha), 카미스 무샤이트(Khamis Mushait)시 포함) 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알제리 여행경보_2022.04.14.jpg

카빌리 지역 6개주 산악지역 (부메르데스, 부아라, 티지 우주, 베자이아, 보르즈부아레리즈, 지젤), 국경지역(튀니지(테베사, 엘웨드 동부, 오아글라 동부) 국경지역(튀니지(테베사, 엘웨드 동부, 오아글라 동부), 리비아(일리지 동부), 니제르ㆍ말리ㆍ모리타니(타만라셋 남부, 아드라르 남서부, 틴두프 남서부)) 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요르단 여행경보_2022.11.29.jpg

시리아 및 이라크 접경 10km 지역
2023년 3월 7일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이란 여행경보_2020.01.25.jpg

튀르키예ㆍ이라크 국경지역, 시스탄발루체스탄 주, 페르시아만 연안 3개 주(후제스탄, 부셰르, 호르모즈건) 를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이집트 여행경보_2023.08.04.jpg

서부사막, 시나이반도 남부 일부지역 (성캐더린•타바)
2023년 8월 4일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쿠웨이트 여행경보_2022.11.29.jpg

이라크 접경지역, Mutla'a, Jeleeb Al-Shuyoukh, Khaitan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튀니지 여행경보_2023.03.07.jpg

튀니스와 수도권 지역, 비제르트 주, 나불 주, 수스 주, 모나스티르 주, 마흐디아 주, 스팍스 주, 제르바 주, 알제리 접경지역 (까세린주 샴비산 일대 포함) , 리비아 접경지역 및 크사르 길랜 이남 사막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3년 3월 7일
}}} || ||<-60><bgcolor=#222> || ## ##아프리카 ## ||<-60><bgcolor=#FCC33C> '''{{{#fff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 ||<-12> [[가나|[[파일:가나 국기.svg|width=50]]]][br][[가나|{{{#fff 가나}}}]] ||<-12> [[가봉|[[파일:가봉 국기.svg|width=50]]]][br][[가봉|{{{#fff 가봉}}}]] ||<-12> [[감비아|[[파일:감비아 국기.svg|width=50]]]][br][[감비아|{{{#fff 감비아}}}]] ||<-12> [[기니|[[파일:기니 국기.svg|width=50]]]][br][[기니|{{{#fff 기니}}}]] ||<-12> [[기니비사우|[[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width=50]]]][br][[기니비사우|{{{#fff 기니비사우}}}]] || ||<-12> [[나이지리아|[[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50]]]][br][[나이지리아|{{{#fff 나이지리아}}}]] ||<-12> [[라이베리아|[[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width=50]]]][br][[라이베리아|{{{#fff 라이베리아}}}]] ||<-12> [[르완다|[[파일:르완다 국기.svg|width=50]]]][br][[르완다|{{{#fff 르완다}}}]] ||<-12> [[마다가스카르|[[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width=50]]]][br][[마다가스카르|{{{#fff 마다가스카르}}}]] ||<-12> [[베냉|[[파일:베냉 국기.svg|width=50]]]][br][[베냉|{{{#fff 베냉}}}]] || ||<-12> [[부룬디|[[파일:부룬디 국기.svg|width=50]]]][br][[부룬디|{{{#fff 부룬디}}}]] ||<-12> [[부르키나파소|[[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width=50]]]][br][[부르키나파소|{{{#fff 부르키나파소}}}]] ||<-12> [[세네갈|[[파일:세네갈 국기.svg|width=50]]]][br][[세네갈|{{{#fff 세네갈}}}]] ||<-12> [[시에라리온|[[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width=50]]]][br][[시에라리온|{{{#fff 시에라리온}}}]] ||<-12> [[앙골라|[[파일:앙골라 국기.svg|width=50]]]][br][[앙골라|{{{#fff 앙골라}}}]] || ||<-12> [[에리트레아|[[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width=50]]]][br][[에리트레아|{{{#fff 에리트레아}}}]] ||<-12> [[에티오피아|[[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width=50]]]][br][[에티오피아|{{{#fff 에티오피아}}}]] ||<-12> [[우간다|[[파일:우간다 국기.svg|width=50]]]][br][[우간다|{{{#fff 우간다}}}]] ||<-12> [[적도 기니|[[파일:적도 기니 국기.svg|width=50]]]][br][[적도 기니|{{{#fff 적도 기니}}}]] ||<-12> [[지부티|[[파일:지부티 국기.svg|width=50]]]][br][[지부티|{{{#fff 지부티}}}]] || ||<-12> [[카메룬|[[파일:카메룬 국기.svg|width=50]]]][br][[카메룬|{{{#fff 카메룬}}}]] ||<-12> [[케냐|[[파일:케냐 국기.svg|width=50]]]][br][[케냐|{{{#fff 케냐}}}]] ||<-12> [[코모로|[[파일:코모로 국기.svg|width=50]]]][br][[코모로|{{{#fff 코모로}}}]] ||<-12> [[코트디부아르|[[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width=50]]]][br][[코트디부아르|{{{#fff 코트디부아르}}}]] ||<-12> [[콩고 공화국|[[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width=50]]]][br][[콩고 공화국|{{{#fff 콩고 공화국}}}]] || ||<-12> [[탄자니아|[[파일:탄자니아 국기.svg|width=50]]]][br][[탄자니아|{{{#fff 탄자니아}}}]] ||<-12> [[토고|[[파일:토고 국기.svg|width=50]]]][br][[토고|{{{#fff 토고}}}]] ||<-12> ||<-12> ||<-12> || ||<-60><^|1><bgcolor=#B8860B><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나이지리아 여행경보_2020.01.25.jpg

니제르델타 부근 8개 주 (에도, 아남브라, 델타, 이모, 아비아, 바이엘사, 리버스, 아콰이봄), 아다마와, 보르노, 요베, 바우치, 카노, 잠파라, 플래토, 나사라와, 아부자, 타라바, 소코토, 카치나, 지가와, 곰베 주를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파일:베냉 여행경보_2022.04.14.jpg

북부 부르키나파소 접경지역 (Pendjari 국립공원 및 W 국립공원) 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파일:부룬디 여행경보_2020.01.25.jpg

부줌부라 시
2022년 4월 14일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부르키나파소 여행경보_2022.04.13.jpg

와가두구, 보보디울라소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파일:에리트레아 여행경보_2023.03.07.jpg

에티오피아·수단·지부티 국경 25Km 이내를 제외한 전 지역
2023년 3월 7일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에티오피아 여행경보_2023.08.04.jpg

아디스아바바 시, 디레다와 시, 하라르 주, SNNPR 주, SWEPR 주, 시다마 주, 오로미아 주 일부, 암하라 주 일부, 아파르 주 일부
2023년 8월 4일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파일:지부티 여행경보_2022.08.22.jpg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국경 10km 이내 접경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카메룬 여행경보_2022.11.29.jpg

노르드 주, 아다모와 주, 북서부 주, 남서부 주, 최북부 주를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케냐 여행경보_2022.jpg

소말리아 국경 100km 이내, 나이로비 북부 이스트레이, 가리사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파일:코트디부아르 여행경보_2022.04.13.jpg

라이베리아, 기니와 국경을 접한 서부 지역 (Denguélé주, Montagnes주, Bafing주), 초로고, 붕카니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탄자니아 여행경보_2022.08.22.jpg

음트와라 주를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 || ||<-60><bgcolor=#222> || ## ##러시아·중앙아시아 ## ||<-60><bgcolor=#FCC33C> '''{{{#fff 러시아·중앙아시아}}}''' || ||<-60> '''{{{#fff ※해당없음}}}''' || ||<-60><bgcolor=#B8860B> || ||<-60><bgcolor=#222> || ## ##유럽 ## ||<-60><bgcolor=#FCC33C> '''{{{#fff 유럽}}}''' || ||<-20> [[루마니아|[[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50]]]][br][[루마니아|{{{#fff 루마니아}}}]] ||<-20> [[키프로스|[[파일:키프로스 국기.svg|width=50]]]][br][[키프로스|{{{#fff 키프로스}}}]] ||<-20> [[아르메니아|[[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width=50]]]][br][[아르메니아|{{{#fff 아르메니아}}}]] || ||<-20> [[조지아|[[파일:조지아 국기.svg|width=50]]]][br][[조지아|{{{#fff 조지아}}}]] ||<-20> [[코소보|[[파일:코소보 국기.svg|width=50]]]][br][[코소보|{{{#fff 코소보}}}]] ||<-20> [[폴란드|[[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50]]]][br][[폴란드|{{{#fff 폴란드}}}]] || ||<-60><^|1><bgcolor=#B8860B><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루마니아 여행경보_2022.11.29.jpg

우크라이나 접경 20km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키프로스 여행경보_2022.11.29.jpg

파마구스타 내 바로샤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르메니아 여행경보_2023.04.15.jpg

아제르바이잔 접경 30km 구간을 제외한 전 지역
2023년 4월 15일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조지아 여행경보_2022.04.13.jpg

남 오세티아, 압하지아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코소보 여행경보_2020.01.25.jpg

미트로비차 북부 (Zubin Potok, Zveçan, Leposaviq) 를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폴란드 여행경보_2022.11.29.jpg

우크라이나 접경 30km 지역
2022년 11월 29일
}}} || ||<-60><bgcolor=#222> || ## ##오세아니아 ## ||<-60><bgcolor=#FCC33C> '''{{{#fff 오세아니아}}}''' || ||<-20> [[바누아투|[[파일:바누아투 국기.svg|width=50]]]][br][[바누아투|{{{#fff 바누아투}}}]] ||<-20> [[솔로몬 제도|[[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width=50]]]][br][[솔로몬 제도|{{{#fff 솔로몬 제도}}}]] ||<-20> [[파푸아뉴기니|[[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width=50]]]][br][[파푸아뉴기니|{{{#fff 파푸아뉴기니}}}]] || ||<-60><^|1><bgcolor=#B8860B><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파일:파푸아뉴기니 여행경보_2020.01.25.jpg

서던 하일랜즈 주, 헬라 주를 제외한 전 지역
2023년 3월 7일
}}} || ||<-60><bgcolor=#222> || ||<-60><bgcolor=#fefefe,#454545> {{{-3 {{{#000,#fff [[틀:여행금지 목록|{{{#000 여행금지국가}}}]] · [[틀:출국권고 목록|{{{#C82613 출국권고국가}}}]] · [[틀:여행자제 목록|{{{#eeae00 여행자제국가}}}]] · [[틀:여행유의 목록|{{{#4444ff 여행유의국가}}}]]}}}}}} ||}}}



대한민국 외교부 지정 철수권고 지역 및 특별여행경보 1단계 발령 지역
[ 펼치기 · 접기 ]
다음 지역들은 철수 권고가 내려진 지역입니다.
해당 지역에 계신 분들은 긴급한 용무가 아니면 철수할 것을 권장하며,
이 지역에 여행을 예정하고 계신 분들은 여행취소하거나, 연기하시길 바랍니다.
2020.01.26 기준, 자세한 정보는 외교부 해외안전포털을 참고 바람.
동북아시아
파일:일본 국기.png
일본
파일:중국 국기.png
중국
[ 자세한 내용 펼치기 · 접기 ]
국가
지역
지정 일자
파일:일본 국기.png
일본
파일:일본 여행경보.jpg
후쿠시마 원전 {{{#000 반경 30km 이내일본 정부 지정 피난지시구역}}}
2011.03.13
파일:중국 국기.png
중국
파일:중국 최신 안전 정보.jpg

후베이성(우한시 포함)
2020.01.25

북미
해당 없음
중남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png
베네수엘라
파일:볼리비아 국기.png
볼리비아
파일:아이티 국기.png
아이티
파일:콜롬비아 국기.png
콜롬비아
파일:페루 국기.png
페루
[ 자세한 내용 펼치기 · 접기 ]
국가
지역
지정 일자
파일:베네수엘라 국기.png
베네수엘라
전 지역
일부지역
2017.05.30
전 지역 2019.12.03
파일:볼리비아 국기.png
볼리비아
파일:볼리비아 여행경보_2020.01.25.jpg

태양의 섬
2019
05.08
파일:아이티 국기.png
아이티
전 지역
전 지역 확대 발령 2019.02.27
파일:콜롬비아 국기.png
콜롬비아
파일:콜롬비아 여행경보_2020.01.25.jpg

베네수엘라 국경지역 20km, 뚜마코 시, 바예델카우카주(깔리 시 제외), 아라우카주, 카우카주, 안티오키아주 일부, 초코주 일부, 카케타주 일부
2011년 이전
파일:페루 국기.png
페루
파일:페루 여행경보_2020.01.25.jpg
아푸리막 주 : 안다우아이라스, 친체로스 지역
아야쿠초 주 : 라 마르, 우안타 지역
우앙카벨리카 주 : 츄르캄파, 타야카하 지역
쿠스코 주 : 라 콘벤시온 지역
후닌 주 : 사티포, 우안카요, 콘셉시온 지역
2017.02.22

서남아시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png
방글라데시
파일:인도 국기.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png
파키스탄
[ 자세한 내용 펼치기 · 접기 ]
국가
지역
지정 일자
파일:방글라데시 국기.png
방글라데시
파일:방글라데시 여행경보_2020.01.25.jpg
동남부 치타공 힐 트랙스 지역
2011.08.04
파일:인도 국기.png
인도
파일:인도 여행경보_2020.01.25.jpg

카슈미르, 카르길 시
2011년 이전
파일:파키스탄 국기.png
파키스탄
파일:파키스탄 여행경보_2020.01.25.jpg

황색경보 지정 지역(이슬라마바드, 페이살라바드지역, 라왈핀디지역, 라호르지역)을 제외한 전지역
2011년 이전

동남아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png
말레이시아
파일:미얀마 국기.png
미얀마
파일:태국 국기.png
태국
파일:필리핀 국기.png
필리핀
[ 자세한 내용 펼치기 · 접기 ]
국가
지역
지정 일자
파일:말레이시아 국기.png
말레이시아
파일:말레이시아 여행경보_2020.01.25.jpg
사바 주 동부 도서, 동부 해안 지역
도서 지역 : 2013.11.25
해안 지역 : 2015.11.23
파일:미얀마 국기.png
미얀마
파일:미얀마 여행경보_2020.01.25.jpg

인도ㆍ중국ㆍ라오스ㆍ태국 국경지역, 라카인 주(마웅도, 부띠다웅, 짜욱도, 민뱌, 므라욱우, 폰나쭌, 예디다웅), 친 주(빨레와, 마투피))
2010.10.04
파일:태국 국기.png
태국
파일:태국 여행경보_2020.01.25.jpg
나라티왓 주, 파타니 주, 얄라 주, 송클라 주 남부 말레이시아 국경지역
2009년 이전
파일:필리핀 국기.png
필리핀
파일:필리핀 여행경보_2020.01.25.jpg

팔라완섬 아볼란 및 나라 이남 지역,민다나오섬(잠보앙가,다바오/카가얀데오로시 제외)
2010년 이전

중동
파일:레바논 국기.png
레바논
파일:모로코 국기.png
모로코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pn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알제리 국기.png
알제리
파일:이란 국기.png
이란
파일:이스라엘 국기.png
이스라엘
파일:이집트 국기.png
이집트
파일:튀니지 국기.png
튀니지
[ 자세한 내용 펼치기 · 접기 ]
국가
지역
지정 일자
파일:레바논 국기.png
레바논
파일:레바론 여행경보_2020.01.25.jpg

리타니강 이남, 트리폴리시, 12개 팔레스타인 난민촌, 베이루트 남부교외지역, 시돈, 트리폴리 이북, 리타니강 이남, 북부 베카 지역 : 브리텔 이북
2010년 이전
파일:모로코 국기.png
모로코
파일:모로코 여행경보_2020.01.25.jpg

서부 사하라 내 모래방어벽 동쪽
2017.02.22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pn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여행경보_2020.01.25.jpg

사우디-예멘 국경 인근 180km 지역 (슈케이크(Shuqaiq), 아브하(Abha), 카미스 무샤이트(Khamis Mushait)市 포함)
국경 인근 80km : 2017.04.21
국경 인근 180km : 2019.07.03
파일:알제리 국기.png
알제리
파일:알제리 여행경보_2020.01.25.jpg

카빌리 지역 6개주 산악지역 (부메르데스, 부아라, 티지 우주, 베자이아, 보르즈부아레리즈, 지젤), 국경지역(튀니지(테베사, 엘웨드 동부, 오아글라 동부) 국경지역(튀니지(테베사, 엘웨드 동부, 오아글라 동부), 리비아(일리지 동부), 니제르ㆍ말리ㆍ모리타니(타만라셋 남부, 아드라르 남서부, 틴두프 남서부))
2009.05.01
파일:이란 국기.png
이란
파일:이란 여행경보_2020.01.25.jpg

시스탄발루체스탄 주, 터키ㆍ이라크 국경지역, 페르시아만 연안 3개 주(후제스탄, 부셰르, 호르모즈건(Hormozgan)
2012.02.16
파일:이스라엘 국기.png
이스라엘
파일:이스라엘 여행경보_2020.01.25.jpg

가자지구 및 가자지구 인근 5km 이내 지역, 서안지구(West Bank)
2015년 이전
파일:이집트 국기.png
이집트
파일:이집트 여행경보_2020.01.25.jpg

Sharm El-Sheikh를 제외한 시나이 반도 전역 및 이집트-리비아 국경지역 전역 (국경도시 Salloum을 포함, 국경지역으로부터 100km까지)
시나이 반도 : 2012.02.13
국경지역 : 2014.06.09
파일:튀니지 국기.png
튀니지
파일:튀니지 여행경보_2020.01.25.jpg

알제리 접경지역 (까세린 주 샴비산 일대, 젠두바 주) 리비아 접경지역 (크사르 길랜 이남 사막지역 전역)
2015.01.27

아프리카
파일:나이지리아 국기.png
나이지리아
파일:남수단 국기.png
남수단
파일:니제르 국기.png
니제르
파일:말리 국기.png
말리
파일:모리타니 국기.png
모리타니
파일:모잠비크 국기.png
모잠비크
파일:베냉 국기.png
베냉
파일:부룬디 국기.png
부룬디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png
부르키나파소
파일:수단 국기.png
수단
파일:에리트레아 국기.png
에리트레아
파일:에티오피아 국기.png
에티오피아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pn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지부티 국기.png
지부티
파일:차드 국기.png
차드
파일:카메룬 국기.png
카메룬
파일:케냐 국기.png
케냐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png
코트디부아르
파일:콩고 민주 공화국 국기.png
콩고민주공화국

[ 자세한 내용 펼치기 · 접기 ]
국가
지역
지정 일자
파일:나이지리아 국기.png
나이지리아
파일:나이지리아 여행경보_2020.01.25.jpg

니제르델타 부근 8개 주 ((Delta, Bayelsa, Rivers, Akwa Ibom, Imo, Abia, Edo, Anambra) 및 Plateau, Borno, Yobe, Kano, Kaduna, Bauchi, Adamawa, Abuja, Nasarawa, Zamfara, Sokoto, Katsina, Jigawa, Combe, Taraba주
2012년 이전
파일:남수단 국기.png
남수단

전 지역
2011.08.04
파일:니제르 국기.png
니제르

니아메(수도)를 제외한 전 지역
2010.10.04
파일:말리 국기.png
말리

전 지역
2009.07.24
파일:모리타니 국기.png
모리타니
파일:모리타니아 여행경보_2020.01.25.jpg

누악쇼트, 누아디브를 제외한전 지역
2010년 이전
파일:모잠비크 국기.png
모잠비크
파일:모잠비크 여행경보_2020.01.25.jpg

카보 델가도 주
2019.01.02
파일:베냉 국기.png
베냉
파일:베냉 여행경보_2020.01.25.jpg

부르키나파소 접경지역 (Pendjari 국립공원 및 W 국립공원)
2019.05.13
파일:부룬디 국기.png
부룬디
파일:부룬디 여행경보_2020.01.25.jpg

부줌부라市 제외 전 지역
2010.04.15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png
부르키나파소
파일:부르키나파소 여행경보_2020.01.25.jpg

북부(Nord), 사헬(Sahel), 중북부(Centre-Nod), 중동부(Centre-Est), 동부 주(Est), 말리 접경 40km 이내 지역
2015.06.25
파일:수단 국기.png
수단
파일:수단 여행경보_2020.01.25.jpg

다르푸르지역 3개 주, 남코르도판 주, 블루나일 주, 화이트나일 주 (코스티시 이남지역)
2011.08.04
파일:에리트레아 국기.png
에리트레아
파일:에리트레아 여행경보_2020.01.25.jpg

에디오피아ㆍ수단ㆍ지부티 국경지역
2011.08.04
파일:에티오피아 국기.png
에티오피아
파일:에티오피아 여행경보_2020.01.25.jpg

아파르, 소말리, 감벨라, 베니샹굴-구무즈, 수단‧남수단‧에리트레아‧케냐 접경 10km 이내 지역
2010년 이전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pn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전 지역
2012.12.21
파일:지부티 국기.png
지부티
파일:지부티 여행경보_2020.01.25.jpg

소말리아 및 에리트레아 접경 10km 이내 지역
2019년 06월 13일
파일:차드 국기.png
차드

전 지역
2019년 이전
파일:카메룬 국기.png
카메룬
파일:카메룬 여행경보_2020.01.25.jpg

노르드 주(NORD), 아다모와 주(ADAMAOUA)지역, 암바조니아(북서부 주, 남서부 주), 최북부 주 (엑스트림므-노르드(EXTREME-NORD)지역)
2014년 이전
파일:케냐 국기.png
케냐
파일:케냐 여행경보_2020.01.25.jpg

동부 해안가로부터 100km 이내 모든 지역, 나이로비 중부 이스트레이, 가리사, 만데라, 와지르, 리보이, 다다앱, 말린디
2011년 10월 25일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png
코트디부아르
파일:코트디부아르 여행경보_2020.01.25.jpg

소라이베리아ㆍ기니와 국경을 접한 서부 지역{{#000 (Denguele주, Montagnes주, Bafing주)}}
2010년 12월 06일
파일:콩고 민주 공화국 국기.pn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여행경보_2020.01.25.jpg

남수단ㆍ중앙아프리카공화국과의 국경 50km 이내 지역, (바우엘레주, 오트우엘레주, 이투리주, 북키부주, 남키부주, 마니에마주, 카사이주, 카사이오리앙탈주, 카사이상트랄주) 舊 카탕가주 북부 지역(일부: 오트로마미주,루알라바주, 오트카탕가주)
2014년 이전

러시아·중앙아시아
파일:러시아 국기.png
러시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png
타지키스탄
[ 자세한 내용 펼치기 · 접기 ]
국가
지역
지정 일자
파일:러시아 국기.png
러시아
파일:러시아 여행경보_2020.01.25.jpg
북카프카즈 지역 : 체첸, 다게스탄, 세베로오세티야(북오세티아), 카바르디노발카르(카바르티노-발카리야 공화국), 잉귀쉬(잉구세티아),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까라차이-체르케스), 아디게이(아디게야)
2010년 이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png
타지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여행경보_2020.01.25.jpg

아프가니스탄 국경 지역
2011.08.04

유럽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우크라이나 국기.png
우크라이나
파일:조지아 국기.png
조지아
파일:코소보 국기.png
코소보
파일:터키 국기.png
터키
[ 자세한 내용 펼치기 · 접기 ]
국가
지역
지정 일자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아제르바이잔 여행경보_2020.01.25.jpg
나고르노-카라바흐 및 인근 7개 지역
아그담(Aghdam), 피줄리(Fizuli), 자브라일(Jabrayil), 장길란(Zanglian), 구바들리(Guabadly), 라친(Lachin), 켈바자르(Kelbajar))
2016.04.18
파일:우크라이나 국기.png
우크라이나
파일:우크라이나 여행경보_2020.01.25.jpg

'크림 및 돈바스지역(도네츠크, 루간스크)
2016.02.04
파일:조지아 국기.png
조지아
파일:조지아 여행경보_2020.01.25.jpg
남 오세티아, 압하지아
2019.02.27
파일:코소보 국기.png
코소보
파일:코소보 여행경보_2020.01.25.jpg

미트로비차 북부
2011년 이전
파일:터키 국기.png
터키
파일:터키 여행경보_2020.01.25.jpg
가지안테프, 디야르바커, 마르딘, 반, 바트만, 비트리스, 빙골, 산리우르파, 시르낙, 시르트, 엘라지, 킬리스, 툰셀리, 하카리, 시리아의 국경 10km 이내 지역(히타이)
2010년 이전

오세아니아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png
파퓨아뉴기니
[ 자세한 내용 펼치기 · 접기 ]
국가
지역
지정 일자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png
파푸아뉴기니
파일:파푸아뉴기니 여행경보_2020.01.25.jpg
서던 하일랜즈 주, 헬라 주
2018.08.27


특별여행경보 1단계 발령국가
없음


파일:빨간색 깃발.svg
사회주의 사상의 분파

[ 펼치기 · 접기 ]
공상적 사회주의
공상적 사회주의
기독교 사회주의
이슬람 사회주의
불교 사회주의
유교 사회주의
생시몽주의
오언주의
푸리에주의
블랑키즘
유대교 사회주의
아나키즘
아나코 생디칼리즘
개인주의적 아나키즘
사회적 아나키즘
상호주의 아나키즘
아고리즘
아나코 페미니즘
녹색 아나키즘
사회생태주의
정강주의
후기 아나키즘
반란적 아나키즘
크리스천 아나키즘
아나코 원시주의
아나코 자연주의
포스트 레프트 아나키즘
공산주의
틀:공산주의 참고.
개혁적 사회주의
자유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
민주사회주의
유럽공산주의
신좌파
국가사회주의
21세기 사회주의
아랍 사회주의
아프리카 사회주의
제3세계 사회주의
윤리적 사회주의
시장사회주의
제3의 길
멜라네시아 사회주의

지역별 사회주의
블레어주의 파일:영국 국기.svg
노동 시오니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룰라주의 파일:브라질 국기.svg
볼리바르주의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차베스주의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나세르주의 파일:이집트 국기.svg
카다피주의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간디 사회주의 파일:인도 국기.svg
마르하엔주의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산디노주의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마곤주의 파일:멕시코 국기.svg
장제스주의 파일:대만 국기.svg
왕징웨이주의 파일:대만 국기.svg
인민주의 파일:러시아 국기.svg
혁명 페론주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나라별 현황
대한민국의 사회주의
미국의 사회주의
영국의 사회주의
이탈리아의 사회주의
프랑스의 사회주의
호주의 사회주의




문화, 지역별 현황
한반도의 사회주의




연관 이념
급진적 자유주의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혁명적 사회주의
사회주의적 내셔널리즘
보수적 사회주의
생태 사회주의
마르크스주의
좌익 보수주의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
권위주의적 사회주의
자코뱅주의
좌익대중주의
인디헤니스모
성소수자 사회주의
기독교 좌파
사회적 평등주의
사회주의적 애국주의
집산주의


기타
좌익 정치
반자본주의
계급투쟁
사회주의 페미니즘
민족해방
안티파시스트 액션
탈자본주의
진보주의(일부)
해방신학
민족자결주의
밀레니얼 사회주의
프롤레타리아 정당
샴페인 사회주의자
아일랜드 공화주의
제3세계주의
핑크 타이드




관련 단체
인터내셔널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
진보주의 인터내셔널
상파울로 포럼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에베르트 재단
룩셈부르크 재단
진보동맹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 펼치기 · 접기 ]
이론과 분파
기본 이론
마르크스주의 · 카우츠키주의(정통 마르크스주의)
분파
레닌주의(마르크스-레닌주의 (스탈린주의 · 현실사회주의 · 카스트로주의 · 호자주의 · 호찌민 사상 · 주체사상 · 마오주의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 볼셰비키-레닌주의 (파블로주의 · 신트로츠키주의(클리프주의) · 제3의 진영 · 포사다스주의)) · 자유지상주의적 공산주의(룩셈부르크주의 · 좌파공산주의 · 무정부 공산주의 · 자율주의) · 서구 마르크스주의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 국민공산주의 · 유럽공산주의
인물
카를 마르크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 카를 카우츠키 · 블라디미르 레닌 · 레프 트로츠키 · 미하일 칼리닌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 나데즈다 크룹스카야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겐나디 주가노프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천두슈 · 리다자오 · 마오쩌둥 · 저우언라이 · 체 게바라 · 피델 카스트로 · 라울 카스트로 · 로자 룩셈부르크·프랑수아 노엘 바뵈프·루이 오귀스트 블랑키·카를 리프크네히트 · 안토니오 그람시 · 호찌민 · 응우옌반린 · 보응우옌잡 · 폴 포트 · 담딘 수흐바타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고토쿠 슈스이 · 시이 가즈오 · 고이케 아키라 · 키라 요시코 · 야마조에 타쿠 · 아카미네 세이켄 · 박헌영 · 김일성 · 빌헬름 피크 · 발터 울브리히트 · 에리히 호네커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엔베르 호자 · 헹크 스네이블릿·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 · 밥 아바키안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이론
공산주의 · 사회주의 · 노동가치론 · 변증법적 유물론 · 마르크스 경제학 · 여성해방론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민주집중제 · 계획경제 · 반자본주의 · 무신론 · 사회주의법 · 인민민주주의 · 사회주의 문화
정당
(공산당)

현존 정당
아시아
중국공산당 파일:중국 국기.svg · 일본공산당 파일:일본 국기.svg · 노동자공산당 파일:일본 국기.svg · 노동의 해방을 목표로 노동자당 파일:일본 국기.svg · 조선로동당 파일:북한 국기.svg · 대만 공산당 파일:대만 국기.svg · 베트남 공산당 파일:베트남 국기.svg · 라오 인민혁명당 파일:라오스 국기.svg · 버마 공산당 파일:미얀마 국기.svg·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파일:네팔 국기.svg ·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 파일:네팔 국기.svg · 네팔 공산당(통합 사회주의) 파일:네팔 국기.svg · 인도 공산당 파일:인도 국기.svg · 인도 공산당(마르크스주의) 파일:인도 국기.svg · 방글라데시 노동자당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팔레스타인 인민당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이스라엘 공산당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 예멘 사회당 파일:예멘 국기.svg · 몽골 인민당 파일:몽골 국기.svg · 카자흐스탄 인민당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 캄보디아 인민당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유럽
프랑스 공산당 파일:프랑스 국기.svg · 스페인 공산당 파일:스페인 국기.svg · 포르투갈 공산당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그리스 공산당 파일:그리스 국기.svg · 튀르키예 노동자당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노동인민진보당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 독일 공산당 파일:독일 국기.svg · 오스트리아 공산당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벨기에 노동당 파일:벨기에 국기.svg · 스위스 노동당 파일:스위스 국기.svg · 적색당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보헤미아 모라바 공산당 파일:체코 국기.svg · 몰도바 공화국 공산당 파일:몰도바 국기.svg · 벨라루스 공산당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 러시아 연방 공산당 파일:러시아 국기.svg · 러시아의 공산주의자들 파일:러시아 국기.svg · 사회당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헝가리 사회당 파일:헝가리 국기.svg
아프리카
경제자유투사당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 기니카보베르데 아프리카독립당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 모잠비크 해방전선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 상투메 프린시페 해방운동-사회민주당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파일:앙골라 국기.svg · 앙골라 해방인민운동 파일:앙골라 국기.svg ·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 콩고 노동당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아메리카
미국 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혁명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캐나다 공산당 파일:캐나다 국기.svg · 쿠바 공산당 파일:쿠바 국기.svg · 베네수엘라 공산당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 인민진보당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 자유 페루 파일:페루 국기.svg · 브라질 공산당 파일:브라질 국기.svg · 사회주의자유당 파일:브라질 국기.svg · 칠레 공산당 파일:칠레 국기.svg · 에콰도르 공산당 - 붉은 태양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공산당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 우루과이 공산당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 파라분도 마르티 민족해방전선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볼드체: 여당 또는 연립여당
취소선: 역사적으로 공산주의를 표방했던 정당
해체된 정당
소련 공산당 · 이탈리아 공산당· 조선공산당 · 남조선로동당 · 세르비아 공산당 · 헝가리 사회노동당 · 폴란드 통일노동당 · 알바니아 노동당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 인도네시아 공산당 · 불가리아 공산당 ·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 말라야 공산당 · 캄푸치아 공산당 · 루마니아 공산당 · 중화민국 공산당 · 영국 공산당 ·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 헝가리 노동자당
국제 조직
코민테른 · 코민포름 · 코메콘 · 바르샤바 조약기구 · 인터내셔널 ·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 · 각종 공산주의 정당 연합
국가
인민공화국 또는 사회주의 공화국을 표방하는 국가
· · ·
공산주의 정당이 여당으로 집권 중인 국가
· · · · · · · · · · ·
★: 연립정부의 구성원으로 집권한 국가
붕괴된 국가
· · · · · · · · · · · · · · · · · · · ·
상징·표어
낫과 망치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붉은 별 · 적기
관련 문서
분파 · 역사 · 서기장 · 탈공산주의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파일:레닌_투명.svg 레닌주의 {{{-2

파일:스탈린_투명.png
마르크스-레닌주의 · {{{-2

파일:마오쩌둥 투명.svg
마오쩌둥 사상





중화인민공화국
中华人民共和国 | 中華人民共和國
People's Republic of China

파일:중국 국기.png
파일:중국 국장.png
국기
국장
상징
국가
의용군 진행곡
국조
두루미, 금계
역사
공산당 창당 1921년 7월 23일
국공내전 1946년 3월 31일
건국 1949년 10월 1일
지리

[ 펼치기 · 접기 ]
면적
9,640,821㎢ | 세계 4위[1]
수도
베이징시(北京市)
최대 도시
상하이시(上海市)[2]
접경국
파일:몽골 국기.png 몽골, 파일:러시아 국기.png 러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png 카자흐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pn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png 타지키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png 파키스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png 아프가니스탄, 파일:필리핀 국기.png 필리핀(남중국해 영유권을 두고 베트남,필리핀과 분쟁 중), 파일:인도 국기.png 인도, 파일:북한 국기.png 북한(사실상) 파일: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대한민국 헌법상), 파일:부탄 국기.png 부탄, 파일:네팔 국기.png 네팔, 파일:미얀마 국기.png 미얀마, 파일:라오스 국기.png 라오스, 파일:베트남 국기.png 베트남(남중국해 영유권을 두고 베트남, 필리핀과 분쟁 중)(, 파일:대만 국기.png 중화민국[3])
[1] 내수면 면적이나 분쟁지역에 따라 미국과 순위가 바뀐다. 위키피디아 기준으로는 4위.[2] 행정구역으로는 충칭이 훨씬 인구가 많으나 이는 중국의 시 행정구역 전반의 문제로 면적이 너무 커서 그런 것이고 도시권 인구로는 상하이가 가장 많다. 광역권 인구는 광저우가 가장 많다.[3] 중화민국과의 타이완섬 영유권 분쟁

인문 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인구
1,439,323,774명(2020년)
민족 구성
한족
91.51%
기타 55개 소수민족
8.49%
인구밀도
149.3명/㎢(2020년)
출산율
1.63명(2020년)
공용어
중국어[1]
공용 문자
한자(간체본토, 정체홍콩, 마카오)
종교
국교 없음(국가 무신론)[2]
불교 15.7%, 도교 및 기타 종교 7.6%, 기독교 1.53%, 이슬람 1.45%, 무신론무종교 및 전통신앙 73.56%[3]
군대
없음(중국 공산당의 군대인 중국 인민해방군이 대체)
[1] 각 자치구마다 자신들의 언어를 쓰지만 공용어는 중국어이며, 표준어는 베이징 방언을 기초로 한 보통화다.[2] 중국 헌법에서는 종교의 자유를 보장한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중국 공산당의 감시와 통제 하에 있는 '공식적인' 종교단체 소속 이외의 모든 종교활동은 불법으로 규정되어있으며, 중국 공산당은 무신론자만이 당원이 될수 있다. 사실 '누구라도 종교를 이용하여 사회 질서를 문란하게 하거나 공민의 건강을 해치고, 국가 교육제도에 반하는 활동을 해서는 안되며, 종교 단체 및 관련 업무는 외국 세력의 지배를 받지 않아야 한다'는 제한 조건이 헌법에 명시되어 있기도 하다.#[3] 출처는 Chinese Family Panel Studies 2014 survey인데 표본조사이다.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성급행정구
4직할시 22(명목상 23성) 5자치구 2특별행정구
지급행정구
334개 지급시, 자치주, 지구, 맹
현급행정구
852개 현급시, 현, 자치현, 시할구, 기, 자치기, 민족구, 특구
향급행정구
40,466개 진, 향, 민족향, 현할구, 가도, 소목, 민족소목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공화제(과두제), 민주집중제, 전체주의, 일인독재, 공산주의, 일당제, 단원제, 단일국가, 중앙집권제, 성문법주의(중국법계)
민주주의지수
167개국 중 153위(2019년)[권위주의체제]
총서기 겸 국가 주석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국가원수)

시진핑
정부
요인

국무원 총리
리커창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주석

리잔수
중국인민
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주석
왕양
국가 부주석
왕치산
여당
중국 공산당
[권위주의체제] 2.26점. 2018년 130위 3.32점에서 23위 하락. 시진핑의 독재주의 및 국수주의 정책 영향으로 인해 순위가 23계단이나 추락한 것으로 추측된다.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사회주의시장경제체제[1]
명목
GDP

전체 GDP
$14조 1,401억(2019년)
1인당 GDP
$10,099(2019년)
GDP
(PPP)

전체 GDP
$27조 3,088억(2019년)

1인당 GDP
$19,503(2019년)

수출입액

수출
$2조 2,791억(2017년)
수입
$1조 7,900억(2017년)
외환보유액
$3조 50억(2016년 12월)
신용 등급
무디스 A1
S&P A+
Fitch A+
공식
화폐

(ISO 4217)
본토
중국 위안(CNY)
홍콩
홍콩 달러(HKD)
마카오
마카오 파타카(MOP)
국가
예산

1년 세입
$2조 4,650억(2016년)
1년 세출
$2조 8,970억(2016년)
[1] 1992년 10월 중국 공산당 제14회 전국대표대회 이래 중국이 그 실현을 공식목표로 하고 있는 경제체제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연호
서력기원[1]
시간대
UTC+8 (중국 표준시)
도량형
SI 단위[2]
[1] 보통 공력이라고 한다.[2] 실생활에서는 척관법 혼용

외교

[ 펼치기 · 접기 ]
대한수교현황
대한민국: 1992년
북한: 1949년
국제연합 가입
1971년[1]
무비자 입국
가능 기간

양국 모두 비자 필요[2]
[1] 공식적인 중국의 UN 가입년도는 1945년이다. UN은 1949년 건국된 중화인민공화국을 1912년 건국되어 1945년 유엔 창설멤버였던 중화민국의 후계국가로 규정하고 있다. 1971년 통과된 UN총회 결의안 2758호는 중화인민공화국을 '1949년 소멸한' 중화민국의 후계국가로, 대만을 수성중인 중화민국 정부를 장제스의 대표들(Representatives of Chiang Kai-Shek)로 정의했다. 이 말은 장제스가 중화인민공화국 영토 일부를 불법 점거하고 있다는 뜻으로 작성된 것이다.[2] 특별행정구인 홍콩마카오에서는 90일 무비자가 적용되지만, 이쪽은 중국 본토와 입국심사가 별개로 진행되기 때문에 논외. 일반 여권으로 일부 무비자 방문 가능한 사례(비행기 환승이나 특정 조건이 주어진 방문 등)가 있지만 이는 말 그대로 예외일 뿐 원칙은 안 되는 것이 맞다. 마찬가지로 중국인이 한국 제주도에 방문할 경우 90일 무비자가 적용되나, 제주도에서 본토로 진입하기 위해선 비자가 필요하다.

주한대사관 및 총영사관

[ 펼치기 · 접기 ]
주한중국대사관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2길 27
주부산총영사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변로 47
주광주총영사관
광주광역시 남구 대남대로 413
주제주총영사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청사로1길 10

ccTLD
.cn, .中国, .中國[1]
국가 코드
CHN[2], PRC[3]
국제 전화 코드
+86
여행경보
특별여행주의보
전 지역(홍콩, 마카오 포함)[코로나19]
{{{#ffde00

★★★★




1. 개요
2. 상징
4. 자연환경
5. 인문환경
7.1. 사법
7.3. 국력
7.4. 중국의 미래
8.1. 사회주의적 시장경제
8.2. 과학기술
12. 단위
12.1. 시간대
13. 창작물
13.1. 가상의 중국
13.2. 중국을 모델로 한 것들



1. 개요[편집]


중화인민공화국(中华人民共和国) 또는 중국(中国)[4]은 아시아 동쪽, 한반도 서쪽에 위치한 국가로 중국 공산당이 통치하는 사회주의 일당제 국가이다.

수도는 베이징시이며, 일반적으로 동아시아의 국가로 간주되지만 중국 대륙이 매우 넓어 중앙아시아동남아시아까지도 영토가 걸쳐 있다. 티베트, 신장 위구르 자치구, 내몽골자치구 등 서북/서남은 중앙아시아이며 특별행정구인 홍콩/ 마카오 및 배후의 광동성, 광시좡족자치구, 하이난성 등은 동남아시아이다. 티베트 자치구신장 위구르 자치구, 몽골 고원 쪽은 유목 문화권으로 중앙아시아와 지리적 문화적으로 더 가까우며 홍콩/마카오 등은 베이징, 상하이보다 베트남 북부나 태국 등이 더 가까운 거리에 있다.

하나의 중국이라는 원칙에 따라 대륙의 이 중화인민공화국이 중국의 유일한 합법 정통정부'임을 선언하고 있다. 자연스럽게 중국 국민당 정부가 피난한 대만에 대해서도 중화인민공화국이 자기들 땅이라 주장하고 있으나 실효지배는 엄연히 아직 잔존하는 중화민국이라 이를 둘러싸고 갈등이 있었으나 현재는 92공식 합의에 따라 체제경쟁을 그만둔 지 오래라 중국의 범주에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이 모두 들어가고 해석에 따라 달린다고 합의를 봤다. 대신 대만 독립운동은 얄짤없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타국이나 타 정치세력과의 영토 분쟁 지역들이 많이 있는데 남중국해 도서들을 둘러싸고 베트남, 대만중화민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브루나이, 그리고 일본과는 중국어명으로 조어도[5]라고 부르는 오키나와현 소속 센카쿠 열도 분쟁이 있다. 한국과는 이어도 근해를 놓고 EEZ 분쟁이 있는데 이어도는 섬이 아닌 해저 암초이기 때문에 한국이나 중국 어느 한쪽의 영토에 속하지는 않는다. EEZ를 둘러싼 분쟁이다. 인도와도 히말라야 경계선에서 과거 수십 년 간 국경분쟁이 지속되었으며, 심지어 국경분쟁으로 인해 전쟁도 일어났었다. 영토 분쟁 외에도 대만(중화민국)과의 양안관계 마찰, 홍콩과의 마찰, 위구르티베트와의 민족 문제를 안고 있다.

국토 면적은 통계에 따라 다르나 세계 3-4위를 다투며[6], 마찬가지로 아메리카 대륙의 대국인 미국과 크기가 비슷하다. 그리고 유럽연합 전체 면적보다 2배 이상 더 크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14억여 명의 인구를 가졌고[7], 문자는 간체자 한자를 사용하고 공식언어는 표준중국어를 사용한다. 공식 언어 이외에도 광둥어, 민남어를 비롯한 방언이 많다. 그리고 소수민족들은 신장의 튀르크계 민족들이 쓰는 터키어계 언어들과 티베트인들의 티베트어, 내몽골에서 쓰이는 차하르 몽골어 등이 있다.

2. 상징[편집]



2.1. 국호[편집]


정식 명칭은 중화인민공화국(中华人民共和国/中華人民共和國)이며, 흔히 중국(中国/中國)이라고 통칭해 부른다. 표준중국어 발음은 중궈(Zhōngguó, [ʈʂʊ́ŋ.kwǒ]). 중화인민공화국은 중화런민궁허궈(Zhōnghuá Rénmín Gònghéguó, [ʈʂʊ́ŋ.xwǎ ɻə̌n.mǐn kʊ̂ŋ.xɤ̌.kwǒ])라고 발음한다.

중국이라는 단어는 시경에서 맨 처음 등장했다. 이 때 중국이라는 말은 주나라의 수도를 일컫는 말로 쓰였다. 중원(中原), 중화(中華)라고도 했다. 어느 쪽이든 '중심 지역', '가운데 지역'이라는 의미인데, 주변에 비해 발달된 문명을 가졌던 자신들을 주변 '오랑캐'와 구분하기 위해 쓰이는 경우가 많았다.

중국 대륙에서는 왕조 이름이 국명처럼 쓰였고 중국이라는 명칭은 나라 이름보다는 지역 이름에 가까웠고, 중원의 동의어였던 것에서 의미가 넓어져 한족 정통 왕조의 지배 영역을 가리키는 말로도 쓰였다.

중국을 국명으로 최초로 내세운 민족은 뜻밖에 한족이 아닌 만주족들이였는데, 만주족인 청나라네르친스크 조약 당시 스스로를 만주어로 "ᠳᠤᠮᠳᠠᠳᠦ ᠤᠯᠤᠰ(dulimbai gurun, 가운데에 있는 나라)"으로 칭한 것이 처음이다. 아편전쟁 이후 체결된 난징 조약에서는 만주어가 아닌 한문으로도 스스로를 中國/中国으로 일컬었다.

중국이라는 명칭이 국명으로 쓰이지는 않았지만 아편전쟁 이후 근대화의 물결이 중국을 덮치면서 중국인들도 민족주의에 눈뜨게 되었다. 이에 따라 중국인들은 왕조와 관계없이 스스로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국명이 필요함을 느꼈다.

결국 신해혁명으로 만주족청나라를 무너뜨린 중국인들은 스스로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中國/中国, 中華/中华와 'republic'의 번역어인 민국(民國/民国)을 조합한 중국 대륙 사상 최초의 공화국인 중화민국(中華民國/中华民国)을 세웠고, 약칭으로 중국(中國/中国)이라 하였다.

이후 중국 공산당국공내전에서 승리하여 세운 오늘날의 중국은 기존의 중화(中華/中华) + 정치 체제를 이르는 '인민공화국'을 추가한 중화인민공화국(中华人民共和国)을 정식 국명으로 택하고 약칭을 중국(中國/中国)이라 하여 지금에 이른다. 국공내전 이후 대만 섬에 있는 중화민국과 정통성 경쟁을 해왔고, 대만 섬의 중화민국을 정통 중국으로 보는 국가를 중심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해 중공(中共) 등 다른 명칭을 쓰기도 했지만, 지금은 국제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이 정통 중국으로 인정되어 대만 섬의 중화민국이 아닌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으로 칭한다. 지금도 중화인민공화국을 인정하지 않고 명목상 중국의 정통 국가임을 주장하는 중화민국(대만)에서는 이 나라에 대해 공식적으로 중국 대륙(대륙), 중공 등의 용어를 사용하지만, 대만 민족주의가 어느 정도 자리잡은 현재에는 정치 성향에 따라 대륙의 중화인민공화국을 그냥 '중국'으로 칭하는 사람들이 많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당시에는 새로운 중국을 수립했다는 의미에서 스스로를 신중국(新中國/新中国)이라 한 적도 있다. 대비되는 용어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전 중화민국을 이르는 구중국(舊中國/旧中国)이다.

영어에서는 이 나라를 차이나(China) 혹은 피플스 레퍼블릭 오브 차이나(People's Republic of China)라 하고 다른 유럽 언어에서도 대체로 비슷한 명칭을 쓴다. 가장 유력한 설은 진나라의 친(Chin)에서 유래됐다는 설이다. 이것이 산스크리트어에서 중국 지역을 칭하는 이름인 치나(Cīna)가 되었고, 이 단어를 포르투갈인 상인들이 페르시아어를 거쳐 수입해 전 유럽에 보급했다. 앞의 C가 Ch, C, K, S[8] 등으로 오락가락하는 탓에 영어명은 '차이나'이지만 북유럽 언어나 그리스어에서는 '키나', '키나스'라고 하는 등의 차이가 있기는 하다. 한자문화권에서 '중국'이 국명으로 확립되지 않았던 근대 시절에는 이를 한자 음역하여 중국을 支那[9]라 칭한 적이 있지만 중국인 및 기타 화인(대만인, 홍콩인, 마카오인, 해외 화교들)들은 역사적 이유로 인해 이를 비하 명칭으로 받아들인다.

특이하게 러시아어를 비롯한 일부 슬라브어권에서는 Китай(키타이)라 하는데, 이는 본래 거란족을 의미한다. 근세 이전에야 러시아에서 중국이 워낙 멀다보니 동방에 뭐가 있는지도 잘 모르고, "동방에 키타이라고 날리는 애들이 있더라" 정도의 정보만 가지고 그 동네를 뭉뚱그려 키타이라 부른 게 그 시작이다. 이 영향을 받아 중앙아시아 언어에서도 중국을 키타이 비슷한 이름으로 칭하며, 그 외 다른 언어에서도 영어에서의 캐세이(Cathay) 등 거란의 이름에서 유래해 중국을 가리키는 표현이 좀 있다. 홍콩을 거점으로 하는 항공사인 캐세이퍼시픽도 여기서 유래하였다.

화교들이 많이 사는 동남아에서는 위의 경우와 달리 그냥 '중국'의 방언식 이름이 현지에서 중국을 이르는 명칭으로 정착하기도 했다. 예를 들면 인도네시아어에서 중국은 Tiongkok이라고 하는데 중국을 이르는 민남어 발음에서 유래했다.

표로 정리하자면,
중국어
中华人民共和国/中華人民共和國
中国/中國
표준중국어 발음
주음부호
ㄓㄨㄥ ㄏㄨㄚ ㄖㄣ ㄇㄧㄣ ㄍㄨㄥ ㄏㄜ ㄍㄨㄛ (중화런민궁훠궈)
ㄓㄨㄥㄍㄨㄛ (중궈)
한어병음
Zhōnghuá Rénmín Gònghéguó
Zhōngguó

위와 같다.

2.2. 국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오성홍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오성홍기
파일:중국 국기.png
한자
五星紅旗


2.3. 국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의용군 진행곡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78년 마오쩌둥문화대혁명으로 인해 잠시 가사가 바뀌었으나, 그 후 1982년 인민대회에서 다시 원래 가사로 바꾸었으며, 2004년 정식으로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136조에 '중국의 국가는 의용군 행진곡이다.'라는 조항이 추가되어 공식적으로 중국의 정식 국가가 되었다.


3.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국/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황하 문명
하(夏)
상(商)
주(周)
서주(西周)
동주(東周)
춘추전국시대
춘추시대
전국시대

진(秦)
장초(張楚)
후초(後楚)
서초(西楚) | 십팔제후왕
한(漢)
전한(前漢)
신(新)
현한(玄漢)
후한(後漢)

삼국시대
위(魏) | 촉(蜀) | 오(吳)
진(晉)
서진(西晉)
동진(東晉)
환초(桓楚)
오호십육국시대
남북조시대
송(宋)
북위(北魏)
제(齊)
양(梁)
후한(侯漢)
후량(後梁)

서위(西魏)
동위(東魏)
진(陳)
북주(北周)
북제(北齊)

수(隋)
당(唐)
무주(武周) | 호연(胡燕)

오대
후량(後梁)
십국
탕구트
요(遼)
후당(後唐)
후진(後晉)
후한(後漢)
후주(後周)

송(宋)
북송(北宋)
서하(西夏)
남송(南宋)
서요(西遼)
금(金)
원(元)

북원(北元)
명(明)
순(順) | 서(西) | 남명(南明) | 후금(後金)

오주(吳周) | 동녕(東寧)
청(淸)
태평천국(太平天國)

중화민국
(中華民國)

군벌
청나라 소조정 | 임시정부(臨時政府)
북양정부(北洋政府)
중화제국(中華帝國) | 호법정부(護法政府)
국민정부(國民政府)
우한정부(武漢政府)
일치시기

소비에트 지구
중화소비에트공화국
만주국
(滿州國)


중화민국(中華民國)
대만(臺灣)

중화인민공화국
(中华人民共和国)







4. 자연환경[편집]



4.1. 지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국/자연지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hina_pol01.jpg



4.2. 환경오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국/환경오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인문환경[편집]



5.1. 인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국/인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국/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2. 언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국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표준중국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당연히 중국어가 공용어이며 표준어는 베이징 방언을 기초로 한 표준중국어, 일명 보통화이다. 나라가 넓고 인구가 많은 만큼 서로 말이 통하지 않을 정도로 방언이 다양하고 소수민족은 중국어와 다른 자신들의 언어를 구사한다.

이 소수민족이 주로 거주하는 자치 지역에서는 소수민족의 언어를 지역 공용어로 지정하기도 한다. 자치구 단위에서 공용어인 언어로는 몽골어[10][11], 티베트어[12], 좡어[13], 위구르어카자흐어, 키르기즈어, 투바어튀르크어족에 속한 터키어의 친척뻘 언어들[14]가 있고 자치주 단위로 내려가면 정말 셀 수 없이 많다. 이 중에서는 연변 조선족 자치주의 공용어인 한국어도 있는데, 연변의 한국어[15]는 남한 표준어의 영향을 상당히 받기는 했지만 기본적인 정서법은 북한문화어에 좀 더 가깝다. 일국양제로 자체 행정부를 수립하여 정책이 다른[16] 홍콩마카오표준중국어와 함께 각각 영어포르투갈어 그리고 광동어가 공용어이다.

2020년을 기준으로 오늘날에 들어서는 베이징 중앙정부가 적극적으로 보통화를 보급한 덕에 대부분의 중국본토인들은 기본적인 보통화는 어느 정도 알아 듣는다. 중국에서 보통화는 초등학교에서부터 철저히 가르치기 때문에, 위구르나, 티베트, 몽골소수민족이나 전혀 다른 언어를 쓰는 푸젠성, 광둥성에서도 가정에서 생활할 때나 같은 고향 사람들끼리는 모어인 방언을 쓰지만 타지 사람과 대화할 때나 인터넷 활동, 사무활동[17]에는 대부분 표준중국어를 쓰는 등 보통화가 공용어로서 자리를 잡았다. 대부분의 중국인들은 모어인 방언과 사무언어인 표준중국어를 쓰는 이중언어 사회에 익숙해져 있고, 자기 동네 방언이나 소수민족 언어를 모르고 보통화만 할 수 있는 사람도 늘고 있다.

그러나 2014년에 중국 교육부에서는 전 국민의 30%가 보통화 즉 표준중국어를 쓰지 않고, 보통화를 제대로 쓰는 사람은 전 인구의 10%에 지나지 않는다고 밝힌 적도 있다. "보통화를 어느 정도 유창하게 알아듣고 말하는가"라는 면에서 민간과 중국 정부 사이에 시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중국 정부는 국가 차원에서 보통화 주간을 지정하고, 2020년까지 보통화를 구사할 수 있는 사람들의 비율을 80%까지 늘리고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지방정부에서도 강력하게 추진되고 있으며, 광동어, 민남어 등의 방언이 곧잘 쓰이는 광동성, 푸젠성 등에서는 지방정부에서 광동어 방송 송출 시간을 제한하려 했다가 광저우에서는 지역 주민들이 광동어 탄압이라며 중국본토에서 보기 드문 반대시위를 벌이기도 하는 등 갈등도 좀 있어 결국 없던 일로 했다.

물론 특별행정구인 홍콩/ 마카오는 아무 해당 없고 표준중국어/영어/광동어 혹은 표준중국어/포르투갈어/광동어의 3개 언어를 쓰는 양문삼어 정책을 편다.

문자는 한자를 쓰고 1950년대 중국 정부가 제정한 간체자가 표준이지만 특별행정구인 홍콩마카오에서는 번체자를 쓴다. 1995년장쩌민 주석은 "중국의 공식적인 문자는 간화자이지만, 번체자를 금지하지는 않겠다."라는 입장을 내놓으면서 중국본토에서도 번체자를 찾아볼 수 있다.

주요 외국어영어, 러시아어, 일본어, 한국어 등이다. 1950년대에는 중소관계의 영향으로 러시아어가 인기였지만 개혁개방을 추진하면서 영어가 인기를 끌고 있지만 실제로는 전혀 안 통하는 경우가 많다.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의 대도시권도 다른 지방보단 조금 나은 수준이다. 다만 최근에는 중국도 비교적 개방적으로 변했고 젊은 층에서 학구열도 높아 어느 정도는 통하는 지역이 많아지고 있다. 스위스의 언어 훈련기관 '에듀케이션 퍼스트'의 2019년 연례 조사보고서에서 '중국인의 영어소통 능력이 한국과 일본보다 빠른 속도로 향상 중'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서북/서남 일대 외곽지역의 경우 소수민족도 살고 표준중국어도 안 통하며 정말 아주 간단한 영어 단어조차 안 통하는 경우가 많으니 중국의 서부쪽으로 여행을 갈 계획이 있다면 유의하는 것이 좋다.[18] 특히 티베트 자치구신장 위구르 자치구 등은 한족들만이 표준중국어를 할 뿐이다. 물론 이 지역들도 중국식 신도시가 들어서며 한족 비율이 늘고 있다.

2020년부터 중국 정부가 소수민족들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중국어 보급 정책을 추진하면서 소수민족들과 갈등을 빚고 있다. 9월 2학기때부터 내몽골 자치구에서 몽골어 교육을 대폭 축소하고 중국어 교육을 확대하자 내몽골내 몽골족들이 반발하면서 시위에 나섰다. 조선족 학교에서도 한글을 뺀 교과서를 가르치기 시작했다.# 이족들의 언어도 탄압받을 위기에 놓여 있다.#

5.3. 교통[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국/교통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4. 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국/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행정구역[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국/행정구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정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국/정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1. 사법[편집]



중국의 법 집행 Vs. 서양의 법 집행

사법제도는 이른바 4급 2심제이다. 기층인민법원-중급인민법원-고급인민법원-최고인민법원의 4등급 법원이 존재하고, 각 법원은 독자적인 사건 관할을 가지고 있는데, 상소는 바로 직근 상급 법원에만 단 1번 할 수 있다. 가령 기층인민법원 관할 사건은 중급인민법원에 상소할 수 있고, 거기서 끝나는 식.

1심에서 사실판단을 하고 2심은 주로 법리해석과 양형의 적절성만 확인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사법 판결상 매우 중대한 오류가 있지 않다면 양형이 바뀌는 일은 있어도 유무죄가 갈리는 일은 없다고 봐도 된다. 단 사형일 경우 최고인민법원에서 다시 심사 및 확인하여 결정하는데 최고인민법원이 사형을 기각할 경우 다시 재판을 하게 되고, 파기환송심에서 사형 집행유예 이하의 처벌이 내려지면 그대로 확정된다.

공산 국가들이 그렇듯이 중범죄자는 사형에 처하고 나머지는 가볍게 처리하는 편. 형량은 사형, 사형 집행유예, 무기징역, 징역으로 나뉘며 징역형의 상한은 20년으로 러시아보다는 적고 북한보다는 많은 편이다. 무기징역의 경우도 가석방은 20년 정도 뒤에 가능하며[19] 유기징역도 가석방이 쉽게 되는 편이다. 미성년자의 경우는 징역 20년이 최고 상한이며, 중국 소년법에 따라서 사형과 무기징역 등이 금지되어 있다. 임산부와 75세 이상의 고령 노인에게는 사형이 금지되어 있으며, 무기징역이 징역의 상한이다.

대신 어지간한 중범죄만 저질러도 사형이 일반적이어서, 단순 살인을 저지르고 사형 집행유예를 받으면 매우 관대한 처분이 내려졌다고 할 정도. 남편 살해를 저지른 여성이 가정폭력에 시달린 것이 정상 참작되어 사형을 겨우 면한 것이 뉴스로 보도가 되었을 정도니 말 다했다. 당연히 2인 이상의 다수를 살해했거나 계획살인으로 판명나면 정상참작 사유가 있어도 사형이다.[20] 물론 마약[21]은 더더욱 자비가 없어서 필로폰, 헤로인은 50g만 판매 목적으로 소지가 명확한 경우에는 무조건 사형을 받는다. 외국인도 얄짤 없어서 2014년에는 한국인만 4명이 사형을 당했는데 전원 마약사범이었다. 중국은 아편전쟁으로 인해 마약에 관해서는 매우 엄중히 대응한다. 그러나 정작 중국에서 마약사범을 족족 사형에 처하기로 한 것은 장쩌민 2기때인 1999년부터였다. 1998년까지는 마약사범 최고형은 사형이 아니라 25년 유기징역 + 20년간 가택연금이었다.

중국에 갔을 때 함부로 모르는 사람의 짐을 들어 주지 말자. 그 짐 안에 마약이 들어 있을 수도 있다. 정말 운 없으면 형장의 이슬로 사라질 수도 있고, 어찌어찌 해명하더라도 절대 편하게 귀국할 수 없다. 순진해 보이는 외국인들에게 의외로 자주 써먹는 방법이라고 하니, 애초에 접근하지 않는 게 답.[22]

물론 성범죄도 상습범에 피해자가 아동이면 사형, 뇌물을 많이 받아도 저우융캉이나 보시라이처럼 확실한 뒷배경이 없으면 사형이다. 특정 사건으로 인한 사회적 분노가 심하면 일단 엄벌에 처하고 보는 경향도 있어서, 2015년 6월에 와서는 유괴 문제가 심각해지자 유괴범은 일괄 사형을 원칙으로 하는 법안이 제출되었을 정도.

교도소 환경은 개발도상국이 흔히 그렇듯이 굉장히 좋지 않은 편. 다만 교도 당국이 감시를 상당히 철저하게 하기 때문에 재소자들 간의 범죄는 별로 흔치 않고, 오히려 문제가 되는 건 교도소 측의 착취나 가혹행위. 오전에는 채석장에서, 오후에는 게임머니 작업장에서 노역을 했다는 기사도 나왔을 정도다.

과거에는 라오가이라 하여 경범죄자를 임의로 가두고 3년까지 강제노역을 시키는 중국판 굴라크도 있었다고 하는데 현재는 폐지되었다.

중국의 경우에는 한국처럼 범죄가 저질러 진 지역에서 수사 및 재판하는 장소주의가 원칙이다. 자국민의 국외범 및 외국으로 외국인 범죄자를 인도하는 사안인 국외 사건의 경우에는 랴오닝성 관할이다. 랴오닝성 고급인민법원에서 재판해서 자국민 국외범의 형량이 결정되거나 외국으로 외국인 범죄자의 인도를 판결하는 것이 여기서 이루어진다.

특이점은 판사가 가끔 법원이 없는 곳이 가서 파견하는데 중국 국장과 같이 간다는 점이다.# 국장을 걸면 그 구역이 법원화되다는 것이다.

7.2. 외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국/외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중국에 동맹국은 몇 안 된다. 가장 대표적인 동맹국은 러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7.3. 국력[편집]


군사면에서 병력[23]로는 세계 최대 규모이며 국방비미국에 이은 세계 2위로 미국의 3분의 1 정도다.

영어 위키백과#[24]에서는 중국 군사력이 세계 2위라고 하며 GFP에서는 군사력 3위로 평가되고 있다.#

UN 상임이사국 P5이자 핵무기 보유국이고# ICBM #, SLBM # 기술 모두 가지고 있다. 무기 수출은 3위를 하고 있다. #, # 우주 분야에서도 러시아, 미국 다음으로 유인우주선#, 우주도킹을 자력으로 할 수 있는 국가다.# BRICS, 상하이 협력기구, AIIB의 구성원이기도 하다.

경제면에서는 구매력 기준 GDP미국을 능가한 1위를 달성하였고, 명목상 GDP는 미국의 60% 정도인 세계 2위의 경제대국이다.영어 위키백과 , 다음 GDP IMF 순위.[25] 동시에 무역 규모에서는 세계 2~3위다. 미국, 유럽연합 다음이다.Largest countries by total international trade 외환보유고 1위의 국가이며# 보유고는 6위고 Officially reported holdings 미국 주도의 IMF에서도 투표권 3위다. https://en.wikipedia.org/wiki/International_Monetary_Fund#Voting_power 그러나 국민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멕시코의 1/4 수준이며 # 리커창 총리는 6억명이 극빈층이라고 발표했으나 공산당측은 불쾌한 반응을 보였으며 통계조작,빈부격차를 감안할때 빈곤수준은 훨씬 심각한 것으로 보고있다.#

중국의 화폐인 위안화는 2015년부터 IMF 국제통화기금에 의해서 5번째 SDR(특별인출권)에 편입되었다. 일본 엔영국 파운드를 밀어내고 3번째 비율을 차지했다. Value definition 2016–2020, # 다만, 세계 무역 화폐 결제는 아직 미국 달러, 유로, 일본 엔이 95%의 비율로 사용되며, 이를 세계 3대 무역 통화로 분류한다. 따라서 특별인출권에 편입된지 얼마 안 된 위안이 세계 무역 결제에 사용되는 비중은 위 3개의 화폐단위에 비하면 미미하다.

선진국의 기준에는 많은 지표에서 미비하여 선진국으로 당연히 인식되지 않으며 국민 1인당 생활수준으로 따지면 후진국이다. 세계은행이 발표한 고소득 국가(high-income economies) 및 OECD 가입 고소득 국가(OECD High-Income)에 포함되지 않으며, 따라서 OECD 산하 개발원조위원회(DAC)의 참가국도 아니다. IMF에서 발표하는 발전된 경제(advanced economies) 39개국 목록, 파리 클럽 22개 채권국 목록에서도 제외되어 있다. UN개발계획에서 발표하는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Index)에서도 최상위국(Very High Human Developedment) 목록에서 빠져 있다.

위의 서술이 나무위키 특유의 난잡한 서술이라 좀 헷갈릴 수 있다만 결론을 내리면 중국은 강대국이기는 하지만 선진국은 아니다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보통 신흥국이라는 부류에 많이 넣어진다. 강대국이지만 선진국이 아닌 점은 구소련도 마찬가지였다.

7.4. 중국의 미래[편집]


중국은 잠자는 사자다. 잠에서 깨어나면 세계를 진동시킬 것이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당시 나폴레옹은 유럽을 상대로 전쟁을 일으키고 나서 그 여파가 중국까지 영향을 끼쳐 중국이 적으로 돌아서는 걸 염려하였다. 중국이 강한 나라라고 생각하여 건드리지 말라고 강조하였던 것이다.

하지만 아편전쟁으로 영국홍콩을 떼어준 이후, 중국의 국력이 동네북이란 것을 깨달은 서양 열강들에 의해 '아시아의 병자'로 전락하고 반식민지가 되어 수탈을 겪었다. 심지어 섬나라에 영토도 훨씬 작고 해적질이나 하며 사는 왜놈이라 깔보던 일본 제국에게 청일전쟁에서 깨지고 나서 대만을 식민지로 내어주는 굴욕까지 당해야 했다.[26] 그리고 나라를 망친 이민족인 만주족의 통치를 몰아내자는 멸만흥한 운동, 즉 신해혁명이 일어나 청나라멸망했다.

아편전쟁 이후 중국 대륙은 역사 속에서 늘 그랬듯 혼란기로 접어들었지만, 제 2차 세계대전이 벌어졌을 땐 추축국일본 제국전쟁을 치른 끝에 승리하여 상임이사국의 지위도 얻었고, 그리하여 잠재력을 서서히 깨워 오늘날 인구 세계 1위, 무역 규모 세계 2위의 강대국이 됐다. 외환보유고도 세계 1위로 3조 100억 달러로, 2위인 일본부터 대한민국,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인도까지 다 합쳐야 중국의 외환보유고를 넘어선다.[27] 경제규모 또한 미국 다음으로 세계 2위이며 실질적인 영향력은 일본을 능가했다. 물론 일본이 잃어버린 10년으로 경제가 많이 망가졌던 것도 한몫한다. 2010년 상반기에 GDP 규모가 일본을 추월했다고 추산이 나왔다.[28] 그런데 경제학자들 추산으로 중국이 일본을 추월하는 시점이 2011년이었다는 점.

세계금융위기 이후 중국의 행보도 더욱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말도 많고 탈도 많던 언론통제 역시 아주 조금 완화하는 모습을 보인 적도 있다.[29]

중국은 값싼 노동력을 활용하여 세계의 공장이 되었으며, 싼 가격을 내세운 군수물자 수출도 활발하다[30]. 관점에 따라 중국의 무기는 싼 게 비지떡꼴이라 보기도 하나, 군사/과학면에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과 2012년 기술 수준 평가 보고서를 찾아보면 우주항공기술 다음으로 기술발전이 빨라지고 있다. J-20 같은 자체 스텔스 전투기도 만들 정도다.

사실 중국이 경제 성장을 크게 한 이유 중 하나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지적재산권이다. 중국은 산업 체질을 첨단 기술 산업으로 바꾸려고 했고, 워낙 상대적으로 다른 국가보다 낮은 기술력을 빠르게 발전시키기 위한 중국의 눈감음도 있다. 수많은 국가의 지적재산권이 특허권이 지켜지지 못해 긴 시간 국가가 투자하여 만든 기술들이 유출되고 디자인 유출을 심각하게 겪는다. 중국 정부와 중국인들의 지적재산권에 대한 의식 수준이 낮은 것도 큰 이유이며 특히 중국에선 합작 회사를 만들어야 하는데 그로 인한 기술 유출도 심각하다. 특히나 한국이나 유럽, 일본 그리고 미국이 상당한 시간과 인력, 비용을 투자한 기술, 문화가 중국으로의 유출로 인한 피해가 심각하다.

이런게 계속 지속된 이유는 지금까지는 세계적인 압력과 단속이 없었기 때문이다.

결국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정권 출범 이후 만약 지적재산권 조사와 관세를 올리는 조치를 취할 경우 중국의 경제는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예상되었고, 2018년에 실제로 비슷한 일이 벌어졌다.

중국은 구소련 및 현 러시아처럼 우주항공 부분에서 매우 뛰어나다. 우주항공 분야에서도 중국은 명실상부한 세계 3위의 강대국이다. 최초의 인공위성스푸트니크 1호가 쏘아올려진 다음해인 1958년부터 마오쩌둥위성발사를 제창했고[31], 1960년 최초의 발사체 둥펑(東風) 미사일[32]을 쏘았고, 1970년 둥팡홍(東方紅)[33] 1호로 드디어 빛을 발했다. 문화대혁명이라는 거대한 반달리즘을 저지르고도 우주 항공 기술을 이 정도까지 끌어올린 것이다. 실제로 오늘날 유인우주선 우주 도킹을 자력으로 할 수 있는 나라는 미국, 러시아, 중국 밖에 없다.

사실 200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중국의 우주기술은 미국, 러시아는 물론 일본이나 유럽에도 뒤진다고 평가되었다. 사실 인공위성 발사로 스페이스클럽에 들어간 건 세계 5번째라서 아무리 못해도 세계 5위는 되었다. 장쩌민 시절인 1990년대에는 921공정이라는 계획을 세운 이후, 30년 안에 독자 우주정거장을 건설한다는 야심찬 목표를 세우고 밀어붙였다. 결국 20년 동안 실험용 우주정거장까지 건설하는 위엄을 보여주었다. 구소련 및 현 러시아에 이어 미국에 대항하는 우주 기술력이라고 말할 수 있다.

중국의 우주항공 기술력이 세계 3위로 인정받을 수 있다는 것을 본격적으로 증명한 것은 2003년 10월 선저우 계획으로, 첫 유인우주선 선저우 5호를 성공적으로 발사했을 때였는데[34] 한국인들에게 일종의 스푸트니크 쇼크를 주었고 그간 짱개 드립하며 중국을 우습게 보던 한국인들이 큰코 다쳤다. 한국은 반면 2009년 이후 쭉 나로호 발사를 시도했으나 모두 실패로 끝나서 체면을 구겨버렸다.

당시 중국과학기술부장[35] 쉬관화(徐冠华,서관화)은 “양탄일성"급의 사건이라고 말했다. 말하자면 원자폭탄[36]수소폭탄[37]을 성공시킨 기쁨에 둥팡홍을 쏘아올린 기쁨을 더한 정도라는 것이다. 고작 2년 8개월밖에 걸리지 않은 원자폭탄과 수소폭탄 개발과정은 중국의 핵개발 문서 참조.

2007년에는 중거리 탄도미사일스스로 노후 기상위성을 파괴하기도 했다. 이 정도면 대단한 거 맞다.

물론 아직 미국이 넘사벽이기는 하다만 이 위성 파괴건은 마냥 자랑만 할 거리는 아닌 게, 미국이나 유럽 등지에서 우려를 표시했으나 중국은 그냥 무시하고 파괴시켰다. 그 결과 대량의 우주쓰레기가 양산되었다. 발사체를 이용한 위성 파괴는 우주쓰레기를 심각하게 발생시켰는데, 미국과 소련이 이런 종류의 무기를 1980년대에 여러번 실험했다가 우주쓰레기를 발생시켰는데, 중국도 여기에 나쁜 쪽으로 한 몫한 것이다.

참고로 영화 그래비티는 중국의 위성파괴 때문에 문제가 빚어졌다는 식으로 전개하려고 했으나 중국 시장을 고려해서 러시아가 파괴하는 것으로 시나리오를 바꾸었다고 한다. 그리고 오히려 주인공의 생환을 도와주는 역할이 중국이 되었다. 중국 정부도 이에 화답하여 그래비티의 개봉날짜를 당겨줘 미국과 중국은 거의 동시개봉하게 되었다.

중국은 이제 우주 정거장도 쏘아 올리는 나라다. 바로 톈궁, 그러니까 천궁天宫이다. 무인 우주선 선저우 8호로 이미 도킹은 성공했고, 9개월 뒤에 아예 2012년 6월 18일에는 첫 여성우주인 류양을 태운 유인우주선 선저우 9호가 지난 18일 지구궤도에서 우주 정거장인 톈궁 1호와 도킹에 성공하였다. 2013년 12월에는 세계 3번째로 최초의 무인 달 탐사 차량인 옥토끼(玉兎·위투)를 탑재한 창어3호를 달에 착륙시켰다. 2015년 7월 25일에는 쓰촨성 시창 위성발사센터에서 제18 · 19호 차세대 베이더우 항법위성을 탑재한 창청(長征)3호을(乙)과 위안정(遠征) 1호 로켓 발사에 성공했다. 2015년 9월 20일에는 20기의 소형위성을 장착한 로켓인 창정 6호를 발사 성공하였다. 또한 2004년부터 11년째 이어지고 있는 중국의 달 탐사 공정을 통해 중국은 이미 달 궤도 선회 및 달 표면 착륙과 같은 임무를 성공한 상태다. 2016년 8월 16일에는 세계 최초로 양자통신 상용화를 위한 실험위성 발사에 성공하였다.

중국의 우주기술이 대단하다는 것은 수치로도 증명되는데, 중국은 모든 종류의 인공위성[38]을 독자제조할 수 있으며, 위성 발사기지는 5곳[39], 우주개발에 종사하는 인원수는 40만여 명에 달한다. 뿐만 아니라 현재 궤도상의 인공위성 수와 지금껏 발사한 위성의 수도 중국은 러시아-미국에 이어 세계 3위다. 중국의 공식 우주예산은 1년에 50억달러 정도지만, 중국의 국방비와 마찬가지로 누구도 진짜 중국이 이정도밖에 안쓴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일단 돈을 퍼부으면 기술력은 성장하기 마련이고, 기술력이 성장하면 성과는 당연히 나오기 마련인데, 유인우주선 성공과 우주유영 성공, 그리고 실험적 우주정거장인 톈궁을 건설하는 것으로 이미 중국은 자신의 기술력을 보여준 것이다.

중국의 대두는 한국의 국가 전략에 참으로 힘든 과제를 안겨주었다. 한국의 대중국 무역 의존도는 20%로, 대일 의존도 10%, 대미 의존도의 9%의 2배며, 일본과 미국의 무역 의존도를 합해야 대중국 무역 의존도와 비슷할 정도지만, 중국 의존도는 계속 높아지는 반면 미국이나 일본에 대한 무역 의존도는 점점 낮아지고 있다.# # 중국 경제의 영향력 증가 최근에는 미국증시 보다 상관계수가 더 높아졌다. 관련기사

다만 확실한 것은, 중국은 14억에 가까운 인구라는 거대한 규모를 기반으로 큰 경제성장을 하면서도, 그 때문에 상상을 초월한 환경 오염은 물론이요 사회 제도상 부작용도 함께 몰고 다니고 있다. 특히 중국/경제의 경착륙이 가장 문제시 되는 상황이다. 잘 된다면 중국은 새로운 초강대국으로 올라설지 모르나, 잘 안 되면 세계의 시한폭탄이 될 수도 있다. 중진국 함정에 빠지는 게 중국에게 가장 큰 위협이기 때문이다. GDP는 높으나 그것은 모두 중국 내 생산이기 때문에 인도만 해도 GDP가 대단하다. 실제로 해외 기업들이 중국에서 생산하여 중국 GDP에 기여하는 것이 중국인들에게 반영되기 점점 어렵다는 평도 나오고 있다. 그리하여 중국도 지금은 중진국 함정에서 빠져나오기 위해 기술 발전에 목숨을 걸고 있다. 특히 자원면에서 지금처럼 원자재 가격이 떡락 신세가 되면 국토가 큰 몽골처럼 망할지도 모르니 말이다.

국제사회는 앞으로 중국의 행보에 커다란 영향을 받으며 변화할 것이다. 일부 학자들은 언젠가 미국이 1위 자리에서 내려온다면 그 자리를 중국이 차지할 것이라 할 정도다. 하지만 일부 경제학자들은 일본도 한때 그런 립서비스를 받았기 때문에 중국의 경제도 비슷하게 경착륙할 것이라 주장하고 있다.

그래도 잘 나가면서부터 미국과 꾸준히 친밀한 관계를 이루다 플라자 합의 이후 쉽게 무너진 일본과 달리, 일본보다 경제 규모가 작을 때도 자원빨과 인구빨, 군사력빨로 인도, 베트남 같은 주변국들과 국제 사회를 신경도 쓰지 않고 싸움질 하며 이를 두고 경고하는 미국을 가볍게 무시하고, 6.25 전쟁이나 베트남 전쟁을 벌일 때에도 미국과 간접전을 벌이길 주저하지 않으며 똥배짱으로 나오던 중국은, 경제로 잘 나가던 시기의 일본과 비교가 되지 않는 위상을 가진 게 확실하다.

한편 중국이라는 나라의 브랜드가 수준 떨어지는 것이 중국의 발목을 잡는 중이다. 언젠가 중국도 자동차현대그룹 같이 만들어서 미국 등지에 팔고 싶지만, 정작 이를 가능하게 할 브랜드의 가치가 높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국은 인도처럼 인구가 많기 때문에 잠재력이 충만한 나라라고 볼 수 있다. 다만, 많은 인구는 문제가 잘 풀리면 그 나라의 역량이 되지만 잘못 풀리면 위험 요소가 되고, 장기적으로 볼 때 지나치게 큰 국가와 인구수가 사회 불안의 요인이 될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서민들은 당연히 경제성장의 열매를 자신들도 맛보기를 원하지만, 13~15억에 달하는 인구 전체가 맛볼만한 열매를 마련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당장 자원 펑펑 쓰기로 유명한 미국인들의 생활 행태에 빗대어 '중국인들이 미국인들만큼 자원을 쓰려고 들면 지구가 10개라도 모자라다'고 이야기하기도 한다. 그렇다고 성장한 결과가 재분배되지 않으면 대중은 당연히 화를 낼 텐데, 15억에 가까운 중국 인구가 한꺼번에 들고 일어나면 그 뒷감당은 불가능에 가까울 것이다. 그리고 중국은 인구 대부분이 고소득층이 아닌 부유하지 못한 국가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또한 지미 카터 전 대통령에게 중국이 미국보다 강해질까봐 두렵다고 고백했다. #

사실 나무위키 등 한국인들의 반중 및 혐중은 중국을 우습게 보는것이라기 보다는 중국에 대한 경계심이 있다는 것이 더 크다. 기성세대는 중국을 후진 나라라며 진짜 우습게 봤다면 요즘 세대는 문자 그대로 중국의 성장과 초강대국화를 경계하는 것에 가까운 셈이다. 특히 한국은 현실적으로 국가 규모가 중국에 비해 작은지라 그 경계심이 더 클 수 밖에 없다. 물론 대신에 그만큼 중국도 국력에서 밀리는 미국과의 대결만은 원치 않는지라 의외로 한중이 직접 충돌할 여지는 또 적다. 괜히 북한을 분할하자는 주장을 중국 등이 하고 이에 미국이 동조하는 게 아니다. 중국은 북한을 중립화하여 일종의 완충지로 삼고 싶으며 한국 역시 중국과의 직접 접경이 내심 부담스러운 게 사실이라 말로는 통일을 외쳐도 북한분할론에 뭐라 말을 못 한다. 이는 남북관계가 크게 개선시도가 있는 문재인 정부에서도 똑같다.

기타 중국의 미래에 대한 내용은 아래의 문서들을 참조 바람.

  • 중국 위협론: 중국이 장차 이웃국가와 세계의 다른 나라들에게 위협이 될 것이라는 가설.
  • 중국 붕괴론: 중국 경제 성장의 이면에는 문제점이 널렸으며 곧 정치/경제적으로 붕괴할 것이라는 가설.
  • 중진국 함정/중국: 중국붕괴론에 영향을 주는 징후들.

8. 경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국/경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1. 사회주의적 시장경제[편집]


큰 시장을 이용하여 외국기업의 자본과 기술을 유치하여 합작 회사를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국내 기술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키고 있다. 물론 이 작업이 항상 순조로운 것은 아니라서 이런저런 짝퉁에 관한 안습한 이야기도 많지만, 이런 과정을 통해 중국의 기술이 점점 발전하고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핸드폰만 보더라도 2010년까지만 해도 중국제는 조잡한 안습이었으나, 이제는 꽤 괜찮은 제품들을 내놓고 있다.

중국 고속철도 사업을 보면 거대한 시장규모를 이용한 중국의 기술도입의 전형이 나타나는데, 중국은 구간을 나눠 TGV, 봄바르디어, ICE, 신칸센 등등 모두와 합작사업을 벌였고, 이들 모두의 기술을 적극 섭취했다. 그러니까 한국이 TGV를 구매하면서 받은 기술이전을 중국은 고속철 업체 모두에게 다 받았다는 것. 기술 섭취가 미진했다는 주장도 있으나, 어쨌든 중국은 단번에 이들 선진 업체의 기술을 접할 수 있었다. 그래서 초기의 몇몇 사고에도 불구하고, 현재 중국은 갑자기 고속철도계의 강자가 되어 여러 사업에서 원조 회사들과 경쟁하고 있다. 특히 태국 고속철도 사업에 중국 업체가 선정되었다. 선진국 업체들이야 급전이 필요해서 그랬다지만, 부메랑을 던진격.

중국이 핵심기술을 강제로 공개한다는 법을 만들었다는 IT제품 기밀 공개 명령제는 보안에 관련된 기술을 공개하라는 것으로서 중국국가안보에 관련된 것이기 때문에 요구한 것이며, 무리한 것 같지만 나름 이유가 있다. 중국은 이미 윈도우나 iOS과 같은 비공개 소스코드 제품에 미국의 치트키가 숨겨져 있다는 것을 감지해왔고, 1990년대 말부터 이런 제품을 정부에서 쓰는 것을 금지해왔다. 이는 2013년 스노우든의 폭로로 근거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자세한 것은 프리즘 폭로 사건을 참고.

부동산 시장, 통신 시장 같은 경우는 정부가 독점하고 있다. 토지의 영구 소유권은 인정되지 않고 토지의 소유권은 전부 중앙정부가 가지고 있다. 물론 토지 매매 자체는 존재하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영구대여권을 사고 파는 것이다. 그러나 건물은 사유재산이 맞다. 물론 명시적인 법률 상으로는, 실질적으로 보면 좀 웃긴 상황인데, 70년[40]이 끝나면, 토지의 임대 년한을 연장해준다고 정부에서 입법공표는 해 놓은 상황이라고 한다. 하지만, 얼마나 연장해줄지, 아니면 그 임대료는 얼마나 받을지 아무도 모른다. 아마 국가주석도 모를 것이다. 아직 70년이 돌아오려면 한 35년 넘게 남았기 때문에 세부세칙은 공표를 해놓지 않았다고 한다.

하지만 여기에 문제는 존재하는데, 임대료를 만약 경제주체가 용납할 수 있는 범위 밖에서 설정하면? 건물은 당연히 포기해야 한다. 하지만 한국처럼 중국도 70년이 넘은 건물은 거의 없다. 이런 경우는 있다. 아버지가 대지와 건물을 아들한테 넘겨주면, 아들은 오래된 건물을 철거하고 새로 건물을 짓는 경우는 있다. 중국은 이런 경우는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2040년~2050년 전후로 한번 대규모 건설경기는 부양될 것 같다.(물론 초대형 도시 중심으로) 아직 멀디먼 이야기다. 글 읽고 있는 위키러가 퇴직하거나 퇴직 준비할 때쯤이다.

빈부격차가 심각하여 사회 불만이 날로 높아지고 있으며, 이대로 방치할 경우 조만간 큰 사회 문제가 될 것이기 때문에 중국 정부도 이의 해결을 고심하고 있으나 쉽지 않을 듯.

경제성장률을 높이고 계속된 성장 기조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당한 무리수를 쓰고 있는 부분도 있다. 심지어 작은 도시 하나를 통째로 이주시키기 위해서 도시 옆에 같은 규모의 도시를 건설하고 전의 도시는 버리는 방식의 개발을 하기도 한다. 특별한 재난이나 대형 사고 때문이 아니라 건설 쪽 일거리를 만들기 위해서. 중국 정부는 사회불안을 잠재울 수 있는 경제성장률을 8%로 상정한다고 한다. 그 이하로 내려가면 문제가 커진다는 이야기.

신흥국답게 GDP(국내총생산)는 높은데 2016년의 명목 GDP는 미국의 60%에 달한다.

중국에 가면 외제차가 의외로 많은데, 그 이유는 중국에서 외국 자동차 기업이 자동차를 판매하려면 합작 법인을 설립하고 이 법인의 중국 공장에서 외제차를 제조하도록 규정하기 때문이다. 즉 외제차가 외제차가 아닌 중국산 차다. 한국이나 일본과는 달리 외제차에 관세를 내지 않고 수입하지 않기 때문에 가격이 싼데, 거의 50% 정도이다.


8.2. 과학기술[편집]


메이드 인 차이나의 악명 때문에 중국의 과학기술이 낮다고 아는 사람도 많지만 항공우주기술이나 국방과학기술, 기초과학기술 등의 기술 분야들에서는 세계에서 손꼽히는 강국 중 하나이다. 또한 최근에는 중국의 첨단과학기술 도둑질이 매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41]

이미 1950년대에는 소련으로부터 각종 무기들을 라이센스 생산해왔는데다가 소련과의 제휴가 끊긴 1960년대 초반에 핵무기와 중거리유도탄, 문화대혁명으로 난장판이 되어 있을 때인 1970년대 초반에는 우주선 발사에 성공하고 ICBM을 개발하는 기염을 토했을 정도이다. 이는 미국뿐만 아니라 소련과도 사이가 나빠지면서 기술 도입선이 막혀버렸고, 스스로 모든 무기를 개발해야 했기 때문이다. 이랬기 때문에 중국은 국방과학기술에 엄청난 투자를 했고, 국방중 항공, 우주분야에 한해서 한국에 비해 4.2년 정도 앞서있다는 평가가 있지만[42]#, 이는 그냥 수치화된 것일 뿐, 실제 기술 수준은 넘사벽.[43] 중국은 1970년 인공위성을 자력으로 발사하고, 현재는 우주 정거장을 만들고 있고, 항공분야에서는 스텔스기민항기를 자력생산할 수준까지 올라왔다.

그러나 모든 과학기술 측면에서 그런 것은 아니고 한국이 앞서 있는 분야도 있으니 경우에 따라 다르다. 사실 조선업만 보더라도 벌크선이나 중소형 화물선 같은 저부가가치 선박은 중국 점유율이 높다지만 대형 화물선이나 유조선 탱커, LNG선 같은 선박은 중국 조선업체 보다 아직 우위에 있다. 중국 조선업의 저가경쟁 요소였던 낮은 임금도 중국의 임금 인상으로 인해 2015년 현재로서는 옛날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빠른 기술 발전으로 대한민국보다 기술력이 떨어졌다고 판단되었던 중국이 기술 발전을 하자 일본보다도 뒤쳐져있는 한국에 중국이 급격히 쫒아온다는 ‘샌드위치론’이 등장하였다. 한·중·일 기술수준을 어느 정도 비교하면 이에 대한 우려가 매우 크다.

한국의 첨단기술은 기업들의 적극적이고 과감했던 투자와 공대 붐이 일었던 80년대에 배출됐던 인재풀로 만들어낸 것인데, 그것이 현대에 와서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사실 위의 서술도 그렇고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처럼 신뢰성이 높은 통계 자료를 기준으로 보면 한국인들이 멍청이가 아닌 이상 디스플레이, 반도체, IT(정보기술) 같은 주류 분야는 추격 속도가 매우 빠르면 5년 적당히 빨라도 10년은 걸릴 격차다. 2015년을 기준으로 봐도 아직 차이가 나는 편이라 수치상으로 중국이 10년 안에 따라잡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식물분류학 같은 학문은 한국은 물론 현대식물학을 먼저 시작한 일본보다도 뛰어나, 그 드넓은 땅과 다양한 기후대의 자국 식물을 대부분 분류해 놓은 상태이다.

그래서 한국이 살아남으려면 앞으로 미래 연구에 적극적으로 투자를 더 해야 한다. 특히 잔기술이 아니라 고급기술이나 기초과학 분야에서 석박사급의 고급인력을 양성하는데 국가적인 차원의 투자를 해야한다. 기사


9. 사회[편집]





9.1. 치안[편집]



중국에 10년 넘게 거주 중인 서양인이 바라본 중국 치안

중화인민공화국 공안부 - 공안 항목도 참조.

중국은 하도 넓은 곳인데다 지역 간 격차가 너무 심해서 치안에 대해 일반적으로 딱 잘라 말하기는 힘들다. 일반적인 도시는 치안이 좋은 편이다. 수도 베이징은 물론 동부 해안도시같이 일반적으로 여행 갈 법한 지역은 치안이 그리 나쁘지 않다. 중국어를 할 줄 알고 어느 정도 해당 지역에 대해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크게 걱정할 수준은 아니다. 물론 이건 도시지역의 큰 길, 사람이 많은 곳 이야기고 어디 으슥한 곳에는 함부로 가지 않는 것이 좋다. 이것은 사실 중국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도 해당하는 이야기다.

아주 오지의 시골 지역에는 교통망이 촘촘하여 도시권과 연계가 잘되있는 한국의 시골과는 다르게 고립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전근대 수준의 문화를 유지하는 곳도 있으므로, 이런 지역을 여행할 때는 각별히 주의할 것. 특히나 중국어나 영어같은 제 2,3 외국어등을 잘 안쓰고 그 민족의 언어를 쓰는 곳도 있으니 조사를 자세히 하고 가야한다.


9.2. 인권[편집]





9.3. 대륙의 기상[편집]





10. 문화[편집]





10.1. 교육[편집]



중국의 교육 vs. 서양의 교육

대한민국처럼 교육열이 상당히 높은 국가다. 사교육도 활발하여 신동방같은 대형 사교육 업체도 많다. 이유는 대한민국 · · 학생들이 서울대학교에 가려고 열심히 공부하듯 중국에서도 베이징대학에 가기 위해 열심히 공부하기 때문이다.[44] 사실 과거제라는 개념을 처음 만들어 사교육 열풍이라는 걸 인류역사상 처음 만든 것도 중국이다. 이미 한나라 시절에 쪽집게 과외, 시험지 유출, 시험관 매수 등도 모자라서, 말도 안 되는 컨닝 기술들을 만들어 낸 인류역사상 최초의 정통 경쟁교육 강조 국가가 중국이다.[45]

중국의 학제는 성(省)마다 조금씩 다르며 안후이성(安徽省), 후베이성(湖北省), 산동성(山东省)은 5-4-3이며 베이징의 경우에는 6-3-3으로 한국과 같다. 명칭은 소학교, 초급 중학교, 고급 중학교이다. 초급 중학교까지의 9년이 의무교육이다. 그래서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학하려면 한국의 고입선발고사와 비슷한 중카오를 봐야한다. 학년이 시작하는 시기는 한국처럼 3월이 아닌 다른 북반구 국가들처럼 9월에 시작한다.[46] 여기에 중국에서는 1학기 기말고사를 크리스마스 근방에 본다.

또한 대한민국처럼 야간자율학습 실시 국가인 만큼 보통고등학교학생모집전국통일고시(가오카오)를 준비하기 위해 밤늦게까지 공부하는 학생, 아니 기계가 되어 버렸다. 그나마 2010년대에는 지역에 따라 야간자율학습이 금지되기도 하였다.

중국은 대학 입시에 지역 할당제를 적용한다. 여긴 심지어 지역별로 지원 가능한 전공도 정해져 있다.

중학교는 '사상품덕' 고등학교는 '사상정치'로 한국의 사회 과목에 대응(지리는 따로배움)되는 과목에 도덕, 윤리 내용이 포함된다. 또한 유리식, 무리식을 중학교에서 배우고 순열조합은 이과만 배운다. 자세한 내용은 중국 수학 교육과정 문서 참조.


10.2. 관광[편집]





11. 군사[편집]



12. 단위[편집]



12.1. 시간대[편집]


중국의 모든 지역은 베이징 인근을 통과하는 동경 120도선을 자오선으로 하는 단일 시간대 UTC+8로 통합되어 전 국토가 같은 표준시를 쓴다.

베이징에서 오전 7시면 머나먼 티베트에서도 오전 7시. 같은 시각이라도 베이징에는 날이 샜는데 티벳은 아직 꼭두새벽이다. 비슷한 크기의 미국알래스카하와이와 이외 속령의 시간대를 제외하더라도 4개의 시간대를 가지고 있는 것과는 대조된다.

이렇게 시간대가 다른 지역은 출퇴근 시간을 현지시간에 맞게 조정한다. 가령 신장 위구르 자치구티베트에서는 11시가 공식 출근시간이다. 이런 식으로 시간대가 실제와 다르기에 중국 최서단 지점에서는 차이가 3.1시간이나 난다. 중국이 한 시간대를 쓰는 이유에 대해서는 정설이 없으나, 한족을 중심으로 하여 중화민족의 단결, 협동을 공고히 하고자 했다는 추측이 있다.

중화민국 시절만 해도 여러 시간대를 쓴 나라다. 태양시를 기반으로 한 시간대를 따르면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 주요 대도시 및 내몽골은 당시 UTC+8을 썼다. 외몽골 역시 서부 호브드를 빼면 대게 UTC+8이라 그냥 따른 것이다. 반면 윈난성, 쓰촨성, 칭하이성, 간쑤성 등 서부는 UTC+7로 태국, 베트남의 시간대를 썼고 신장성티베트는 UTC+6을 썼으며 만주는 한반도보다 30분 느린 UTC+8.30을 썼다. 그러다 통일된 것이다.

금융시장 개방을 하면 바뀔 지도 모른다. 경제 중심지가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원래 UTC+8인 지역에 몰려있지만 미국도 무려 4개 시간대를 쓰고 뉴욕에 금융이 몰려있음에도 별 문제없이 잘 쓰며 러시아도 금융은 모스크바에 몰려있으나 문제없이 여러 시간대를 쓴다. 이 경우 금융 관련 시각대는 UTC+8을 기준으로 맞출 것이다.


13. 창작물[편집]



13.1. 가상의 중국[편집]




13.2. 중국을 모델로 한 것들[편집]




[1] .中国과 .中國은 국제화 국가코드 최상위 도메인이다. 중국의 특별행정구인 홍콩마카오는 별도로 도메인이 있고, 중국이 영토로 주장하는 대만(중화민국) 또한 도메인이 있다.[2] 중화민국으로부터 승계받은 코드다.[3] People's Republic of China의 약자. 메이드 인 차이나의 부정적인 시각도 있고 해서 요즘 CHN보다 PRC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코로나1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경보[4] 한국의 경우 냉전 시절에는 중공이라고 불렀으며, 대만중화민국을 중국 혹은 자유중국으로 부르다가 1992년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 수교 후 중국 대륙에 위치한 중화인민공화국을 승인하면서 이후 세대는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으로 인식하게 되었다.[5] 중국어론 댜오위타이라고 한다.[6] 분쟁지역의 포함 여부나 '영토 개념'의 해석상의 차이로 통계에 따라 서로 순위가 달라지기도 한다. 이에 대해서는 중국/자연지리를 참조.[7] 자세한 내용은 인구 순위 참고[8] 파생으로 H 혹은 X도 있다.[9] 지나-한국, 시나-일본[10] 내몽골 자치구신장 위구르 자치구칭하이성 몽골 자치현에서 사용한다[11] 키릴 문자를 쓰는 외몽골의 몽골어와는 달리 몽골 문자를 쓴다.[12] 티베트 자치구 및 인근 티베트인 자치 지역[13] 광시좡족자치구 일대[14] 신장 위구르 자치구[15] 중국 조선어라고 부르며 남북한 한국어와는 좀 다르다.[16] 물론 내정에 대한 100% 불간섭 보장은 아니다. 중국 중앙정부는 경제에 대해서만 불간섭하며 정치 쪽으로는 간섭을 하지 않겠다고 안 했고 실제로도 많이 간섭하며 시진핑 대에 노골적이다. 어디까지 경제자유만 보장할 뿐 정치자유는 시진핑 때에 들어선 필요없다는 태도이다.[17] 다만 지역 방언을 유창하게 할 수 있으면 해당 지역 비즈니스에는 도움이 된다. 진짜다. 특히 독자의식이 은근히 있는 푸젠성 등이 그렇다.[18] 그래서 중국여행 중 대화가 힘든 상황이면 한자를 적어서 필담을 하는 방법이 있다. 21세기 들어서 발전한 필담의 사례가 다름 아닌 번역기.[19] 실제 의무 복역기간은 일반적으로 15~20년 내에 가석방이 되며, 사형 집행유예도 원래는 이런 식으로 갔다가 구카이라이 사건이 터지고 나서 25년으로 전격 상향 조정되었다고 한다.[20] 물론 왕량처럼 예외가 있긴 하다. 하지만 이 경우는 왕량 본인은 강도 범행 제안만 했고 처음부터 강도가 목적이었는데 웨이웨이와 양닝이 살해까지 저질렀다고 강조한 데다, 중국 공안 당국의 수사에 최대한 협력한 점이 참작되어 가능한 일이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국이 아니라 일본에서 저질러진 사건이기에 중국 정부가 자국 여론을 크게 신경쓰지 않을 수 있었다는 점도 작용했다.[21] 중국도 본인이 소장 후 흡연 목적이 명백하고 판매 목적이 아닌 경우는 단기 징역과 일정액의 벌금이 부과된다. 예를 들어, 성룡의 아들 방조명은 가진동과 대마초를 흡연했다가, 징역 6개월과 한국돈 35만원 정도 가량의 벌금형을 받았다. 그리고 마약 흡연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네덜란드처럼 국가에서 운영 및 지원하는 국영 마약 전담 중독 치료센터에서 무상 치료를 받는다.[22] 중국 뿐 아니라 원래 공항에서 모르는 사람의 짐을 대신 들어주면 큰일난다. 꼭 거절하자. 무시하고 지나가거나 경찰, 공안에게 꼰지르는게 제일 좋다.[23] 모병제상비군 200만액티브이다.[24] 연합뉴스 기사에서도 2위라고 한다.#.[25] IMF의 예측에 따르면 2019년에는 미국의 72%에 달하고 2023년에는 미국의 87%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26] 중국(청나라)은 나라 자체가 식민지로 넘어간 적은 없었다. 청나라가 두들겨 맞는 신세라도 그 거대한 대륙, 더구나 인도와 달리 청나라라는 단일 국가로 통일됐고, 몽골 기병으로 구성된 팔기군도 나름 힘을 쓰던 19세기 중국을 완전히 식민지화하기엔 당시 제 초강대국대영제국도 불가능했으므로, 영국은 홍콩, 독일은 자오저우만, 러시아는 외몽골/외만주와 연해주, 그리고 일본은 대만으로 만족하였다. 물론 이 과정에서 조공을 받아내던 나라들은 이미 다 사라져서 류큐는 일본에 병합되고 조선도 일본이 종주권을 가져갔으며, 베트남은 프랑스가 가져갔다. 어쨌든 대만이면 몰라도 중국 전 대륙이 외세의 식민지가 된 적은 없어서 어쨌든 태국과 함께 아시아에서 식민지가 안되고 독립을 지킨 단 둘뿐인 나라가 되었다.[27] 원래 개발도상국은 외환보유고가 많은 경향이 있다는 것은 감안해야 하지만 그래도 압도적인 수치다.[28] 물론 삼성, 폭스바겐 등 글로벌 기업의 합작 회사가(중국에서 외국 회사가 활동하기 위해서는 합작 회사를 만들어야 한다.)중국에서 물건을 만들어 미국 등으로 수출하는 모든 생산이 중국의 GDP로 계산되므로, GDP 순위가 2위라는 것이 꼭 중국의 경제력이 대단하다는 의미인 것만은 아니다. 세계의 공장인 만큼 실제 중국인이 벌어들이는 GDP는 그만큼이 안 되나 GDP 자체를 글로벌 기업의 생산도 모두 치기 때문에 금방 일본을 제치고 2위가 될 수 있었던 것.[29] 하지만 미국 프리덤하우스는 중국의 언론 자유에 0점을 줬다. 즉 언론의 자유가 전혀 없다는 것이다.[30] 예를 들어 99식 전차가 있다[31] 이 때 중국 최고의 과학자라는 첸쉐썬(錢學森, 전학삼)의 일화는 중국/경제 항목 참조. 다만 해당 글에서 15년의 계획은 조금 앞당겨진 감은 있다. 스푸트니크 발사는 1957년이기 때문. 이러이러한 틀이 잡혀 있었다는 것 정도로 보면 된다.[32] 그 유명한 동풍 드립의 동풍 맞다. 중국 항공모함의 킬러 미사일도 둥펑이다.[33] 동방홍, 마오쩌둥 찬가의 이름이기도 하다. 황화 협주곡을 마개조했던...[34] 공군 중교(중령 격) 양리웨이가 탑승했다.[35] 장관 격이다[36] 1964년 성공[37] 1967년 성공[38] 통신, 기상, 군사, 과학 등등 다양하며 한국과는 비교도 안 된다.[39] 주취안, 시창, 원창, 타이위안, 603기지[40] 최장 70년이고 다른 기한도 존재한다.[41] 단적으로 진출하고 나서 어마어마한 성장 속도를 보이는 슈퍼컴퓨터 분야가 있다.[42]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2년 기술수준평가 본보고서 pg.161[43] 한마디로 말해서 한국이 4.2년 후에 우주정거장을 발사할 수 있는지 생각해보면, 4.2년이라는 수치는 전혀 무의미한 수.[44] 한국 EBS에서 한국 입시의 현실과 관련된 다큐멘터리를 방송한 것처럼, 중국 CCTV에서도 가오카오(高考)라고 하는 중국 입시의 현실을 보여주는 다큐멘터리가 방송되었는데, 이 영상들을 보기만 해도 중국의 교육열이 얼마나 높은지 알 수 있을 것이다.[45] 90년대 이후 중국에 대한 뉴스가 점점 한국으로 오면서 중국인들이 과외를 한다, 시험지 유출이 됐다 하는 뉴스가 나오자 한국 사람들이 '오잉? 중국인들도 이제 저런 걸 해?'라고 하는 사례가 있지만, 실제로는 중국은 2천년 전부터 저런 나라고, 1천년 전부터는 정말 심각했던 나라다. 사실 시험에서 꼼수 쓰는 건 우리 조상들이 중국한테 배운 거다. 특히 남송 때는 매우 막장이라 역사기록들 내용에 '무슨 황제 몇년에 대량 컨닝이 발생하다 걸려서 시험을 무효화 했다', '관리가 시험지 몰래 넘기다 걸려서 잘렸다' 등의 기록들이 꽤 많다. 난징에 있는 강남공원은 남송 당시 중국 대표 과거 시험장인데, 한 번에 2만명 이상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던 인류 역사상 최대의 개인시험장이다. 당시 과거는 개인이 한 방에서 며칠동안 먹고 자고 살면서 시험을 보는 형식인데(대신 하루에 하나씩 시험지를 받으면서, 푸는 시간은 자유라 낮에 자다가 밤에 풀어도 된다.), 현재 거기있는 전시관에는 심지어 당시 컨닝했던 사람들 모습을 마네킹으로 만들어놓기까지 했을 정도니, 당시 일반인들에게도 컨닝이라는 개념이 일상적이었다는 걸 알 수 있다. 고립된 수험생이 비둘기(전서구)한테 문제를 써서 날려보내고 다시 날아온 비둘기에게 답을 받는 방식, 손바닥만한 책을 만들어 의 털로 만든 붓으로 미세하게 책 1권을 다 써서 컨닝페이퍼도 아닌 컨닝북을 만들어 손에 쥐고 시험장에 들어가서 그걸 보는 방식, 속옷에다가 책 1권을 다 써서 들어가는 방식 등 현대 사람들도 상상하지 못할 별의별 짓을 다했다. 사실 천여년간 초고도로 발달된 중국 컨닝 문화에 비하면, 한국일본은 귀여운 컨닝에 불과했다.[46] 사실 북반구에서 3월에 새 학년이 시작되는 나라는 대한민국 밖에 없다.